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5 Download: 0

중국어 교과서 『最新華語敎科書』와 『中國語讀本』의 어휘 연구

Title
중국어 교과서 『最新華語敎科書』와 『中國語讀本』의 어휘 연구
Other Titles
關于『最新華語教科書』與『中國語讀本』的詞彙研究
Authors
박성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모해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1940년에 발행된 중국어 교과서『최신화어교과서最新華語敎科書』와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 1956년에 발행된 중국어 교과서『중국어독본中國語讀本』을 대상으로 중국어 교육의 변화와 교과서에 수록된 어휘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최신화어교과서』와 『중국어독본』은 각각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수립 후에 사용된 중국어 교과서이며 교과서에 수록된 어휘는 초기 현대중국어의 언어 사용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당시 중국어 교육의 목적과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어휘의 의미, 형태 및 기능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고의 연구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동기와 목적,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최신화어교과서』와『중국어독본』의 편찬배경과 저자를 살펴보고 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을 소개하였다. 제3차 조선교육령기에서 광복 이후 제1차 교육과정이 이루어지기까지 시대적 배경 및 중국어 교육의 정황을 살펴봄으로써 당시 중국어 교육의 목적과 인식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두 교과서 어휘를 살펴보기 위한 어휘 분류법을 현대중국어 어휘 분류법, 품사 분류법, 상용도 분류법 세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제4장에서는 두 교과서의 전체적인 어휘를 살펴보고 비교·분석하였다. 품사별로 분류한 어휘들 가운데 표준중국어와 차이를 보이는 어휘를 중심으로 어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교과서 어휘의 상용도를 알아보았다. 어휘의 상용도는 『漢語水平詞彙與漢字等級大綱』을 기준으로 상용 어휘와 비상용 어휘로 나누었다. 이를 통해 당시 중국어 교과서로서 사용된 어휘의 난이도를 알 수 있었고, 비상용 어휘에 많이 나타나는 방언이나 신조어 등 시대적 어휘를 통해 당시 어휘의 수용 범위 및 사회·문화적 생활상을 엿볼 수 있었다. 제5장에서는 어휘의 의미 및 형태상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표준중국어와 비교했을 때 의미와 형태에서 다른 특징을 갖는 어휘를 살펴봄으로서 초기 현대중국어의 변화 및 발전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제6장에서는 앞서 연구한 내용을 정리하며 결론을 내렸다.;本論文以日本殖民時期的漢語教材『最新華語教科書』與大韓民國建立後編寫的漢語教材『中國語讀本』爲底本,對自1940年到1950年代前後漢語教育的情況加以梳理,並考察了對漢語教育的目的及認識的變化。另外,分析研究了教材中詞彙的常用性,並與現代漢語詞彙進行比較,探討了其在詞義、詞形及使用上的演變情況。本論文的主要內容可概括如下。 第一章,在緖論部分闡明了本論文的研究動機和研究目的,並闡述了研究範圍和研究方法。 第二章,爲便于讀者了解當時漢語教育的情況,介紹了『最新華語教科書』和『中國語讀本』的編者和時代背景,並分析了課本的內容與結構。日本殖民時期編寫的『最新華語教科書』的內容都是以會話爲主,而『中國語讀本』則是曆經6.25戰爭等多事之秋後,爲了深入了解中國和中國文化而編寫,因此課本除了會話內容外,還包括了各種文化作品及中國曆史等。 第三章,本論文爲了研究課本的詞彙,以現代漢語詞彙分類法,詞性分類法,常用性分類法爲基准,爲三大部分加以區分研究。 第四章,對兩部教材中的詞彙進行了分析。首先闡述了課本的詞彙量,按照詞性分析詞彙的特征。其次根據『漢語水平詞彙與漢字等級大綱』(『等級大綱』)的甲、乙、丙、丁分析詞彙的常用性,跟『等級大綱』一致的詞彙稱爲 "常用詞彙",不一致的詞彙稱爲 "非常用詞彙"。非常用性詞彙裏出現的多是方言、新造詞語、外來語等反映時代性的詞彙,通過這些詞彙可了解當時韓國及周圍國家的社會、文化等情況。 第五章,考察了詞彙的詞義、詞形的演變。與現代標准漢語相比,在詞義上有擴大和縮小的變化。另外詞的形態上出現朝多音節發展、同素逆序語、同義異形語的特征。這些變化反映出初期現代漢語的演變及發展情況。 第六章,對上述研究結果加以總結。 通過本論文的研究可了解隨時代變化的漢語教育的情況及教材的內容,而且這兩部教材中的詞彙反映了初期現代漢語的特征,對詞彙加以考察是一項有意義的研究。希望本論文對今後漢語教育史及初期現代漢語的研究能提供一定的借鑒作用。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