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대화분석론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과서 대화문 분석

Title
대화분석론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과서 대화문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versation Dialogues in Chinese Language Textbooks Applied Conversation Analysis (CA)
Authors
소숙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옥주
Abstract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과서의 대화문이 교수 학습의 구심점이자, 학습자의 중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주된 매개물이라는 점에서, 교과서 대화문 연구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해 제작된 교과서가 2014년도 3월부터 사용되고 있는 시점에 현행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분석 연구는 향후 교과서 제작에 밑거름이 되는 중요한 작업이다. 그러나 최근 2-3년간 이루어진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Ⅰ)에 관한 연구는 다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 하였으며, 특히 교과서 대화문 관련 연구는 언어학과 언어교육계의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해 2013년도까지 사용된 중국어Ⅰ 교과서 9종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해 2014년도부터 사용되는 현행 교과서 5종을 대상으로 교과서 대화문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분석틀에 있어 대화분석론의 대화의 국부 단위인 인접 쌍과 응답 화행의 선호 구조, 그리고 대화의 전체 단위인 연속체 개념을 도입하였다. 기존의 화행론과 사회언어학적 분석틀에 의한 화행 층위의 교과서 대화문 분석을 넘어, 유도화행과 응답화행으로 구성된 인접 쌍 층위와 인접 쌍과 인접 쌍의 결합 관계로 구성된 연속체 층위에서 교과서 대화문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과서 대화문은 9종과 현행 5종 공통적으로 개인의 생각, 감정, 주장을 표현하는 ‘평가-동의/비동의’의 인접 쌍 유형의 비중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서 대화문은 9종과 현행 5종 공통적으로 약 20% 정도 유도화행에 대한 응답화행을 제시하지 않았다. 인접 쌍을 의사소통의 기본 단위로 볼 때, 응답 화행이 제시되지 않은 유도 화행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어렵다. 셋째, 교과서 대화문은 9종과 현행 5종 공통적으로 비선호 응답에 비해 선호 응답의 비중이 높다. 따라서 미응답 제시율을 낮추고 비선호 응답을 추가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과서 대화문은 연속체 층위에서 예상과 달리 단순한 2항적 구조의 1유형보다 다항적 구조인 두 개 이상의 연속체가 결합된 구조의 비중이 높았다. 교과서 대화문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교과서 대화문이 제시하지 않은 ‘평가-동의/비동의’의 인접 쌍 유형을 중심으로 대화문 수정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선호성을 갖는 응답 화행을 포함하는 ‘요청-수락/거절’, ‘제의-수락/거절’, ‘사과-수용/거부’, ‘칭찬-거부/수용’ 인접 쌍 유형에 한해 비선호 응답 유형을 포함하는 대화문을 제시하였다. 대화문의 수정방안 제시를 통해, 실제 담화 자료의 인접 쌍 유형별 비중을 고려하여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인접 쌍 유형을 포함하도록 교과서 대화문을 제작할 것, 학습자가 교과서 대화문을 통해 유도 화행뿐 아니라 그에 따른 응답 화행도 학습할 수 있도록 교과서 대화문을 구성할 것, 학습자가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응답 화행과 대화 구조를 교과서 대화문이 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것을 제언하였다.;On actual site of education, conversation dialogues of textbooks is a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main vehicle for cultivating Chinese communication ability of learners, so a study on conversation dialogues of textbooks is essential work. Also, as the textbook produced by 2009 revised curriculum started to be used in Mar. 2014, an analytic study on current textbooks is an important work which is foundation for producing following textbooks. Therefore, this thesis conducted an analysis on conversation dialogues of textbooks for 9 kinds of Chinese I textbook used until 2013 based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5 kinds of current textbook used from 2014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For the frame of analysis, adjacency pairs which are local unit of conversation in conversation analysis theory, preference structure of adjacency pairs and sequence which is the whole unit of conversation were introduced. Beyond the analysis on textbook conversation dialogues of speech-act level by analytic frame of existing speech-act theory and social linguistics analysis, an analysis on textbook conversation dialogues was conducted on adjacency pair level organized induced speech-act and response speech-act and on sequence level combining relations between adjacency pairs. As the result of analysis, first, conversation dialogues of high school Chinese I textbook showed low proportion of adjacency pair form of 'assessment-assent/dissent' expressing individual thought, emotion and insistence commonly in 9 kinds and 5 kinds. Second, textbook conversation dialogues didn't suggest response speech-act for induced speech-act commonly in about 20% of 9 kinds and 5 kinds. If considering adjacency pair as a basic unit of communication, it's difficult to study induced speech-act which doesn't suggest response speech-act. Third, 9 kinds and 5 kinds of textbook conversation dialogues showed higher proportion of preferred response than dispreferred response commonly. Therefore, it's necessary to reduce the rate of non-response suggestion and suggest dispreferred response additionally. Fourth, textbook conversation dialogues showed more structure combined by more than two sequences which are polynominal structure than 1 form which is simple binominal structure unlike the expectation, at sequence level. By referring the results of analysis on textbook conversation dialogues, revision plan of conversation dialogues was suggested by focusing on adjacency pair form of 'assessment-assent/dissent' that textbook conversation dialogues didn't suggest. And conversation dialogues including dispreferred response form were suggested for adjacency pair forms of 'request-grant/deny', 'suggest-accept/reject', 'apology-accept/reject' and 'compliment-reject/accept' which include response speech-act with preference. Through the suggestion of revision plan of conversation dialogues, it was suggested to produce textbook conversation dialogues so as to include adjacency pair form used often in actual situation of communication by considering the proportion by adjacency pair form of actual conversation data, organize textbook conversation dialogues so that leaners can study not only induced speech-act but also the response speech-act through the textbook conversation dialogues and organize it so that textbook conversation dialogues can suggest various response speech-act and conversation structures that leaners can select in actual situation of commun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