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4 Download: 0

학습 플랫폼 생태계의 구성요소 및 모형 개발

Title
학습 플랫폼 생태계의 구성요소 및 모형 개발
Other Titles
A Study on Constructing a Conceptual and Procedural Model for Learning Platform Ecosystems: An Activity Theory Apporach
Authors
김가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Keywords
학습생태계, 적응형 학습 플랫폼, 지식 창발, 활동시스템, 디지털 플랫폼 생태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일현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ritical elements and structures that facilitate the evolution of a platform into a dynamic learning ecosystem. Throug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key components across data, technology, and organizational domains were explored, essential for the growth and transformation of platform ecosystems. Utilizing Activity Theory as a theoretical lens, universal structures and components integral to platform ecosystems were identified. Activity theory, with its six elements - subject, object, tools, community, rules, and division of labor - provide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ow data, technology,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serve as instrumental tools for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platform owners, complementors, and users. Stakeholder engagement with the platform, each with distinct objectives and motives, leads to the formation of unique activity systems. A three-layered model comprising technology, organization, and activity was developed. The technology layer, forming the base, integrates data and technological aspects and supports the organizational and activity layers. The uppermost activity layer illustrates that ecosystem interactions are fundamentally underpinned by underlying technology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with activities from diverse user groups driving the ecosystem's growth. The study further uncovered that the selection of platform components plays a crucial role in shaping the platform's overall structure. This discovery prompted the creation of a procedural model, which clearly outlines the processes of platform design and management. Expert feedback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refining the activity model and providing clearer insights into the platform's role. Consequently, enhancements were made to the procedural, conceptual, and activity models. The revised activity model effectively illustrates the progression of individual activity systems into an integrated, larger system, demonstrating the platform's ongoing evolution through user interactions, in alignment with the shared object concept of Activity Theory. The validation of the refined models was rigorously conducted through an expert panel, employing a 4-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to assess aspects such as validity explanatory power utility universality and comprehensibility. The findings from this expert evaluation highlighted a high degree of validity for the procedural(M=3.56), conceptual(M=3.5), and activity models(M=3.52). Notably, except for a lower score in the utility of the activity model (.6), all other aspects achieved a content validity index of 1.0.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robustness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models, confirming their validity and effectiveness in the context of platform ecosystem studies. This research presents a univers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platform ecosystems, elucidating how a platform's structure varies based on design intentions and transforms into an ecosystem through Activity Theory. It underscores the dynamic nature of platforms, evolving through stakeholder interactions, and emphasizes the need for considering multiple perspectives in platform design.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daptive learning spaces and the role of platform owners in shaping ecosystem evolution, offering insights into the foundational structure common to all platforms and the procedural aspects guiding their development.;제 4차 산업 혁명의 도래는 현대 사회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사회의 물리적, 기술적, 생물학적 경계를 허물고, 인간의 행동과 상호작용 양상을 변화시켰다(Castells, 1996). 특히 플랫폼 경제의 부상은 전통적인 생산과 소비의 경계를 허물어 노동 시장의 구조와 직무 역할을 개편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 현대 사회는 다양한 기술과 역량을 갖춘 새로운 인재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교육 시스템에도 변화를 야기하였다. 교육 시스템은 전통적인 고정된 교육 과정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개별적 역량 습득을 지원하는 적응형 학습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학습 플랫폼은 테크놀로지이자 학습자들이 학습을 구성하는 학습 환경이다. 학습자는 학습 플랫폼을 통해 개별화된 학습 경험을 겪으며 지식의 가치를 생성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학습 플랫폼은 하나의 생태계로 작동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학습 플랫폼 생태계 내에서 학습자와 플랫폼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가치 생성 과정에 대한 시스템적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습 플랫폼 생태계의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학습 플랫폼 생태계의 개념, 절차, 활동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화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플랫폼 생태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둘째, 학습 플랫폼 생태계의 모형은 타당한가? 본 연구는 플랫폼 생태계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문헌 분석을 실행하였다. 총 157건의 문헌을 선정하여 데이터, 기술, 조직, 활동 영역으로 구성요소를 분류하였다. 또한 데이터 분석을 위한 이론 탐색의 결과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을 이론적 틀로 선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영역별로 데이터를 분류한 후 통합한 결과, 데이터 영역에는 데이터 유형, 데이터의 처리 방법, 개발자 리소스의 세 범주와 12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기술 영역은 알고리즘, 모듈, 시스템, 대시보드, 기능의 다섯 범주에서 총 20개의 구성요소를 확인하였다. 조직 영역은 조직 경영, 조직 가치, 핵심 상호작용, 운영 시스템, 인지적 도구의 다섯 범주로 분류되었으며 총 13개 구성요소가 포함되었다. 그 결과 총 45개의 요소를 플랫폼의 구성요소로 도출하였다. 활동이론은 특정한 목적을 가진 주체가 객체를 변환시키는 과정을 활동으로 정의하며, 활동은 도구에 의하여 매개된다. 플랫폼 생태계를 활동이론의 구성 요소인 주체, 객체, 도구, 공동체, 규칙과 분업으로 나누어 볼 때, 플랫폼의 데이터, 기술, 조직 영역은 플랫폼의 구조로, 주체의 활동을 매개하는 도구에 해당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플랫폼의 세 행위자로 언급되는 ‘소유자(platform owner)’, ‘컴플리멘터(complementor)’, ‘사용자(user)’는 플랫폼 생태계의 주체이다. 플랫폼 생태계에서 서로 다른 주체는 플랫폼 구조를 동일한 매개 도구로 활용하지만, 각 주체가 변화시키고자 하는 객체(object) 및 동기가 다르며 그에 따라 활동 시스템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도출된 플랫폼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테크놀로지, 조직, 활동의 세 레이어로 구성된 1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1차 모형의 테크놀로지 레이어는 데이터와 기술 영역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조직 레이어와 함께 활동 레이어의 도구로 활용된다. 이러한 모형을 통해 활동 레이어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과 생태계의 기반에 테크놀로지와 조직이 도구로 존재하며, 도구를 중심으로 형성된 세 주체별 활동 시스템과 그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태계가 발생한다는 점을 나타냈다. 또한 문헌분석 과정에서 플랫폼 설계 과정에서의 구성요소에 대한 선택이 플랫폼 구조를 결정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그에 따라 플랫폼 소유자가 플랫폼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플랫폼 생태계 절차모형을 제작하였다.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모형 초안에 대한 전문가 검토 의견을 폭넓게 수집하였다. 그 결과 절차 모형에서 플랫폼을 특정화 하는 과정을 강조할 필요성이 있어 예시를 통해 절차모형과 개념모형의 관계를 보완하였다. 또한 기존 모형에서 활동 시스템이 강조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어, 플랫폼 활동 모형을 분리하여 제시하였다. 거시적 활동 모형을 통해 플랫폼에 진입한 세 주체의 활동 시스템이 하나의 큰 활동 시스템으로 발전한다는 점을 시각적으로 강조하였으며, 주체별 활동 시스템에서 주체와 객체 사이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플랫폼이 계속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보였다. 전문가 인터뷰를 반영한 수정 모형은 전문가 패널에게 공유한 후 4점 척도의 질문지를 통해 타당성, 설명력, 유용성, 보편성, 이해도 평정을 확인하였으며 그 내용타당도(CVI)와 평가자 간 일치도(IRA)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절차모형(M=3.56)과 개념모형(M=3.5), 활동모형(M=3.52)은 비교적 높은 타당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플랫폼 생태계의 보편적 구조를 제공하였으며, 절차모형을 제시하여 설계의 목적에 따라 플랫폼의 구조가 다르게 결정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활동이론의 틀을 통하여 플랫폼이 플랫폼 생태계로 변모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