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 Download: 0

브이로그 제작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디지털 일상 기록 기술에 미치는 영향

Title
브이로그 제작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디지털 일상 기록 기술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Vlog Production Intervention on Digital Daily Recording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이서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지적장애, 브이로그, 라이프로그, 디지털 일상 기록, 디지털리터러시,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Vlog, Lifelog, Digital Daily Recording Skills, Digital Literac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유리
Abstract
인간은 기록 욕구를 가지며, 과학·기술 발전으로 기록 매체는 디지털 시대에 디지털화됐다. 이 변화는 기록뿐만 아니라 개인 삶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브이로그 제작 활동은 ‘유튜브’를 매개로 하여 전반적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하고 디지털 글쓰기를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브이로그 제작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브이로그 콘텐츠 제작 기술 및 브이로그 텍스트 구성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에 있다. 본 연구는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중재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일상적 주제는 학생들과의 사전 면담 및 브이로그 주제 분석, 이에 대한 선호도 평가를 통해 정하였으며 학생이 사진과 동영상을 찍고 이를 편집하여 유튜브에 올리는 과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브이로그 제작 중재는 브이로그 콘텐츠 제작 중재와 브이로그 텍스트 구성 중재로 구성되었다. 먼저, 브이로그 콘텐츠 제작 중재의 경우 안내지를 사용한 시각적 지원, 모델링, 체계적 교수가 제공되었으며, 브이로그 텍스트 구성 중재의 경우 쓰기 워크숍 형태를 활용하여 미니레슨-초안작성-협의하기-수정하기 단계에 따라 중재가 제공되었다. 브이로그 콘텐츠 제작 기술 수행률의 경우, 학생의 제작 과정을 매 회기 영상으로 녹화하고 사건 기록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브이로그 텍스트 구성 기술 수행 수준의 경우 제작한 평가 기준에 따라 학생의 유튜브 채널에 게재한 브이로그의 자막, 제목 및 태그를 채점하였다. 연구 설계는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지적장애 고등학생 모두 브이로그 제작 중재를 통해 브이로그 콘텐츠 제작 기술 수행률이 증가하였다. 둘째, 세 명의 지적장애 고등학생 모두 브이로그 제작 중재를 통해 브이로그 텍스트 구성 기술의 수행 수준이 증가하였다. 셋째, 세 명의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향상된 디지털 일상 기록 기술(브이로그 콘텐츠 제작 기술, 브이로그 텍스트 구성 기술)은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위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브이로그 제작 중재는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디지털 일상 기록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영향은 중재 이후에도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도 ‘콘텐츠 생산자’가 될 수 있고, 브이로그 제작 활동이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여가 활동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체계화된 중재를 통해 디지털 시대의 역량을 갖출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Humans have a desire to record and recording media has been digitalized in the digital age as it has chang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The digital age not only changes recording media bu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ndividuals' lifestyles, making digital literacy increasingly important in society. Vlog production is an activity that allows you to develop overall digital literacy and experience digital writing through ‘YouTub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vlog production intervention affects digital daily recording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implemented the intervention and confirmed its effectiveness using a between-subject multiple intermittent baseline design. Daily topics were determined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s with students, analysis of vlog topics, and evaluation of their preferenc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taking photos and videos, editing them, and posting them on YouTube. Therefore, the vlog production intervention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vlog content production intervention’ and a ‘vlog text composition intervention’. First, in the case of the vlog content intervention, visual support, modeling, and systematic instruction using guide sheets were provided, and in the case of the vlog text composition intervention, the form of a writing workshop was used to teach according to the stage of mini-lesson-drafting-writing-discussing-editing stages. In the case of data collection, the performance rate of vlog content production skills was measured by recording the student's production process in video at each session and using the event recording method. In the case of the level of performance of vlog text composition skills, the subtitles, titles, and tags of the vlog posted on the students' ‘YouTube’ channel were scor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The study design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increased performance rate of vlog content production skills through the vlog production intervention. Second, all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increased their level of vlog text composition skills through the vlog production intervention. Third, the improved digital daily recording skills(vlog content production skills and vlog text composition skills) of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vlog production interv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igital daily recording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This study proved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 also become ‘content producers', that vlog production activities can be a new way of leisure activities in the digital age, and that they can acquire capabilities in the digital age through systematically-designed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