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4 Download: 0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역할 만족도,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행동,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역할 만족도,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행동,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NS Based Paternal Role Program for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Father’s Involvement, Role Satisfaction, Father-Child Interaction, and Quality of Family Life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자녀의 출생은 가족에게 새로운 기쁨과 동시에 변화를 가져온다. 새로운 가족 구성원인 자녀로 인해 부부에게 부모의 책임과 역할이 부여되면서, 부모는 자녀와 관계를 형성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부모 역할은 자녀의 성장에 따라 달라지며, 적절한 부모 역할을 통해서 자녀는 자연스럽게 성장하고 다음의 발달 단계로 적응하게 된다. 하지만 부모는 간혹 예상치 못한 위기로 인해 충격과 상실을 경험하게 되면서 부모 역할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장애의 출생이나 진단을 예상하는 부모는 없을 것이다. 예상치 못한 장애의 출생이나 진단으로 인해 부모는 혼란스럽고 막막함을 경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부모는 장애 자녀를 수용하는 적응 단계를 거쳐,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고 양육할 수 있도록 부모로서의 신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유아특수교육에 있어서 가족참여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아기는 부모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교사나 전문가는 장애 유아에게 최상의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 유아와 가장 밀접한 부모와 협력하여 일관적인 방법으로 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유아를 둘러싼 가족에 어려움이 있거나 지원이 필요하다면 다양한 형태의 가족 지원을 실행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유아기 장애 자녀를 둔 부모에게 양육 기술을 훈련하거나, 부모에게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제공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또는 부모가 경험하는 갈등과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어려움을 해소시키기 위한 지원을 제공하는 등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가족의 참여는 대부분 어머니에게만 집중되어 있고 아버지 참여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유아기 시기부터 누적된 어머니의 양육 부담과 스트레스는 결국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어린 유아기부터 아버지 참여를 위한 노력이 시작되지 않는다면, 아버지는 장애 유아와 관계를 형성하기 어렵게 되고, 결국 소극적인 가족 구성원으로 남게 된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아버지는 어머니와 다른 고유한 영향력이 있으며 자녀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가족과 사회의 변화를 통해 부모 공동 양육의 요구에 따라 아버지의 적극적인 양육 참여가 필요한 이 때에, 아버지에게 장애 자녀를 이해하고 아버지 역할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아버지뿐 아니라 장애 유아, 어머니, 가족 구성원 전체의 삶에 영향을 끼치고자 하는 노력은 매우 의미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만 3-5세 장애 유아 아버지에게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역할 만족도,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행동,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J시에 위치한 Y학교(유아특수학교)에 다니고 있는 장애 유아의 20가족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 제공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식정보지원, 양육기술지원, 정서지원의 구성 요소에 따라 10개의 소주제로 구성된 내용을 집단 활동 2회, SNS 개별 활동 7회, 개별 가정 방문 활동 1회로 혼합적으로 운영하여 제공하였다. SNS 기반의 실행을 위해서 주로 카카오톡과 전화를 사용하였고, 다양한 영상 및 문서 자료와 비디오 피드백, 자기 주도 점검 등의 실행 전략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프로그램의 결과를 측정하였다. 아버지 양육 참여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버지와 어머니에게 실험 전과 후에 검사지를 배부하여 측정하였다. 아버지 역할 만족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버지에게 실험 전과 후에 검사지를 배부하여 측정하였다.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행동은 사전 2회, 사후 2회 실험집단 가정을 방문하여 아버지와 유아의 놀이 상황을 10분간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집단 가족 삶의 질은 아버지와 어머니를 소그룹으로 나누어 4회의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역할 만족도는 독립표본 t 검정,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행동은 종속표본 t 검정의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족 삶의 질은 면담을 통해서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통제집단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아버지가 인식한 아버지 양육 참여도는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훈육, 칭찬과 애정표현 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 양육 참여도 역시 통제집단과 비교한 결과,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유치원 생활지원 자녀와 시간 보내기 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통제집단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아버지의 역할 만족도는 향상되었으나 사전-사후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실험집단의 아버지 상호작용 행동과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의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한 결과, 아버지는 애정표현하기, 의사소통 촉진하기, 놀이 제안하기 행동 유형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무반응 행동 유형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유아는 아버지와의 참여 행동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비참여 행동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넷째,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이 실험집단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4개의 대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실험집단 가족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장애 자녀로 인한 다양한 어려움과 같은 삶의 질을 경험하고 있었으나 아버지의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적극적으로 양육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가족 삶의 질이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가족 삶의 질이 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원요구가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족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계속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관점에서 아버지에게 실시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장애 유아 아버지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효과를 보고한 시도였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크다. 프로그램을 통해 아버지는 적극적인 양육 참여를 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효과는 아버지와 장애 유아의 질적인 상호작용 변화 등의 직접적인 영향뿐 아니라 질적 분석을 통해 가족 전체의 삶의 질 변화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가 갖는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Family participation is most important in the speci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ince parents play a huge role in infancy, teachers or professionals should work with parents who are directly related to young children to provide the bes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rrying out various forms of family supports. However, family participation is mostly focused on mothers, and there is a lack of multilateral efforts to engage fathers. Fathers have a unique influence differentiated with mother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child development. At a time when a family and society require active participation in parent-to-parent rearing, it is significant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supports for fathers to influence the lives of family members, including both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SNS based parental role program for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ge 3 to 5, and to look at father’s involvement, role satisfaction, father-child interactions, and its impact on the quality of family life.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are provided by a combination of two group activities, seven individual SNS activities, and one individual home visit activity, depending on factors of knowledge information support, parenting skil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program are measured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llected. For data analysis, father’s involvement and role satisfaction a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the father-child interactions is us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ependent t-test, and the quality of family life is using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interview.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oth fathers and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re aware of an increase in father’s involvement after receiving a SNS based parental role program,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father's role satisf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s improved after receiving a SNS based father role program,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fter providing a SNS based father role program, the interactions behavior of the father and the child in the experimental group is compared on pre-post changes. The results reveal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howing affection, promoting communication, and proposing play, and als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type of non-response behavior. Young children have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participation with their fathers, and nonparticipating behavior has significantly decreased.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looking at the impact of the SNS based father role program on the quality of family life, change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following the 4 themes and nineteen subcomponents: The quality of family life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process of changing the quality of family of family life, changes in the quality of family life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parent’s remaining requests for support. This chang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ntire fami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provide program for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special education and to report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rough the program, fathers are able to engage in active parenting, which directly affected the quality of interactions between fathers and their children. Moreover, mothers have recognized the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and thus providing indirect effects such as changes in mother's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improving marital relations. In addition, changes in the quality of family life resulted from providing the program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which gives this study great signific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