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 Download: 0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to University Life: Focusing on the Case of A University
Authors
김에스더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adaptation among Korean students and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A University in Korea. It aim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adaptation and contribute to assisting the adapt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by doing so. With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international students, there is a growing emphasis on quality management.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IEQAS)' for attracting and managing international students. While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continues to rise, research on their university adaptation is limited to students from certain countries such as China, Mongolia, Vietnam, and there is a relative scarcity of studies involving students from diverse nations. Therefore, this study was initiated to address this gap. Additionally, the research seeks to contribute to providing a high-quality study environment for the consistently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encouraging more high-quality international students to choose South Korea as their study dest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niversity adapt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to expand support for enhancing thei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e main research question is,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niversity adapt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t A University?" To achieve this,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overall level of university adaptation among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at A University. Additionally, it seeks to explore the impact of educational variables that contribute to the adapt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aid in understanding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to Korean students, is there a difference in university adaptation between international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1-1. Are there differences in university adaptation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1-2. Are there differences in university adaptation based on university environmental factors? 2. In comparison to Korean students, what factors influence the university adapt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2-1. What factors influence academic adaptation? 2-2. What factors influence social adaptation? 2-3. What factors influence emotional adaptation? 2-4. What factors influence physical adaptation? 2-5. What factors influence attachment to university lif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Mixed Methods Research approach,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employed. Specifically, a Convergent Design was utilized within the framework of mixed methods research. The study participants were undergraduate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sangbuk-do.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component, data from a school life survey conducted during the 2023-1 academic semester were used.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ll undergraduate students, and a total of 978 respondents (897 Korean students, 81 international students) provided analyzable responses related to university adaptation.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component, in-depth interview data from seven individual interview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First,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level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university environmental factors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Second,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University Life Adaptation Scale. Third, independent sample t-tests, Wilcoxon rank-sum test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university adaptation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university environmental factors. This aimed to explore group differences based on mean sizes. Four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university environmental factors, and university adaptation. Fif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adaptation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university environmental factors.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by coding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rich textual data. Open coding was used to analyze in-depth interview data sentence by sentence. By closely examining the in-depth interview data, key themes and patterns were identified, allowing for a structured interpretation of the data. Similar experiences among participants in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ded. During interviews with students, consent was obtain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imultaneous recording with a recorder and note-taking. Subsequently, transcription work was carried out, and if the content was in English, it was translated into Korean for organization. Open coding was applied to derive key terms from the interview data, which were then categorized into "themes" and "sub-themes." Extracts from in-depth interview data were selected based on themes, and categorized content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result interpretation, the research problem was addressed, leading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both international and Korean students at A University showed difficulties in university adaptation at a moderate level,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nationality. Variables such as 'gender,' 'sense of purpose,' 'degree of economic difficulty,' and 'suicidal ideation' were identified as meaningful factor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dditionally,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did not highlight the factor of 'administrative support' as a major influence, but the qualitative research suggested a need for assistance in this regard. Second, students at A University exhibited a high level of attachment to the school, but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hysical adaptation. Both international and Korean students did not face significant language issues in university adaptation, as courses were offered in Korean or English. They received adequate social support from professors, administrative staff, and friends. The main challenges in university adaptation were related to time management difficulties, especially due to frequent nighttime activities, resulting in attendance problems during class hours. Students with clear learning or personal goals prioritizing academics maintained high grades and set additional goal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university adapt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clude the need for adaptation programs tailored to female students with lower adaptation levels compared to male students. Support for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should be provided to enable students to set clear academic goals.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diverse economic circumstances of individual students, various scholarship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to enable students to continue their studies, and these programs should be provided until graduation. For stress-vulnerable students, the development of stress coping programs and the implementation of emotional support programs are essential.;본 연구는 국내 A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현황을 살펴보고, 대학생활적응을 해나감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해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외국인 유학생의 양적 증가와 함께 질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정부 차원의 질 관리가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 IEQAS(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아래 시행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나, 이들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연구는 중국, 몽골, 베트남 등 일부 국가 출신의 유학생들로 한정적인 상황이며, 다양한 국가에서 온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탐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보여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더불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높은 수준의 유학 환경을 제공하고, 더 많은 양질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우리나라를 유학국으로 선택함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분석하여 이들에 대한 대학생활적응력 제고를 위한 지원을 확대하고자 하며, 주 질문은 ‘A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하여 A대학의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전반적인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살펴보며,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 정도를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인 학생과 비교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1-1. 개인 특성적 요인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1-2. 대학 환경적 요인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2. 한국인 학생과 비교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2-1. 학업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2-2.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2-3. 정서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2-4. 신체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2-5. 대학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융합된 혼합방법연구(Mixed Methods Research)를 수행하였다. 혼합방법연구 중에서도 수렴적 설계(Convergent Design)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A대학교의 학부 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양적연구를 위해 2023-1학기 재학 중인 학부생 전원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던 학교생활 실태 설문조사에서 최종 분석 가능한 답안으로 총 978명(한국인 897명, 외국인 유학생 81)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설문 결과를 사용하였고, 질적연구를 위해서는 7명의 개별면담으로 진행된 심층면담 자료를 사용하였다. 양적연구 결과 분석을 위해서, 첫째, 연구대상자의 개인 특성적 요인과 대학 환경적 요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대학생활적응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인을 위해 신뢰도분석과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개인 특성적 요인, 대학 환경적 요인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점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윌콕슨 순위 합 검정,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평균 크기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넷째, 개인 특성적 요인, 대학 환경적 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다섯째, 개인 특성적 요인, 대학 환경적 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질적연구 결과 분석은 풍부한 텍스트 데이터를 더욱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코드화(Coding)를 실시하였고, 개방코딩(Open Coding)을 활용하여 심층면담 자료를 문장별로 분석하였다. 심층면담 자료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며 주요 주제와 패턴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접근을 통해 자료의 구조화된 해석이 가능해졌다. 심층면담 참여자들의 유사한 경험을 코드화하였다. 학생들과 면담 시, 동의를 받고 녹취를 위해 녹음기와 메모 노트를 병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전사 작업을 진행하였고, 전사한 내용이 영어인 경우에는 한국어로 번역하여 정리하였다. 학생들의 면담자료를 읽으며 개방 코딩 방법을 활용하여 주제어를 도출하였고, 이를 “범주”와 “하위범주”로 분류하여 범주화하였다. 주제에 따라 면담자의 심층면담 자료를 발췌하고, 범주화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는, 자료통합과 결과 해석을 통해 연구 문제에 대한 답안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A대학의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모두 국적에 따른 큰 차이 없이 모두 대학생활적응에 보통 수준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진 변인으로는 ‘성별’, ‘소명의식’ ‘경제적 어려움의 정도’, ‘자살충동’으로 나타났다. 양적연구 결과에서 주요 요인으로 드러나지 않은 ‘행정부서도움’요인은 질적연구 결과에서는 도움이 필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둘째, A대학의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애착정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신체적으로는 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대학생활적응에 있어 대학의 수업이 한국어나 영어로 제공되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어학 문제는 크게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또한, 학교 구성원인 교수, 행정부서, 친구들로부터 사회적지지를 얻음에 있어 어려움이 없었다. 대학생활적응의 어려움은 대부분 시간 관리의 어려움, 특히 잦은 야간활동으로 인하여 수업 시간에 맞추어 기상하지 못하여 출결에 문제가 생겼다. 뚜렷한 학습 목표나 개인적 목표가 있고, 학업을 우선으로 여기는 가치관이 형성된 학생들의 경우, 높은 성적을 유지하며 그 목표를 달성해 나갔고, 또 다른 목표를 세웠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다양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먼저, 여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남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여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 서비스를 도입하여 그들이 보다 원활하게 대학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학업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 동기 강화에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해 개별 학생들의 특성과 목표에 맞춘 맞춤형 컨설팅 및 지도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학업 의욕을 높이고 학업 성취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학생들을 위한 지원도 필수적이다. 개개인이 처한 경제적 환경을 최대한 고려하여,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학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를 졸업까지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학업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며, 학업 포기율 감소 방안으로 작용할 것이다. 끝으로, 스트레스에 취약한 학생들을 위해 스트레스 대처 강화 프로그램과 정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생활은 학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요소들이 작용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감정을 안정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을 높이는데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