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 개발

Title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Core Elements of the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Operation Syste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uthors
이성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Postsecondary education is a major transition area tha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choose after school age, and recently, postsecondary education in college setting has been gaining interes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eiving proper education in an integrated college environment with non-disabled students of the same age is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continue education after high school when compulsory free public education ends and is also a way of educati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and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entered existing universiti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school life in the absence of systematic suppor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overall operating system of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so tha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receive proper education and receive appropriate support in the colleg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eal the core elements of the college- 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operation syste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appropriate research procedures.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utilizing the college’s infrastructure to the fullest, the focus was placed on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lleges. In order to suggest the core elements of the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operating system, we analyzed the literature and programs related to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and the operational elements of colleges, as well as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educational personnel related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colleges. And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research tool was developed to identify the core elements of the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operation system,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for experts in colleges and special education. Participants in the study of exploring the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of related personnel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urrently enrolled in college were staff in charge of support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llege, college professor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arents of the student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study participants, and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qualitative data such as educational documents and photos were provided by the study participants and were analyzed together. The participants of the Delphi survey for the identification of core elements of the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operation syste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experts in college and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in colleges were staff in charge of suppor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colleges and professors, and special education experts were special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The research tool of the Delphi survey was the ‘Revised Delphi survey questionnai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re elements of the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operation syste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programs related to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analysis of operation elements of colleges, and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those involved i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closed and open questions that evaluated the validity of 55 questions in 7 areas of the core elements of the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operating system.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in two sessions, and the contents, mean, standard deviation, content validity ratio, degree of convergence, and degree of agreement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lleges, their parents, staff, and professors in charge of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experience supporting or guid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lleges, and as a result, a total of 5 major topics and 11 sub-topics were derived. The first major topic derived i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o to college from high school,’ which was about the college entrance processes including what influenced them in the decision to enter college and the entrance exam. The second major topic is ‘various college life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rolled in colleges,’ which concerned the students’ experiences in the academic, college life, and interpersonal areas. The third major topic is ‘educational support provided by colleges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included the educational support provided to students by the student support center or the department and the difficulties in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 The fourth major topic is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of colle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include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tha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obtain in colleges. The last major topic is ‘support needs and tasks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abilit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lleges,’ which included support needs and task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arents, support needs and tasks of staffs and professors. Second, the core elements of the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operating system were finally determined into 55 items in 7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conducted twice for professionals in colleges and special education. The first area is ‘preparation for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which consists of six items. They pertain to the necessary contents to prepare for the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post-secondary education, the contents that can be carried out to prepare for the transition, and the sharing of student information between high schools and colleges. The second area is ‘basic characteristics of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consisting of 13 items. They pertain to the basic postsecondary education operation characteristics including educational goals, term of years, and main target audience, and the form in which postsecondary education can be operated. The third area is ‘appropriate fields for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consisting of 1 item and presenting 13 majors. Among the existing majors in colleges, these fields are suitable for the career and occup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y can be used to organize the curriculum and link the curriculum of existing departments when operating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The fourth area is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admission procedure and tuition,’ consisting of 12 items. They relate to admission eligibility, admission process, procedures after admission, and tuition. The fifth area is 'curriculum operation of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which presents 11 items. They relate to the method of utilizing the existing lectures of the general department and separat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ixth area is 'support provided by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consisting of 8 items. They relate to the content and method of support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lectures in general departments, to adjust to university life, and to successfully transition to employment after graduation. The last and seventh area is ‘performance of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with four items, they relate to the indicators that can identify the performance of educational program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an overall operating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at a time when interest and demand for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increasing. And the fact that the core elements of the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operating system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consensus of professionals in college and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can increase its applicability in actual college setting. Now is the time when formal discussions on the operating system of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should be mad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nduct basic research that closely grasps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colleges, and to manage specific information on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that is under actual operations. In addition, this research presented 55 items in 7 areas as core elements of the college-based non-degree postsecondary education operating system, and a follow-up study is hereby suggested to develop detailed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each area and item.;중등이후교육(postsecondary education)은 발달장애학생이 학령기 이후 선택할 수 있는 주요한 전환 영역으로, 최근 대학교 환경에서의 중등이후교육이 관심을 받고 있다. 발달장애학생이 동년배 비장애학생들과 통합된 대학 환경에서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은 무상의무 공교육이 끝나는 고등학교 이후의 계속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현이며, 발달장애인의 성인기 교육의 한 방안이다. 그러나 대학 기반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은 양적으로 매우 적고, 기존 대학에 진학한 발달장애학생은 체계적인 지원을 받고 있지 못한 채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학생이 대학 환경에서 적절한 지원을 받으며 적합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의 전반적인 운영체계 개발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을 위한 전문대학 기반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를 적절한 연구절차를 통해 밝히는 것이다. 대학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 발달장애학생에게 적합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문대학에서의 발달장애학생 중등이후교육에 초점을 두었다. 전문대학 기반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를 제안하기 위해 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 관련 문헌 및 프로그램과 전문대학의 운영요소를 분석하고,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학생 교육 관련자의 경험 및 지원요구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위 결과를 기반으로 전문대학 기반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 판별을 위한 연구 도구를 개발하여 전문대학 및 특수교육 전문가 대상의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발달장애 전문대학생 교육 관련자의 경험 및 지원요구 탐색 연구의 참여자는 전문대학 장애학생지원 담당직원, 전문대학 교수, 발달장애학생, 발달장애학생 학부모이다.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모두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연구 참여자에게 교육 관련 문서나 사진과 같은 질적 자료를 제공받아 함께 분석하였다.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 핵심요소 판별을 위한 델파이 조사의 연구 참여자는 전문대학 전문가와 특수교육 전문가이다. 전문대학 전문가는 전문대학의 장애학생지원 담당직원과 교수이며, 특수교육 전문가는 중등특수교사와 특수교육과 교수이다. 델파이 조사의 연구 도구는 연구자가 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 관련 문헌 및 프로그램 분석, 전문대학 운영 요소 분석, 발달장애 전문대학생 교육 관련자의 경험 및 지원요구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개발한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 개발을 위한 수정 델파이 조사 질문지’이다. 질문지는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 핵심요소 7개 영역의 55개 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평정하는 폐쇄형 응답과 개방형 응답으로 구성되었다. 델파이 조사는 2차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수합된 자료의 내용과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비율, 수렴도, 합의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전문대학생을 지원하거나 강의에서 지도한 경험이 있는 전문대학 내 장애학생지원 담당직원 및 전공 교수, 발달장애학생 및 학부모의 경험과 지원요구를 탐색하기 위한 개별 면담을 실시한 결과 총 5개의 대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로 도출된 대주제는 ‘발달장애학생의 고등학교에서 전문대학으로의 진학’으로 전문대학으로의 진학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과 입시를 포함한 전문대학 입학 과정이다. 두 번째 대주제는‘전문대학에 재학하는 발달장애학생의 다양한 대학생활 경험’으로 발달장애학생이 학업, 비학업 대학생활, 대인관계 영역에서 경험한 내용이다. 세 번째 대주제는 ‘전문대학에서 발달장애학생에게 제공한 교육 지원’으로 장애학생지원센터나 학과 차원에서 발달장애학생에게 지원한 교육 지원 내용과 교육 지원 제공의 어려움에 관한 것이다. 네 번째 대주제는 ‘발달장애학생의 전문대학 교육의 성과와 한계’로 발달장애학생이 전문대학을 다님으로써 얻을 수 있는 성과와 한계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 대주제는‘발달장애 전문대학생의 교육력 향상을 위한 지원요구 및 과제’로 발달장애학생과 학부모의 지원요구 및 과제, 전문대학 교수 및 직원의 지원요구 및 과제로 구분해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전문대학 전문가와 특수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라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를 7개 영역 55개 항목으로 최종 판별하였다. 첫 번째 영역은 ‘고등학교에서 전문대 기반 중등이후교육으로의 전환 준비’로 6개 항목으로 구성된다. 고등학교에서 중등이후교육으로의 전환을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 전문대학에서 중등이후교육으로의 전환을 준비하기 위해 실시할 수 있는 내용,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학생 정보 공유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 영역은 ‘전문대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의 기본 특성’으로 13개 항목이 해당된다. 교육 목표나 연한 등을 포함한 기본적인 중등이후교육 운영 특성과 중등이후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형태에 관한 것이다. 세 번째 영역은 ‘전문대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과정으로 적절한 분야’로 1개 항목이며, 13개의 전공 분야가 제시되었다. 전문대학의 기존 전공 분야들 중 발달장애인의 진로 및 직업에 적합한 분야로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교육과정 구성 및 기존 학과 교육과정 연계에 활용할 수 있다. 네 번째 영역은 ‘전문대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입학 절차 및 등록금’으로 1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학 적격성과 입학 전형 및 입학 전형 합격 후의 절차, 등록금에 관한 것이다. 다섯 번째 영역은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의 교육과정 운영’으로 11개의 항목이 제시된다. 일반학과의 기존 강의를 활용하는 방안과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별도 교육 내용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섯 번째 영역은 ‘전문대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에서 제공하는 지원’으로 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발달장애학생이 일반학과 강의에 참여하고, 대학생활에 적응하며 졸업 후 고용으로 성공적인 전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 일곱 번째 영역은 ‘전문대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의 성과’로 4개의 항목이며,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에 관한 내용이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시점에 전문대학 기반의 중등이후교육 실행을 위한 전반적인 운영체계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전문대학 전문가와 특수교육 전문가의 합의된 인식을 기반으로 전문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를 판별했다는 점은 실제 전문대학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다. 현 시점은 전문대학 기반의 중등이후교육의 운영체계에 대한 공식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때이다.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 대학 및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학생의 현황과 실태를 면밀히 파악하고, 실제 운영되는 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를 7개 영역의 55개 항목으로 제시하였는데, 각 영역 및 항목에 대한 세부 실행 지침을 개발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