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강서영 | - |
dc.contributor.author | 박누리 | - |
dc.creator | 박누리 | - |
dc.date.accessioned | 2024-08-19T16:32:10Z | - |
dc.date.available | 2024-08-19T16:32:10Z | - |
dc.date.issued | 2024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232731 | - |
dc.identifier.uri | 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731 | en_US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9054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근대 한국 여성들이 착용했던 서양 모자의 종류를 조사하고, 그 수용 배경과 유행 경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조선 후기 여성들은 유교 사상에 따라 사회적으로 격리되어 외출 시 얼굴을 가리는 쓰개를 착용했으나, 개항 이후 서구 사상의 유입과 더불어 폐면용 쓰개는 양산이나 우산으로 대체되며 점차 사라졌다. 그러는 한편, 일부 상류층 여성들 사이에서는 양장과 함께 서양 모자가 소개되었다. 당시 서구 문물은 주로 일본을 통해 유입되었고, 여성의 서양 모자는 일본식 표현으로 추정되는 ‘부인모’ 또는 ‘부인모자’라는 통칭으로 불렸다. 이후 일부 모자에는 구체적인 명칭이 사용되기도 했다. 서양에서는 카플린, 보터, 브레톤, 보닛, 티롤리안 햇 등 다양한 모자가 유행했으며, 클로슈, 토크, 필박스 햇, 베레, 터번 등도 인기를 끌었다. 이러한 모자들은 사회적·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유행과 쇠퇴를 반복했다. 20세기 초 한국에 유입된 서양 모자들은 세계적인 유행 경향을 따랐다. 미국과 유럽의 화려한 카플린은 일부 상류층에서, 보터와 브레톤은 유학생과 근대 교육을 받은 여학생들 사이에서 착용되었다. 1920년대에는 서양의 플래퍼가 착용했던 클로슈가 국내의 신여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계층의 여성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1930년대에는 서양식 스타일이 대중화되면서 모자도 다채로워졌다. 3·1운동 이후 일제의 통치 방식 변화로 한국어 신문이 발간되고 근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근대 미디어를 통해 대중문화가 확산되었고, 영화 속 배우들의 서양식 스타일이 복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20-30년대 여성의 단발은 서구화를 상징하며 서양 모자와 서양복 착용으로 이어졌다. 1930년대에는 서양식 머리 모양과 서양복을 착용하는 인구가 증가했으며, 양재 강습이 성행하면서 가격 부담 없이 옷을 만들 수 있는 환경도 조성되었다. 또한, 여가 개념의 확산으로 여름철 해변 피서 인구가 증가하면서 피서지 패션 수요가 늘어났고, 다양한 비치웨어와 모자가 유행했다. 한국의 서양 모자 양식은 국내 스타일을 접목한 사례도 확인된다. 1909년 『대한매일신보』에 광고된 옥호서림 상점의 서양 모자는 전통적으로 남성의 관모에 사용되던 말총을 활용해 제작되었으며, 이는 미국에도 수출되었다. 또한, 모시를 사용한 서양 모자도 제작되었다. 이러한 전통 기술과 서구 문물의 창의적 접목은 근대 복식 문화의 주체적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전통 사회에서 모자는 남성의 전유물이었지만, 근대에 들어서면서 서양 모자가 남녀 모두에게 중요한 패션 아이템이 되었다. 근대 한국 여성들이 선보인 서양식 스타일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여성의 변화된 사회적 지위를 반영하였다. 여성들은 새로운 머리 모양, 서양복과 서양 모자를 통해 외모를 변화시키며 전통적 가치관에 도전하고 자아를 새롭게 정의했다. 본 연구는 국내에 도입된 다양한 서양 모자의 유형을 분석하고, 여성들의 수용 과정을 조사하여 한국 근대 여성 모자의 유행 경향을 밝히고자 했다. 연구 결과가 근대 한국 여성의 복식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다양한 문화 콘텐츠 제작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근대 유물의 연대 추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박물관과 학술 기관에서 관련 유물의 보존 및 전시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Western hats worn by modern Korean women, and to elucidate their adoption background and fashion trend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omen, adhering to Confucian ideals of social seclusion, wore head coverings when venturing outside, which gradually disappeared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oncepts during the opening period, replaced by parasols and Western hats among some upper-class women. Western cultural influences primarily entered Korea via Japan, with women's Western hats referred to as 'buinmo' or 'buinmoja' in Japanese-influenced terminology. Subsequently, specific names were adopted for certain hats. Various styles such as the capeline, boater, breton, bonnet, and Tyrolean hat were popular in the West, along with the cloche, toque, pillbox hat, beret, and turban, each experiencing cycles of popularity and decline reflecting the socio-cultural contexts of the time. Western hats introduced to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followed global fashion trends. The glamorous capeline from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ppealed to some upper-class segments, while boaters and bretons gained popularity among femal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those receiving modern education. In the 1920s, the cloche, famously worn by Western flappers, gained significant popularity among diverse strata of Korean women, particularly among the emerging new women. By the 1930s, as Western styles became more mainstream, hats became increasingly diverse.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changes in Japanese governance methods facilitated rapid modern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n-language newspapers. Mass media facilitated the spread of popular culture, with Western-style attire and hairstyles from movies significantly influencing fashion. Short hairstyles among women in the 1920s-30s symbolized Westernization, extending to the adoption of Western hats and clothing. The population wearing Western hairstyles and attire increased in the 1930s, coinciding with the proliferation of sewing lessons, which made clothing more affordable. The spread of leisure activities, including beach vacations during the summer, increased demand for resort fashion, including various beachwear and hats. Examples of Korean Western hat styles combining traditional techniques with Western influences were evident. For instance, hats advertised by the Okho Soreum store in Daehan Maeil Shinbo in 1909 utilized horsehair traditionally used in men's headwear, exported to the United States. Additionally, Western hats made of mosi (ramie) were also produced. Such creative combinations of traditional skills with Western culture illustrate an active approach to modern costume culture. Traditionally the preserve of men in society, hats became important fashion items for both men and women in modern times. The Western styles adopted by Korean women not only reflected passing trends but also challenged traditional values, allowing women to redefine their identities through new hairstyles, Western attire, and ha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various types of Western hats introduced domestically,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adoption among women to elucidate trends in modern Korean women's hat fashion.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aid in understanding modern Korean women's costume culture, serving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diverse cultural content creation. Furthermore, by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for dating modern artifacts, this research hopes to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and exhibition of related artifacts in museums and academic institutions.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I.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II. 한국 여성의 쓰개 문화 5 A. 조선 후기 여성의 쓰개 문화 5 B. 근대 여성의 쓰개 문화 8 III. 근대 서양 여성 모자의 양식 13 A. 사회문화적 배경 13 B. 여성 모자의 양식 17 1. 브림이 있는 유형 18 2. 브림이 작거나 없는 유형 37 IV. 근대 한국 여성 모자의 양식 56 A. 사회문화적 배경 56 B. 여성 모자의 양식 59 1. 브림이 있는 유형 59 2. 브림이 작거나 없는 유형 83 V. 근대 한국 여성 모자의 수용 배경 99 A. 근대 미디어의 확산 99 B. 머리 모양의 변화 103 C. 서양복 착용의 증가 105 D. 여가 개념의 등장 112 VI. 결론 115 참고문헌 118 ABSTRACT 127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193463858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 | 모자, 근대 모자, 여성 모자 | - |
dc.subject.ddc | 600 | - |
dc.title | 근대 한국 여성 모자의 유행과 수용과정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The Trend and Acceptance of Modern Millinery in Korea | - |
dc.creator.othername | Park, Nuri | - |
dc.format.page | x, 129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 - |
dc.date.awarded | 2024. 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