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 Download: 0

네이쥐안 콘텐츠 포스팅 동기 연구

Title
네이쥐안 콘텐츠 포스팅 동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osting involution contents: based on the self-concept clarity,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social support on SNS and fear of missing out
Authors
Ying, Wenyan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윤정
Abstract
중국 코로나 이후에 사회 자원이 빠듯해지자 심한 비교 및 경쟁을 하는 현상인 '네이쥐안' 현상이 퍼지고 있다. 중국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샤오홍슈(Little Red Book)에서 비교 및 경쟁을 일으키는 네이쥐안 콘텐츠가 활성화되고 있다. 사용자들이 로 비교하고 평가하고, 경쟁을 하는 콘텐츠는 월급, 성적, 외모 등 다양한 주제에 적용해 포스팅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네이쥐안 콘텐츠 포스팅 동기인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비교 경향성,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초점을 맞춰, 포스팅 동기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샤오홍슈에서 네이쥐안 콘텐츠 포스팅 이력이 있는 사용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매개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비교 경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자기개념 명확성이 낮을수록 사회비교 경향성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용자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네이쥐안 콘텐츠 간의 상관간계를 살펴보았을 때, 자기개념 명확성이 낮을수록 네이쥐안 콘텐츠 포스팅 행위를 더 하게 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비교 경향성과 네이쥐안 콘텐츠 포스팅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사회비교 경향성은 네이쥐안 콘텐츠 포스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개념 명확성과 네이쥐안 콘텐츠 포스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다섯째, 사회비교 경향성과 네이쥐안 콘텐츠 포스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했다. 마지막으로, 사회비교 경향성과 네이쥐안 콘텐츠 포스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조절효과를 검증했다. 본 연구는 네이쥐안 콘텐츠 포스팅 동기에 실증적인 접근을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비교 경향성,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초점을 맞춰, 사용자의 네이쥐안 콘텐츠 포스팅 동기를 연구하는데 의의가 있다. 후속 네이쥐안과 네이쥐안 콘텐츠 연구에 있어 유의미한 자료가 될 수 있다.;After COVID-19, China's social resources have become strained, and there has been fierce competition and the phenomenon "involution" is growing rapidly. There are also a lot of related tweets on Little Red Book, the users commented, compared, and competed with each other in various aspects such as salary, grades, and appearance.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motivation for posting involution contents based on the self-concept clarity,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social support on SNS and fear of missing out.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users who have had the experience of publishing involuted tweets on Little Red Book.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 performed gradient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ower the self-concept clarity, the higher the social comparison tendency; Secondly, the lower the clarity of self-concept, the more involuted tweets will be posted. Thirdly,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ublication of involution posts. Fourthly, the media effect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on the clarity of self-concept and the influence of internal content posts was verified. Fifth, in terms of social preference and the impact on the posting of involution tweet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elt on SNS was verified.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fear of missing out in the influence of involution posts was verified.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as an empirical study on the posting motivation of involution contents posting. It focuses on the clarity of self-concept clarity,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social support on SNS and fear of missing out. It can be a meaningful material for subsequent involution content posting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