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 Download: 0

윤리적 갈등 경험을 통한 저 경력 전문상담교사의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윤리적 갈등 경험을 통한 저 경력 전문상담교사의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Growth of Low-career School Counselors Through Ethical Conflict Experience
Authors
류신혜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저경력 전문상담교사, 윤리적 갈등, 성장, 현상학적 연구, low-career school counselors, ethical conflicts, growth, phenomenological research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저 경력 전문상담교사의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이들이 인식한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여기서 윤리적 갈등이란 중요한 가치가 충돌할 때, 두 개 이상의 전문적인 책임과 가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는 것을 말한다. 전문상담교사는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상담 과정에서 학교라는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윤리적 행동을 위해 고려해야 할 상황이 많기에 다양한 윤리적 갈등을 겪게 된다.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윤리적 갈등 중에서도 비밀보장, 다중관계, 전문성과 관련된 갈등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국내의 경우 학교 상담법이 제정되지 않아 학교 상담의 법적 근거도 없을 뿐 아니라 통일되고 구속력 있는 윤리강령도 정립되지 않아 현장 전문상담교사의 윤리적 갈등과 관련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저 경력 상담교사들의 경우, 제대로 된 윤리 관련 교육이나 연수도 받지 못한 채 현장에 배치됨으로 인해, 다양한 윤리적 갈등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막막함과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고 있다. 상담자 윤리는 상담자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때 반드시 알고 실천해야 하는, 행위규범으로써 내담자뿐 아니라 상담자 자신을 보호하고, 직무 수행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며, 상담 진행 시 참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이 되기에 매우 중요하다. 이처럼, 학교 상담자 윤리도 학교 상담 전문가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전문직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중요성을 지닌다. 따라서 학교 현장의 전문 상담교사들의 윤리적 갈등을 탐색하는 것은 앞으로 학교 상담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저 경력 상담교사의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에 주목한 것은 최근 몇 년 동안 전문상담교사의 배치가 폭발적으로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어려움을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지원은 부족하였기에 ,현장의 목소리를 현상학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의미있고 시의적절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저 경력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가?' 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으며, Giorgi(1985, 1997, 2004)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자의 해석보다는 참여자들의 경험 세계에 집중하여 저 경력 전문상담교사들의 경험 세계에 따른 개별적이고 상황적인 특성과 함께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특성을 각각 추출하고, 이를 종합하여 현상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Giorgi(2004)의 연구 방법에 따라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저 경력 전문상담교사 10명을 목적 표집을 통해 선정하였고, 1:1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5개의 본질적 주제의 드러난 주제, 132개의 의미 단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먼저, 상황적 구조 기술에서는 연구 참여자 10명의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의 개별적 의미구조를 기술하였고, 일반적 구조 기술에서는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의 공통된 의미구조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드러난 저 경력 전문상담교사의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의 본질적 주제는 ‘사명감을 가지고 붙들게 되는 전문성 향상 의지’, ‘비밀보장 갈등 속에서 다져지는 상담자의 인내심과 결단력’, ‘설득력과 협상력을 바탕으로 찾아가는 상담자와 교사로서 균형잡기’, ‘윤리적 딜레마 속 키우게 된 신념을 위한 의연함과 용기’, ‘윤리적 갈등을 수용하고 새롭게 품게 된 성장에 대한 희망’이었다. 이러한 5개의 본질적 주제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상담자로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분야에서의 상담이 윤리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전문성을 넘어서는 상담을 할 수밖에 없는 학교 상담의 특수성으로 인해 윤리적 갈등을 경험하였다. 특히, 전문성과 관련한 윤리적 원칙을 이해하지 못하는 동료 교사나 관리자들로부터 무책임한 교사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두려움과 학생에 대한 책임감으로 인해 자신 없는 상담을 계속하였으나, 이것이 과연 내담 학생을 위한 것인지 갈등하였으며, 내담 학생이 나아지지 않고 문제가 반복될 때, 자신의 전문성에 대해 회의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은 학교의 유일한 상담 전문가로서 사명감을 붙들고, 자신의 전문성을 항상시켜, 내담 학생을 도울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자 노력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 상담에서 비밀보장 원칙과 관련한 윤리적 갈등을 경험했다. 학부모, 동료 교사 및 학교 관리자로부터 상담 내용을 공개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을 받았으며, 이는 학교 상담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윤리적 문제 중 하나로 국내외 선행연구에서도 지적된 바 있다. 특히, 자해 및 자살 시도와 같은 위기 사례의 경우, 사례의 복잡성으로 인해 비밀보장 예외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웠으며, 비밀 유출로 인해 학생과의 신뢰가 훼손되는 상황도 발생하였다. 하지만, 참여자들은 이러한 비밀보장과 관련한 윤리적 갈등 상황에서 취약한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상담자의 직관력과 고통에 대한 인내심을 키우게 되었다고 고백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와 상담자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학교 상담의 독특한 상황 속에서 다중관계로 인한 윤리적 갈등을 경험하였다. 그들은 학교에서 주어지는 상담과 무관한 역할들로 인해 상담자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어려웠으며, 비자발적으로 다중관계에 처하게 되면서 무력감과 슬픔을 경험했다. 하지만, 이들은 이러한 윤리적 갈등 속에서도 동료 교사와 관리자들을 설득하고, 이들과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협상력과 설득력을 키울 수 있었다. 그들은 윤리적 의사 결정 과정에서의 학교 내 지지적 관계의 중요성과 함께, 학교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다중관계 속에서 교사와 상담자의 역할을 균형 있게 수행하고, 서로 다른 의견과 생각을 조정하며,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능력임을 깨닫게 되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한 윤리적 갈등의 의미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키우게 된 신념을 위한 의연함과 용기로 드러났다. 참여자들은 내담자의 유익과 윤리 원칙이 충돌하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용기 있는 결정을 하는 경험을 공유하였고, 이를 진정한 윤리적 딜레마로 인식하였다. 그들은 윤리 원칙 자체의 준수를 강조하는 ‘관습적 윤리’와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판단이 가능하다고 보는 ‘상황적 윤리’의 충돌 속에서 고통과 혼란을 경험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내담자의 유익을 선택하는 의연함과 용기를 키우게 되었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윤리적 갈등 경험을 통해, 학교 상담자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수용하였고, 이를 성장의 과정으로 받아들였다. 연구를 통해 참여자들의 경력과 경험에 따라 현장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갈등의 양상도 다양함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다른 상담 경력이 있는 참여자들이 윤리적 갈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더 강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담 경력이 없는 참여자들은 윤리적 갈등에 대한 인식도 낮아 막연한 불편함 만을 느꼈거나, 자신이 겪은 것이 윤리적 갈등인지조차 인지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참여자들은 결국 학교 상담의 특수성으로 인해 윤리적 갈등이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고, 이러한 이해가 치유적이었다고 했다. 그들은 윤리규정을 학교 현실에 맞게 적용하고 학교 상담자로서 독특한 정체성을 수용하였으며,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을 자아 성숙과 전문성 향상의 과정으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수용은 학교 상담자의 윤리적 발달이 상담자로서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며, 윤리적 갈등 상황에서도 용기를 발휘하여 자신만의 윤리적 철학을 구축하는 데 이바지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최근 학교 현장에서 급속하게 수가 증가한 저 경력 전문상담교사의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드러낸 최초의 연구일 뿐 아니라, 윤리적 갈등을 ‘성장’의 계기로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의 전환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생생한 경험 진술을 통해 그들의 어려움을 현상학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앞으로 이들의 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함과 동시에, 이들이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윤리교육의 형식과 내용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ethical conflicts and coping experiences of low-career school counselors working in school counseling. School counselors play various and vital roles in providing support not only to underage students but also to parents and fellow teachers in various fields such as studies, family, friends, and psychological problems. However, these counseling activities require unique moral responsibility and values, often leading to ethical conflic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thical conflicts experienced in the school field of low-career counselors and how the essential meaning of coping with them was recognized through a phenomenological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low-career school counselors experience ethical conflicts and give the following meanings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them: First, counselors experienced ethical conflicts related to professionalism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responsibilities of school counseling. They experienced an ethical conflict between evaluation from fellow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the principle of non-harm for clients in that they had no choice but to provide counseling beyond their capabilities. However, they eventually held on to their mission to help students, made efforts to improve their expertise, and emphasized the need for professional education and support to help them. Ethical conflicts related to the confidentiality principle also occur very often among school counselors, and participants experienced confusion amid continuous demands from parents, fellow teachers, and managers to disclose counseling information, lack of education and guidelines related to confidentiality, and experienced trust damage and pain due to confidentiality leakage. However, as a result, participants were able to develop intuition and resistance to pain as counselors in the context of ethical conflicts related to confidentiality. In addition, counselors experienced ethical conflicts due to multiple relationships that required them to perform both counselor and teacher roles simultaneously. Multiple relationships are strictly prohibited in general counseling because they can negativel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counseling. However, these multiple relationships are inevitable in the school counseling environment, so school counselors were required to have leadership skills to cope with ethical conflicts in multiple relationships, and they developed these abilities. Next, the participants shared the experience of making courageous decisions in an ethical dilemma where the client's benefits and ethical principles collide and recognized this as a true ethical dilemma. They experienced pain and confusion amid this conflict between customary and situational ethics. However, in the process, they developed the courage to choose the client's benefits over the counselor's safety.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ethics education and argued that they should practice ethical choices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cope with ethical dilemmas. As such, through experience, participants understood that ethical conflicts were inevitable for school counselors and accepted them as a process of self-maturity and professional improvement. This acceptance has shown that ethical development moves toward following internal principles, exerting courage even in ethical conflict situations, and contributing to building its ethical philosophy.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plore the ethical conflicts and coping experiences of low-career school counselors in depth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It is expected to help reveal their difficulties and provide practical support.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a change in perspective that can look at the ethical conflict of school counselors as an opportunity for grow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