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 Download: 0

오류배제학습 기반 의미자질분석 이름대기 중재가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언어 및 인지 능력에 미치는 일반화 효과

Title
오류배제학습 기반 의미자질분석 이름대기 중재가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언어 및 인지 능력에 미치는 일반화 효과
Other Titles
The generalization effects of semantic feature analysis naming treatment based on errorless learning on language and cognitive abilities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Authors
김주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우리나라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치매 환자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중앙치매센터, 대한민국 치매현황, 2022). 치매 유형 중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약 75.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중앙치매센터, 대한민국 치매현황, 2021). 알츠하이머성 치매(Alzheimer’s Disease, 이하 AD) 치료를 위해 다양한 약물 중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보통 약물 중재가 효과가 있는 기간은 치매 초기 6개월에서 12개월로 보고되고 있어(Omerovic et al., 2008; 김형섭 & 김용욱, 2014), 치매 중기 이후에는 부작용 위험이 적은 비약물적 중재가 우선 되고 있다(Gitlin, Kales & Lyketsos, 2012). 따라서 AD 환자의 인지 기능의 개선 및 유지를 위한 비약물적 중재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모경옥, 성지은 & 정지향 2015; Beales et al., 2021; 김지성 & 성지은, 2022). 또한, 비약물적 중재는 환자 및 가족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에(Akkerman & Ostwald, 2004; 박건우, 2004; 이석범 & 김기웅, 2009) AD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 치매 진행 속도를 늦추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 연구는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AD 환자는 의미체계의 손상으로(Hodges, Salmon & Butters, 1992; Martin & Fedio, 1983) 이름대기 결함이 치매 초기부터 나타나고(Appell, Kertesz & Fisman, 1982; Cummings, Benson, Hill & Read, 1985), 치매가 진행될수록 언어 이해와 자발화 산출에도 영향을 받아 심각한 언어 장애를 보이게 된다(Mathews, Obler & Albert, 1994). 따라서 최근 AD 환자를 대상으로 의미체계 손상에 중점을 둔 의미자질분석(semantic feature analysis, SFA) 중재를 활용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모경옥, 성지은 & 정지향, 2015; 강지윤, 성지은 & 이수은, 2015; Flanagan et al., 2016). 선행연구들은 실어증의 이름대기 중재에 주로 쓰이는 SFA 방법을 참고하였다(Kiran & Thompson, 2003). SFA는 목표 어휘를 산출하기 위해 어휘와 관련된 의미자질을 강화하고 관련 없는 의미자질과 대조를 통해 의미적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방법이다(Boyle & Coelho, 1995). 그러나 실어증 환자에게 적용한 SFA를 그대로 AD 환자에게 실시한다면, 기억력 결함으로 인해 중재 과정 중 목표 어휘와 관련 없는 의미자질을 구분하지 못해 학습할 수 있고 잘못된 어휘를 반복해서 산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학습 단계에서 오류 발생을 제한하여 기억력 결함을 보완하고 의미자질을 함께 고려한 이름대기 중재법이 AD 환자에게 필요하다. 그러나 AD 환자의 기억력 결함 및 의미체계 손상을 함께 고려한 이름대기 중재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AD 환자는 외현기억(explicit memory)에 비해 암묵기억(implicit memory)이 상대적으로 보존되어 있는데(Greene, Baddeley & Hodges, 1996; Lee et al., 2009; 이석범 & 김기웅, 2009) 암묵기억을 사용하면 중재 효과를 높일 수 있다(Harrison, Son, Kim & Whall, 2007). 암묵기억을 활용한 기억력 중재 방법으로는 오류배제학습(Errorless learning, EL)이 있다. 오류배제학습은 다양한 기억력 과제 중재를 위해 사용되었으며(Clare, Wilson, Breen & Hodges, 1999; Kixmiller, 2002; Provencher, Bier, Audet & Gagnon, 2008), 효과적이었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오류배제학습은 단순한 기억력 중재에는 효과가 있지만 복합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는 정보 학습에는 활용이 어렵고 일반화와 유지에도 제한을 보여 다양한 기억력 중재 방법들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이석범 & 김기웅,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초기 중증 및 중증의 치매 환자들을 중재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중재집단에게만 오류배제학습 기반 의미자질분석 이름대기 중재를 실시하여 (1) 집단 내 사전ㆍ사후간 명사 이름대기 수행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2) 집단 내 사전ㆍ사후간 언어 및 인지검사 수행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3) 집단 간 사전ㆍ사후 언어 및 인지검사 수행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중재집단은 이름대기 3개의 목록(중재명사, 중재명사와 의미적 연관성이 있는 비중재명사, 중재명사와 의미적 연관성이 없는 비중재명사)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 수행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중재가 AD 환자의 어휘 검색 능력을 최적화하여 중재명사뿐 아니라 비중재명사 이름대기 수행력 또한 향상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중재집단 내 의미 유창성 과제 중 동물 이름대기 수행력이 사전보다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의미 유창성 과제는 대면 이름대기 능력과 상관관계가 있어(Randolph et al., 1993) 본 연구의 이름대기 중재가 AD의 의미 유창성 과제 중 동물 이름대기 수행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중재집단은 집단 내 그 외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사전 언어 및 인지능력을 사후에도 유지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은 집단 내 숫자 폭 과제 수행력이 사전보다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중재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후 동사 유창성 과제에서 근소한 차이로 유의하지 않았다. 두 집단 모두 사전보다 사후에 수행력이 감소하였지만, 중재집단은 사전 동사 유창성 과제 수행력을 사후에도 비교적 유지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사전 동사 유창성 과제 수행력에 비해 사후에 더 많이 감소하여 큰 감소폭을 보였다. 즉, 본 연구의 이름대기 중재가 AD 환자의 동사 유창성 수행력 유지에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AD 환자의 기억력과 이름대기 결함을 함께 고려한 이름대기 중재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찾아보기 힘들며, 초기 중증 및 중증의 AD 환자 이름대기 중재 효과를 중재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이름대기 중재의 중요성을 살펴본 연구도 국내외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AD 환자를 중재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오류배제학습 기반 의미자질분석 이름대기 중재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Korea is rapidly becoming an aging society, and the number of Alzheimer’s Disease(AD) patients is increasing accordingly. Pharmacological treatment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treat dementia, but limitations in effectiveness and possible side effects have been reported(Omerovic et al., 2008; Kim & Kim, 2014; Gitlin, Kales & Lyketsos, 2012), so research on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to improve and maintain cognitive function in AD patients is being conduct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Clare et al., 2000; Mo et al., 2015; Kim & Sung, 2022). Therefore, at a time when the number of AD patients in increasing,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studies are continuously needed to slow down the progression of dementia by helping improve communication and daily life. In AD patients, naming defects appear from the early stages of dementia(Appell, Kertesz & Fisman, 1982; Cummings, Benson, Hill & Read, 1985) due to damage to the semantic system(Hodges, Salmon, & Butters, 1992; Martin & Fedio, 1983). Therefore, recent studies using semantic feature analysis(SFA) treatment focusing on semantic system damage have been report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Mo et al., 2015; Kang et al., 2015; Flanagan et al., 2016). Previous studies referred to the SFA, which in mainly used in naming intervention for aphasia(Kiran & Thompson, 2003). However, if the same SFA applied to aphasia patients is performed to AD patien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may learn semantic features unrelated to the target vocabulary during the intervention process due to memory defects and produce incorrect vocabulary repeatedly. Thus, AD patients need a naming treatment that compensate for memory deficits by limiting errors during the learning stage and consider semantic features together. But, there is a lack of naming intervention research considering memory and semantic system deficits in AD patients. AD patients have relatively preserved implicit memory compared to explicit memory(Greene, Baddeley & Hodges, 1996; Lee et al., 2009; Lee & Kim 2009),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can be increased by using implicit memory(Harrison, Son, Kim & Whall, 2007). An intervention method that utilize implicit memory is errorless learning(EL). However, EL is effective in simple memory intervention, but is difficult to use in information learning that requires complex skills, and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and retention, so it is often used in conjunction with various memory rehabilitation techniques(Lee & Kim 2009). Therefore, in this study, 10 AD patients with GDS(Global Deterioration Scale) stage 5 and 6 were divided into the treat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n, the semantic feature analysis naming treatment based on errorless learning was applied only to the treatment group to (1)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post noun naming performance within the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s, and (2)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post language and cognitive test performance withi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it was examined (3)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post language and cognitive test performa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first, the treatment group’s post naming performance compared to the pre naming perform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hree naming lists(the treated noun list, the untreated noun list that semantically related treated noun, the untreated noun list that semantically unrelated treated noun). This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in this study may have optimized the noun naming ability of AD patients, thereby increasing naming performance for not only treated nouns but also untreated nouns. Second, among the semantic verbal fluency task in the treatment group, post animal naming performanc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 test. The semantic verbal fluency task is correlated with confrontation naming ability(Randolph et al., 1993), suggesting that the naming treatment in this study had an effect on improving semantic verbal fluency ability in AD. Although the treatment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language and cognitive test, language and cognitive abilities were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post-performance on the Digit span test(DST) in the control group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pre-performance. This is the same result as previous study(Loring et al., 2016) that AD patients show low performance in DST due to auditory working memory defect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the pre and post verb fluency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But, the treatment group’s performance on the post-verb fluency task decreased by 0.2 points compared to pre-verb fluency task, and the control group’s performance on the post-verb fluency task decrease by 1.2 points compared to pre-verb fluency task. In other words, it is believed that the naming treatment of this study helped to maintain the verb fluency performance of AD patients. Research on naming interventions that consider both memory and naming defects of AD patients is difficult to fin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studies examining the importance of naming interventions by dividing the GDS 5 and 6 AD patient naming interventions into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are also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D patients were divided into an intervention group and a control group to examine the effect of semantic feature analysis naming treatment based on errorless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