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0 Download: 0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중국어 발음 교수학습 자료 개발

Title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중국어 발음 교수학습 자료 개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on Chinese Pronunciation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Authors
김미혜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재돈
Abstract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중국어이며 약 11억이 넘는 사람이 중국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볼 때 중국어 학습은 필수적이다. 정안학생을 위한 중국어 교육은 교양과목 중 하나로 중학교 <생활중국어>부터 고등학교 <중국어Ⅰ․Ⅱ>까지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체계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반면에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에도 중국어가 교양과목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음에도 단위 학교에서 선택하는 곳이 없어 중국어에 관심이 있거나 흥미가 있는 학생들이 중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 교육의 기본이 되는 발음을 교수하고 학습 할 수 있는 자료를 개발함으로써 학령기 시각장애학생에게 중국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고의 연구 대상은 맹과 저시력을 포함하는 시각장애학생이며, 연구범위는 표준 중국어 발음이며, 언어의 4가지 기능 중 듣기와 말하기 기능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의 연구 범위와 방법을 규명한다. 제 Ⅱ장에서는 시각장애의 정의와 교육의 특수성에 대해 이해하고, 정안학생의 영어과 교육과정과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영어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중국어 발음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해 정안학생을 위한 중학교 <생활중국어>5종 교과서를 분석하여 1종을 선택 한 후, 대상에 적합하도록 교재를 재구성 하였다. 또한 시각장애학생의 교육현장에 대한 선행조사를 분석하였으며, 시각장애학생에게 중국어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교육현장을 파악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중국어 발음 모의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을 진행하며 매 수업 종료 후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에 대한 피드백을 수렴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모의 수업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중국어 발음학습을 돕기 위한 구강모형 촉각자료를 개발하였다. 또한 시각장애학생의 사용빈도가 높은 휴대용 점자정보단말기 한소네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 학습 자료는 재구성 한 중학교 <생활중국어> 교과서의 내용 중 발음 부분과 연계하여 제시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시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 발음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발음지도방안에는 제 Ⅳ장에서 개발한 구강모형 촉각자료와 학습 자료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Ⅵ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가 시각장애학생의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갖는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 연구가 시각장애학생에게 중국어 교육의 기회를 열어주고 중국어 교사에게는 시각장애학생을 교수할 수 있는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고, 실제 시각장애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시각장애 뿐 아니라 다른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중국어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Chinese language is the most commonly used language in the world at present. Considering the fact that Chinese is used by over 1.1 billion people, learning it might be thought essenti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for sighted students is provided in textbooks of academic subjects, such as in a junior high school course, and in a high school course, both of which are organized in a systematic manner. On the contrary, the “2011 Special Education Curriculums” for students who are visually impaired includes a Chinese course as one of its academic subjects, but few component schools select the course. Consequently, opportunities for studying Chinese are rarely given to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learning the language. This study aims to develop basic Chinese language educational teaching materials on pronunciation so that opportunities for studying Chinese can be provided to visually impaired school-a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cluding those suffering from blindness and low vision. The scope of this study is standard Chinese pronunciation, with particular focus on listening and speaki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I identifies the purpose and the need for such a study, and gives an overview of precedent studies in order to establish its scope and method. Chapter II defines visual impairment, discusses the specificity of education, and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English language curriculums for sighted students and English language special curriculum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on Chinese pronunciation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is study analyzes five textbooks for sighte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t then selects one of them, and reorganizes the textbook to make it suitable for target students. Precedent studies on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are also analyzed, and teachers instructing Chinese to visually impaired students are interviewed in order to ascertain the current status of the related educational arena. Chapter III explains how Chinese pronunciation mock classes are designed and taught. Feedback was collected on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after every class. Chapter IV develops tactile materials which can be handled by the students, such as denture models, based on the results of mock classes, in order to aid and improve efficiency in learning Chinese pronunciation. The chapter also includes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usable on a portable Braille information instrument manufactured by HIMS called “Braille Sense,” which is frequently used by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ese learning materials are connected to pronunciation sections contained in the reorganized in a junior high school course. Chapter V suggests teaching methods of Chinese pronunciation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cluding a series of methods that can utilize the tactile materials using the denture models and the learning materials introduced in Chapter IV. Chapter VI describ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ising from this study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open new opportunitie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to get access to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for Chinese language instructors to better understand teaching methods and directions for those students, and that this study will be widely utilized in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further studies on Chinese language teaching methods not only for the visually impaired, but also for other types of students who are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nee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