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4 Download: 0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행능력, 교사효능감 및 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행능력, 교사효능감 및 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teaching Support Program on Co-teaching Implementing Competency, Teacher Efficacy, and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uthors
송명숙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보편화되면서 통합교육은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으로 발전하며 질적 성장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하여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은 필수적인 요소로, 교사 간 협력의 실질적인 방법인 협력교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협력교수는 현재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가장 주목받는 모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는 협력교수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실행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교수가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유용한 실제로 강조되지만 현장에서 널리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협력교수의 현장 적용을 위해 교사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사연수 및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교수의 실행단계에 따른 체계적인 실행절차와 내용을 교사연수와 컨설팅을 통해 교사를 지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함께 협력교수를 계획·실시·평가하는 과정으로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도 및 B시 소재 유치원과 초등학교에 소속되어있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짝을 이룬 총 7쌍(총 14명)을 대상으로 대집단의 교사연수 7회와 개별팀 컨설팅 3회로 구성된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9주 동안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이러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이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행능력, 교사효능감 및 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포함한 혼합연구 설계를 적용하였다.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이 참여교사의 협력교수 실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모든 교사에게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이 참여교사의 협력교수 실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두 집단 모두 협력교수 실행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행능력 변화 정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이 참여교사의 협력교수 실행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이 참여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두 집단 모두 교사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하위영역 중 학급관리 교사효능감과 학습지원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변화 정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한 결과, 1) 교사들이 마주한 통합교육의 현실, 2) 가능성을 보여준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 3)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교사의 성과, 4) 협력교수 실행에 따른 학생의 성과, 5) 협력교수 실행을 위한 지원요구라는 5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각 주제는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통합교육 현실의 변화로 교사와 학생의 긍정적인 성과가 나타났으며 이상의 주제들은 협력교수 실행을 위한 다양한 지원요구와도 연계되었다. 이상의 각 주제는 그에 따른 15개의 하위주제로 구분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이 일반교사의 협력교수 실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질적자료를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의 경험과 인식을 토대로 교사와 학생의 성과 및 협력교수 실행을 위한 지원요구를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교수 지원 프로그램으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짝을 이루어 함께 참여한 일원화된 연수체제로 협력교수에 대한 사례중심의 구체적이고 집중적인 연수를 실시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의 협력교수 실행을 직접 지원하고 그 효과를 보고하였을 뿐 아니라 향후 협력교수 실행을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s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come more common, it has grown as education for all students, with a focus on its quality. In inclusive education,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s essential, and co-teaching has drawn interest as a way of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Co-teaching is a model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However,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not actively implementing co-teaching despite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Given that, co-teaching is not widely implemented at schools though it is useful for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inclusive education, a systematic teacher training and support is needed. This study aimed to assist teachers through teacher training and consultation regarding implementation stages. For such purpose, this research has developed a co-teaching support program, applied it in a school setting, and analyzed its effectiveness throughout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carried out by a collaborative work of a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14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ven pairs) of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n A province and B city participated in the nine-week program with ten sessions consisting of seven sessions of teacher training and three team consulting sessions. A mixed method inclu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co-teaching support program on participants’ co-teaching implementing competency and teacher efficacy,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Also,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ll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bout program participation and were analyzed.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impact of the co-teaching support program on participants’co-teaching implementing competency, the co-teaching implementing competency of bo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mprov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hange in implementing competency improvement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with regard to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participants’ teacher efficacy, teacher efficacy was formed for bo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s for sub categor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for classroom management and student engagem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improvement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rd, with regard to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six main themes were derived: (i) the reality of inclusive education with barriers to overcome, (ii) co-teaching support program that overcomes barriers to inclusive education, (iii) outcomes of teachers after program participation, (iv) outcomes of students after co-teaching program implementation, and (v) Support needs for implementing co-teaching. These themes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changes in the reality of inclusive education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resulted in positive outcomes of teachers and students. These themes were related to needs for various supports to implement co-teaching, and were divided into 15 sub categories.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the co-teaching support program to strengthen teacher’s competency for inclusive education made a positive impact on participants’co-teaching implementing competency and teacher efficacy. Moreover, by analyzing qualitative data, support needs for implementing co-teaching were explored, based on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participant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directly supported co-teaching implementation at schools, under a co-teaching support program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y for inclusive education, analyzed the effect of the support, and explored ways of supporting co-teaching implementation, by conducting the program with the participation of pairs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a focus on cases and problem-solving consultation of co-teach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