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 이소현 | Master's Thesis |
2018 | A study on Crossover Design with Cluster Effects | 이소현 | Master's Thesis |
2023 | ASAP 진단 기반의 활동 중심 삽입교수 지원이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 의사소통 시작하기 및 놀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신수진 | Doctoral Thesis |
2003 | Characteristics of friendship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mild disabilities | 이소현 | Article |
2009 | Effects of instructional rubrics on class engagement behaviors and the achievement of lesson objectives by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nd their typical peers | 이소현 | Conference Paper |
2021 | Electrocatalytic Oxidation of Guanines | 이소현 | Master's Thesis |
2002 | Oboe Reed Making이 G. Ph. Telemann Fantasien No.5의 연주에 미치는 영향 | 이소현 | Master's Thesis |
1999 | PC통신 방송사 게시판의 기능과 특성에 관한 연구 | 이소현 | Master's Thesis |
2017 | Rapid Assessment of Microbiota Changes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Bacteria-derived Membrane Vesicles in Urine | 이소현; 서주영; 한평림; 김의정 | Article |
2020 | SCERTS 모델 기반의 가정 일과 중심 부모 실행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 기술 및 놀이 기술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서민경 | Doctoral Thesis |
2019 |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역할 만족도,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행동,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이지연 | Doctoral Thesis |
2007 | Social engagement with peers and stereotypic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 이소현 | Article |
1996 | The relationship between stereotypic behavior and peer social interaction fo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 이소현 | Article |
2020 |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윤라임 | Master's Thesis |
2018 |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놀이 참여와 발달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 이소영 | Doctoral Thesis |
2019 | 개별화 교육과정 중심의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이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상호작용 행동, 경험과 인식 및 장애 유아의 교수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 안의정 | Doctoral Thesis |
2010 | 고반응 행동 활용 전략(High-P 전략)을 이용한 교수가 장애 학생의 낱말쓰기 과제수행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이효선 | Master's Thesis |
2014 | 공동관심 중심의 어머니 주도 놀이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선행기술과 공동관심행동에 미치는 영향 | 남보람 | Master's Thesis |
2004 | 교사 간 협력 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가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원종례 | Doctoral Thesis |
2016 | 교육용 앱을 활용한 어머니와의 놀이 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이혜림 | Master's Thesis |
2009 | 국가수준의 표준보육과정을 이용한 교육과정 수정 전략이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 김은혜 | Master's Thesis |
2017 | 누리과정에 삽입된 우정활동이 장애 유아와 또래 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오연주 | Master's Thesis |
2012 | 독후활동 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황신영 | Master's Thesis |
1992 | 바륨관장법으로 정복된 장중첩증과 정복실패한 장중첩증의 방사 | 이소현 | Master's Thesis |
2013 | '바른생활'과 수업을 통한 UCC활동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교 적응과 장애 위험 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박병숙 | Doctoral Thesis |
2013 |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 중심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내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봉귀영 | Master's Thesis |
2020 |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상징놀이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이선주 | Master's Thesis |
2017 | 비디오 모델링 과제분석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수학적 개념을 포함한 포장기술에 미치는 영향 | 한은실 | Master's Thesis |
2017 | 비디오 상황이야기 중재가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또래 놀이로의 전이 행동과 또래 놀이에 미치는 영향 | 심세화 | Master's Thesis |
2016 | 사진 과제분석을 이용한 시각적 지원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제과·제빵 기술의 독립적 수행률 및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 유가민 | Master's Thes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