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 문제중심학습(PBL)기반 생활 과학 수업이 시각장애 중학생의 문제해결력과 과학 관련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김지영 | Master's Thesis |
2020 | SCERTS 모델 기반의 가정 일과 중심 부모 실행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 기술 및 놀이 기술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서민경 | Doctoral Thesis |
2020 |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이 교사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김은실 | Doctoral Thesis |
2020 |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윤라임 | Master's Thesis |
2020 |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의 인성역량,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정지선 | Master's Thesis |
2020 | 몸짓상징 「손담」 교수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 최재연 | Master's Thesis |
2020 | 지적장애 자녀와 지적장애 어머니가 포함된 가정을 위한 양육지원 실행연구 | 임보령 | Master's Thesis |
2020 | 형제자매 주도의 상호작용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김수지 | Master's Thesis |
2020 |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놀이코칭이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과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이후민 | Master's Thesis |
2020 | 중심축 반응 중재의 동기 향상 전략을 적용한 개별화된 또래 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나지회 | Master's Thesis |
2020 |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상징놀이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이선주 | Master's Thesis |
2020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백예은 | Doctoral Thesis |
2020 | 상황중심 공감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공감능력, 또래관계망,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공감적 대화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경인 | Doctoral Thesis |
2019 |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의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 | 김정은 | Master's Thesis |
2019 | 특별한 관심 영역을 삽입한 대집단 활동이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행동 및 자리이탈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김예진 | Master's Thesis |
2019 |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년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최안나 | Master's Thesis |
2019 |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일반 중학교로의 전환교육 및 전환기술 | 이지혜 | Master's Thesis |
2019 | 서울 지역 중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교육실제 및 개선과제 | 이은별 | Master's Thesis |
2019 | 구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학생에 대한 베트남 특수교사의 의사소통 교육 경험 및 인식 | LE BAO QUYNH THO | Master's Thesis |
2019 |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맞춤형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태도 및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김선경 | Doctoral Thes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