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8 Download: 0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이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 의사소통 시작하기 및 놀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

Title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이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 의사소통 시작하기 및 놀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Supporting for ABEI with ASAP 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Self-Efficacy and Preschooler with ASD’s Social Communication Initiation and Engagement in Play
Authors
신수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사회 의사소통 및 놀이는 유아기 삶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며 교수를 통한 학습이 필요한 영역이다. 그러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는 장애의 핵심 특성으로 인하여 사회 의사소통 및 놀이에 어려움을 보이며, 이들의 사회 의사소통 및 놀이 교수를 위한 최상의 학습 환경은 통합교육 환경이다. 특히「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 이후 모든 유치원에서 유아 중심, 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실행됨에 따라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 대한 교수 방법론적 접근의 실행 가능성 및 이를 실행하는 교사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통합유치원 교육현장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 의사소통 및 놀이 교수 지원을 적용할 수 있도록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을 계획하였으며, 통합유치원의 유아특수교사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을 실시하여 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 의사소통 시작하기 및 놀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는 서울, 경기, 인천, 전북 지역에 위치한 공립 통합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 18명(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 실험집단의 유아특수교사가 교육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9명이 교사와 쌍을 이루어 참여하였다.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위한 ASAP 진단, 교수목표 설정, 활동 중심 삽입교수 계획, 활동 중심 삽입교수 실행, 활동 중심 삽입교수 평가로 구성된 유아특수교사의 실행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소집단 워크숍과 개별 현장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소집단 워크숍으로 운영되는 교사교육(총 4회기), 중간 점검(총 1회기)과 개별 현장지원으로 운영되는 교육현장 실행지원(총 5회기)으로 구성된 총 10회기의 교수 지원을 9주 동안 제공하였다. 이러한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을 받은 실험집단과 지원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 간 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의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또한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이 실험집단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 의사소통 시작하기, 놀이 참여의 변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 변화 정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에 참여한 실험집단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 의사소통 시작하기는 사전과 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사회적 상호작용 시작하기와 공동관심 시작하기는 사전보다 사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셋째,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에 참여한 실험집단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놀이 참여는 사전과 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사전보다 사후에서 비참여가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지원된 공동참여와 협동적 공동참여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이 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 의사소통 시작하기, 놀이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통합유치원 교육현장에서 유아특수교사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의 효과를 확인하고 향후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교육을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Social communication and play are areas that need to be learnt because these are important in early childhood life. Howeve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show difficulty in social communication and play due to the core deficits of the disability. And the most suitable environment for their social communication and play learning is the inclusive environment. As the child-centered and play-based 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in all kindergartens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not only the feasibility of the teaching approach to children with ASD but also the systematic support for teachers are in need. According to this need, a support for ABEI(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with ASAP was planned to support teaching social communication and play for children with ASD in the inclusive kindergartens in Korea. Intervention was conduc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hildren with ASD in inclusive kindergarten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teaching efficacy and social communication initiation and play engagement of children with ASD. In this study, 18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9 in experimental group and 9 in control group) working at public inclusive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Jeollabuk-do participated, and 9 pairs of children with ASD and their teacher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Support for ABEI with ASAP provided small group workshops and individual on-site supports to support all process of ABEI with ASAP consists of ASAP assessment, instruction goal setting, planning ABEI, using ABEI, monitoring progress. The researcher provided 10 teaching supports in total for 9 weeks, consisting of teacher teaching (4 sessions), mid check up (1 session) and on-site supports (5 session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garding the teacher’s self-efficacy. Also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examine if supporting for ABEI with ASAP changed the degree of social communication initiation and play engagement of children with ASD in experiment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post chang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social communication initiation of children with ASD in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when compared to pre-test, especially the social interaction and joint attention initiation improved significantly. Third, play engagement of children with ASD in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Non-engagement in post-test decreased and both supported joint engagement and cooperative joint engagement increased significan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supporting for ABEI with ASAP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social communication initiation and play engagement of children with ASD.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it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supporting for ABEI with ASAP for children with ASD in a inclusive kindergarten setting and also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t explored an approach to support teaching children with AS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