2020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백예은 | Doctoral Thesis |
2020 | SCERTS 모델 기반의 가정 일과 중심 부모 실행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 기술 및 놀이 기술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서민경 | Doctoral Thesis |
2020 |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이 교사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김은실 | Doctoral Thesis |
2020 | 상황중심 공감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공감능력, 또래관계망,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공감적 대화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경인 | Doctoral Thesis |
2019 | 소집단 활동을 통한 가족중심 미래계획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자립역량, 부모의 자아탄력성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 정지희 | Doctoral Thesis |
2019 |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 유아 수용도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장지은 | Doctoral Thesis |
2019 | 개별화 교육과정 중심의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이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상호작용 행동, 경험과 인식 및 장애 유아의 교수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 안의정 | Doctoral Thesis |
2019 |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맞춤형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태도 및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김선경 | Doctoral Thesis |
2019 |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 허수연 | Doctoral Thesis |
2019 | 학생과 가족을 위한 전환지원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 홍주희 | Doctoral Thesis |
2019 | 특수학교 기반 사회정서학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지식, 사회정서기술 및 또래 간 상호작용에 미친 영향 | 남혜진 | Doctoral Thesis |
2019 |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역할 만족도,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행동,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이지연 | Doctoral Thesis |
2018 | 액션러닝 기반 학급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연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학급관리실행, 행동문제해결력, 대인관계효능감 및 교사의 인식과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심은정 | Doctoral Thesis |
2018 | 상호작용 전략 교수 중심의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중국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 YANG YI | Doctoral Thesis |
2018 | 장애 이해를 위한 자기옹호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년의 장애정체성 및 장애개방 기술에 미치는 영향 | 김수현 | Doctoral Thesis |
2018 | 청각장애 초등학생을 담당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과 경험 연구 | 이현주 | Doctoral Thesis |
2018 |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놀이 참여와 발달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 이소영 | Doctoral Thesis |
2018 |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유아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인식, 양육 효능감,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김지원 | Doctoral Thesis |
2017 | 가정방문 양육코칭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영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김지수 | Doctoral Thesis |
2017 |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실시된 표적집단 중재 실행연구 | 김예리 | Doctoral Thes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