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6 Download: 0

장애학생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 및 관련 전문가의 경험과 지원요구 탐색

Title
장애학생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 및 관련 전문가의 경험과 지원요구 탐색
Other Titles
A study of exploring experience and support reques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lated experts on operating Inclusive School Based in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uthors
나은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질적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선
Abstract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사회 통합을 위해서 직업을 가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의미에서 고등학교 시기는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이 부각되는 시기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09년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내실화방안’을 마련하고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를 지정·설치하여 일반학급 내 특수학급에 속한 장애학생을 위한 진로·직업교육을 강화하였다. 2010년 제1기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가 설치된 이후로 거점학교는 꾸준히 운영되어 오고 있으나, 4차 산업 혁명의 도래, IT기술의 전문화, 코로나 19 등 다양한 사회 변화에 따라 거점학교 운영의 변화와 역할 재정립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의 역할 재정립과 지원방향 수립을 위한 거점학교 운영교사, 이용교사, 유관기관 전문가, 교육전문직의 의견을 수렴하여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경험과 인식 및 지원요구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거점학교를 운영하는 특수교사 집단, 거점학교를 이용하는 특수교사 집단, 거점학교와 협력하고 있는 유관기관의 전문가 집단, 거점학교를 지원하고 있는 교육 전문직과의 면담을 통하여 거점학교 운영과 관련된 연구 참여자의 경험과 사회변화에 따른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인식, 앞으로의 거점학교 운영을 위한 지원요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관련인들을 모집하였으며, 거점학교를 운영하는 특수교사 6명, 거점학교를 이용하는 교사 4명, 거점학교와 협력하는 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복지관 등 유관기관 전문가 5명, 교육 전문직 1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운영교사, 이용교사, 유관기관 전문가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관련인들의 적절한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고, 교육 전문직과는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후에 전사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5개의 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거점학교 운영 현황에서는 거점학교의 전반적인 운영 프로그램, 특화 프로그램 등에 대한 운영 현황과 자원활용 및 외부 기관 연계를 통한 다앙한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이 도출되었다. 둘째, 거점학교의 역할과 운영 성과에 대한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지역 내 진로·직업교육의 구심점, 거점학교에 대한 이용 및 협력 만족도, 기관 간 연계를 통한 취업지원 및 긍정적 성과가 하위주제로 나타났다. 셋째, 거점학교 운영의 어려움에서는 운영교사가 겪는 어려움, 거점학교 운영의 구조, 체계 상의 문제, 지역적 특수성에 따른 어려움으로 3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넷째, 교육 현장의 변화로 인한 거점학교의 영향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4차 산업 혁명과 직업의 변화, 코로나로 인한 거점학교 운영의 차이와 영향, 지역 내 장애인 취업 동향에 대한 경험과 인식의 3가지 측면에서 알아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거점학교 발전을 위한 지원요구를 알아보았다. 거점학교 운영교사 지원 차원, 거점학교의 역할차원, 거점학교 구조차원, 앞으로의 거점학교 운영 및 지원 방향 차원에서 거점학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지원요구에 대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 현장의 변화에 따른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교사, 이용교사, 유관기관 전문가, 교육전문직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여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지원요구를 알아보고 앞으로 거점학교의 역할과 지원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It is imperativ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have a job to integrate into society, and this is why thei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high school is highly important. In 2009,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established inclusive schools based in vocational education to strengthe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v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generation of such schools (“base school”) in 2010, base schools have been up and running continuously. However, the need for changing the school operation and re-establishing its role have emerged due to various society shifts such as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supproting needs of the school operation by collecting opinions and experience, perspectives from base school operation teachers, participating teachers, experts from related agencies, and education professionals to redefine the role of base schools. To this end, we researched and interviewed base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teachers utilizing the base schools and related exper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ix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operate base schools, four participating teachers who uses base schools, five experts from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e Disabled’ and Welfare Cent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one education professional. As a method of collecting data, operating teachers, participating teachers, and experts from related organizations gathered various opinion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 educational professional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transcription of the interview was analyzed under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and five major themes, fifteen sub themes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base school operation status" derived experience in various programs through resource utilization and connection with external institutions, as well as the overall operation programs and specialized programs.Second, the "role and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base school" was derived and center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the region, satisfaction of use and cooperation for base schools, employment support and positive performance through inter-agency connection appeared as a subtopic. Third, the "difficulty of operating a base school" derived and three subtopics as difficulties faced by operating teachers, structural and systematic problems of base school operation, difficulties due to regional specificity derived. Fourth, “impact of base schools due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field” was derived and recognized in three aspect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job changes perceived by research participants, differences and effects of base school operation due to COVID-19,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employment trends for the disabled in the region were the three. Finally, the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d the "demand for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base schools". Supporting the operating teacher of the base school, the role of base schools, structural dimensions of base school and direction of operation and support of base schools in the future were derived to support efficient operations of the base schoo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inclusive schools based in vocational education operating teachers, participating teachers, experts from related institutions, and education professional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