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 Download: 0

AI 챗봇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I 학습 통합과업 설계

Title
AI 챗봇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I 학습 통합과업 설계
Other Titles
Integration task design of high school Chinese I learning using AI chatbots: Focusing on the Preparation for Web-based Dialogflow Development
Authors
강지원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Keywords
Web기반 Dialogflow, AI챗봇, 중국어I 설계, 통합과업 설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모해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고등학생들이 웹 기반의 Dialogflow를 활용하여 중국어 학습에서 흥미와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AI 챗봇을 설계하는데 있다. 따라서 AI 챗봇의 발달에 따른 효과적인 교육방안에 대해 고민하였고, 발전적 중국어 학습지도 방안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고등학생들은 컴퓨터와 스마트폰 조작에 익숙한 세대이다. 따라서 중국어 학습에서도 AI 시스템 기술에 따라 개발된 교육용 Web과 app을 활용하여 흥미와 학습 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웹 기반의 Dialogflow를 활용하여 중국어Ⅰ 학습을 위한 시나리오와 인텐트를 설계하고,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동 응답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연구하고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중국어를 실제 대화 상황을 모방하여 더욱 흥미롭게 배울 수 있고, 학습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여 학습 과정을 조정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Ⅰ장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서는 고등학생들이 중국어Ⅰ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Web을 기반으로 한 dialogflow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단계로서 고등학교 중국어Ⅰ학습을 위한 AI 챗봇을 설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Ⅱ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연구의 주제에 부합되는 AI 챗봇 활용 외국어 교육 관련 선험적 연구 분야에 대하여 살펴보고, AI 챗봇이 외국어 교육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기존에 개발된 중국어 기반 대표적인 AI 챗봇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챗봇을 활용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중국어Ⅰ말하기 학습 설계가 가능하도록 대표적인 중국어 챗봇 빌더를 살펴보고, Dialogflow 선정 배경과 주요 기능 및 세부적인 용어를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AI 챗봇을 활용한 중국어Ⅰ설계를 진행하였다. 설계는 1단계 중국어I 교과서 주제별 챗봇을 설계를 하였다. 또한 2단계 AI 챗봇을 활용한 주제별 통합과업 설계를 진행하였다. Ⅴ장 결론 및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과업중심 활동을 통한 중국어 말하기 AI 챗봇을 활용한 통합과업 설계 및 효과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차후 방향에 대한 논의를 통해 후속 연구에 반영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수준별 중국어 학습이 가능해진다. 둘째, 웹을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중국어Ⅰ학습이 가능해진다. 셋째, 수준별 dialogflow를 활용하여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등 통합적인 학습이 가능해진다. 넷째, 학습자는 교수자의 학습지도, 자기 주도적 학습 및 그룹 수업 등 다양한 수업 방법으로 학습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섯째, 학습자들은 중국어 학습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여 수준별 학습 과정을 조정하고 평가가 가능하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어 교육 AI 챗봇 설계와 dialogflow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학습자가 흥미를 갖고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AI chatbot that increases interest and learning effectiveness in Chinese language learning by utilizing web-based Dialogflow among high school students, as demand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is increasing. Therefore, we considered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I chatbots and aimed to establish a developmental Chinese language learning guidance method. High school students are a generation familiar with computer and smartphone operations. Therefore, we also considered ways to increase interest and learning effectiveness in Chinese language learning by utilizing educational Web and apps developed based on AI system technology. Accordingly, we researched and designed a system that generates automatic responses through interaction with learners by designing scenarios and intents for Chinese language I learning using web-based Dialogflow. Through this, learners can learn Chinese more interestingly by imitating actual conversation situations and participate directly in learning to adjust and evaluate the learning process. In Chapter I,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we proposed a method for designing an AI chatbot for high school Chinese language I learning as a basic step for developing a web-based dialogflow for effective education of Chinese language I for high school students.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we looked at the pre-existing research fields related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using AI chatbots that match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learned about the effects of AI chatbots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we looked at representative AI chatbots based on Chinese that have already been developed. In Chapter III, we looked at representative Chinese chatbot builders to enable systematic and efficient design of Chinese language I speaking learning using chatbots, and organized the background for selecting Dialogflow and its main functions and detailed terms. In Chapter IV, we proceeded with the design of Chinese language I using AI chatbot. The design was carried out in two stages: 1) designing a chatbot by subject of Chinese language I textbook and 2) designing an integrated task by subject using AI chatbot. In Chapter V, Conclusion and Discussion, we summar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discussed future directions for effective education methods through integrated task design using Chinese speaking AI chatbot through task-centered activities so that they can be reflected in follow-up research. Through this,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First, high school students can learn Chinese at their own level. Second, Chinese language I learning is possible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time and space by utilizing the web. Third, integrated learning such as reading, writing, listening, speaking is possible by utilizing dialogflow according to level. Fourth, learners can show the effect of learning through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teacher's guidance, self-directed learning and group classes. Fifth, learners can directly participate in Chinese language learning and adjust and evaluate the level-specific learning proces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esig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AI chatbot and dialogflow development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so that learners can participate in education with interest and follow-up research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