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3 Download: 0

중국 소학교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숙의 사례연구

Title
중국 소학교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숙의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Curriculum Delibe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Chinese Primary Schools--Focused on the Platform Development of Parent Groups
Authors
황은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중국 소학교,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과정, 교육과정 숙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정효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소학교 학부모의 교육적 관여 증진을 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학부모집단의 집단숙의(Group Deliberation)를 통한 신조의 구축과 이들의 집단숙의 참여경험 양상을 살펴본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숙의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학부모들이 집단숙의 과정에서 드러낸 교육신념을 공유하고 합의한 신조(Platform)는 총 4개로 구축되었다. 또한 신조의 구축을 위해 집단숙의에 참여한 경험이 학부모들에게는 의미 있는 학습경험이 되었으며, 이들이 학부모로서의 성숙으로 나아가는 일환이 되었다. 이는 집단숙의 방식을 통한 신조의 구축이 개발자로 참여하는 자들에게 교육적 방편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McCutcheon, 2002).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소학교 학부모들이 집단숙의를 통해 구축한 신조는 어떠한가? 1) 이 중국 소학교 학부모집단이 인식한 기존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와 자녀교육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2) 이 중국 소학교 학부모집단이 집단숙의를 통해 구축한 신조는 어떠한가? 2. 이 중국 소학교 학부모집단이 참여한 집단숙의 진행과정은 어떠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이 학부모들이 경험한 것은 어떠한가? 1) 이 학부모집단의 집단숙의 진행과정은 어떠하였는가? 2) 이 학부모들이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신조 구축을 위해 참여한 집단숙의 경험 양상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중국 소학교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신조를 구축하고, 이학부모들의 집단숙의 참여경험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는 사례연구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중국의 소학교 학부모 8명으로서 본 연구의 집단숙의를 통해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신조 구축에 직접 참여하였다. 연구기간은 2022년 8월부터 2023년 1월까지 비대면 온라인 방식(ZOOM)으로 집단숙의(총 8회기)와 개인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적 자료는 연구자가 교육과정 전문가로서 집단숙의에 함께 참여하여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한 주요 자료는 집단숙의 모임의 영상과 녹음자료, 개인면담 녹음자료의 미디어 자료와 집단숙의 전사자료, 개인 면담자료, 집단숙의 후 소감문, 활동지, 과제, 집단숙의 현장일지, 연구자저널 등의 문서자료이다. 질적 자료 분석은 먼저, 연구자가 직접 분류하여 정리하고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연구문제와 관련된 의미 있는 자료를 발췌하였다. 다음으로 그 발췌한 자료를 전사작업, 메모작업, 개방코딩, 심층코딩을 거쳐 마지막으로 범주화하는 질적 자료 분석 과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김영천, 2014).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국 소학교 학부모들이 집단숙의를 통해 구축한 신조는 어떠한가? 첫째, 이 중국 소학교 학부모집단이 인식한 기존 학부모교육의 문제는 1) 일방적인 전달과 주입식 방식, 2) 단회적 교육방식, 3) 실제적 적용과 실천의 문제, 4) 학부모의 교육신념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이다. 이 중국 소학교 학부모집단이 인식한 자녀교육의 어려움은 1) 학부모의 가부장적인 가정교육 경험의 영향으로 인한 자녀와의 갈등, 2) 가정교육과 학급 교사의 권위주의적인 교육방식과의 갈등, 3) 학부모의 교육신념과 전체주의적인 공교육제도와의 갈등, 4) 사회적 관계에서 느끼는 소외감과 무력감이다. 둘째, 이 학부모집단이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구축한 신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 학부모집단이 구축한 신조는 학부모와 자녀에 대한 존재론적인 접근에 기반한 정체성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한다. 2) 이 학부모집단이 구축한 신조는 가정이 자녀교육의 근본임을 전제하고 가정의 지도자인 학부모를 자녀교육의 주체로 삼는다. 3) 이 학부모집단이 구축한 신조는 학부모가 지식교육 중심의 공교육제도에 대해 분별하고 감독할 수 있도록 하며, 자녀의 신체적, 정서적 건강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 이 학부모집단이 구축한 신조는 학부모가 사회적 환경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건전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2. 이 중국 소학교 학부모집단이 참여한 집단숙의 진행과정은 어떠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이 학부모들이 경험한 것은 어떠한가? 첫째, 이 중국 소학교 학부모집단이 참여한 집단숙의 진행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오리엔테이션(집단숙의 준비기)은 이 학부모집단이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신조 구축을 위한 숙의를 촉진하기 위하여 기초적인 교육과정 이론과 숙의에 대한 미니강의를 진행하였다. 2) 도입 및 적응기(문제현상과 원인 인식기)는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신조를 구축하기에 앞서 문제현상과 원인을 인식하는 단계로써 탐색적 숙의 양상이 드러났다. 3) 안정기(구축 과정기)는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신조를 구축하는 단계로써 안정적이고 적극적인 숙의 양상이 드러났다. 4) 합의 및 종결기(신조 확정기)는 전체 진답숙의를 종결하는 단계로써 교육과정 설계를 마무리하기 위해 협력적 숙의 양상이 드러났다. 둘째, 이 중국 소학교 학부모들의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신조 구축을 위한 집단숙의 참여경험 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학부모 개인의 변화를 살펴보면, 이 학부모들은 교육에 대한 거시적인 관점을 생성하였다. 이는 교육에 대한 궁극적인 목적을 명확히 인식하고 자녀교육에 대한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하였다. 2) 자녀교육에서의 변화를 살펴보면, 자녀교육에 대한 교육관 재정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교육관을 수정하였다. 이를 통해 학부모로서 주체성을 갖고 가정중심의 교육적 관여를 강화하였다. 또한 자녀의 사회정서적 발달을 위한 교육적 관여를 실천하는 태도와 방식을 부모중심에서 자녀중심으로 전환하였다. 3)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면, 학부모로서 가정교육을 중심으로 학교교육을 이해하고 협력적인 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이 학부모들은 대인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며, 지역사회에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학부모들은 중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는 학부모교육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나아가 이들은 지속적으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한 자조모임을 형성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중국 소학교 학부모집단은 학부모의 교육적 관여를 증진하기 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학부모의 정체성을 재확립하고 자녀교육에 대한 주체성 강화를 강조하는 신조를 구축하였다. 즉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잘 반영하여 구축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신조는 먼저 학부모가 자녀교육의 주체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학부모가 가정중심으로 자녀의 사회정서적인 발달을 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는 신조를 구축하였다. 또한 학부모로서 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폭넓게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사회적 관계를 맺을 필요를 반영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신조를 도출하였다. 이는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의 단절된 듯한 중국의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혼란을 겪는 학부모들이 올바른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자녀교육의 주체로서 학교와 지역사회 관계까지 고려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개발자로서의 인식을 갖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이 학부모들의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신조 구축을 위한 집단숙의 참여경험은 이들에게 교육에 대한 거시적인 관점을 생성하게 하였다. 이 학부모들이 생성한 거시적인 관점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신조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이러한 관점의 생성은 자신들의 교육적 상황을 현실적으로 이해하게 하였으며, 변함없는 현실적 환경으로 인한 위축감과 자녀교육의 어려움을 재해석하게 하였다. 이는 학부모들이 능동적인 학부모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였으며, 자녀의 교육적 관여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하게 하였다. 또한 이 학부모들의 교육적 안목을 성장시켰을 뿐만 아니라, 학교교육과의 동등한 관계 안에서 주체성을 갖고 협력하는 데 있어서 자신감을 갖게 하였다. 이는 이 학부모들의 교육적 관여가 증진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이 중국 소학교 학부모집단의 숙의 과정은 의미 있는 학습경험이 되었으며, 자조모임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숙의 집단으로서의 자조모임은 이 학부모들이 확고한 교육신념에 근거하여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지속하는데 필요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 숙의 집단은 숙의하는 과정에서 학부모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공유하고 공감과 위로를 받았다. 이 학부모집단은 신조를 구축하는 숙의 과정에서 집단이 공유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방안을 모색하고 합의를 도출하면서 집단지성을 형성하였다. 이 학부모집단 사례와 같은 강한 교육신념을 가진 학부모들에게는 이러한 자조모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향후 중국 소학교 학부모교육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인 학부모가 개발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자인 학부모가 개발자로 참여하여 실제적인 필요를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기존에 개발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도 학습자인 학부모들이 재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성인학습자인 학부모는 스스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학부모들에게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보다는 자신의 교육신념에 근거하여 주체적으로 자녀교육에 대한 교육적 관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학부모를 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그들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기 위해 학습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개발방식을 활용한 실증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우리나라와 같은 유교 문화권에 있는 중국의 교육문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중국의 기초 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비록 양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다르지만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교육이 갖고 있는 문제를 객관적인 타자의 관점에서 볼 수 있으며, 양국의 교육문화 교류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that examines the development of a platform through group deliberation among parent groups and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group deliberation. The purpose for is to develop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involvement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this study, a deliberative approach was utilized to develop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that is learner-centered. A total of four platforms were established in which these parents shared and agreed on educational beliefs revealed in the process of group deliberation. Furthermore, participating in group deliberation to construct a platform was a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for the parents, as it also contributed to their maturation as parents. This means that the construction of a platform through group deliberation can function as an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those participating as developers(McCutcheon, 2002). Based on this,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goes as follows. 1. What is the nature of the platform constructed by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s through group deliberation? 1) What are the problems perceived by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 group regarding existing parental education programs and the difficulties in children's education? 2) What is the nature of the platform that was constructed with group deliberation by the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 group? 2. How was the process of group deliberation in which the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 group participated, and what did they experience during this process? 1) How was the process of group deliberation conducted by this group of parents? 2) What is the parent group'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group deliberation, that aimed to create a platform for developing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that aims to construct a platform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al education programs in Chinese elementary schools, as well as examine the experiences of parent's participation in group deliberation.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eight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s who directly participated, through group deliberation, in the construction of a platform for developing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group deliberations (a total of eight session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rom August 2022 to January 2023 using an online method (ZOOM). The qualitativ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the researcher who participated in group deliberations as an education curriculum specialist. The primary data collected through this process included audio and video recordings of the group deliberation sessions, audio recordings of individual interviews, transcripts of group deliberations, individual interview data, reflection essays after group deliberations, activity sheets, assignments, field journals on group deliberation sessions, and researcher journals.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involved several steps. Firstly, the researcher directly categorized and organized the data and repeatedly read through it to extract relevant data related to the research problem. Then, the extracted data underwent transcription, memoing, open coding, and in-depth coding processes, followed by the final step of categorization in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cess (Kim, Young-cheon, 2014).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such analysis,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1. What is the nature of the platform constructed by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s through group deliberation? Firstly, the issues perceived by this group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s regarding existing parental education are as follows: 1) One-sided delivery and indoctrination approach, 2) One-time educational methods, 3) Problems with practical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and 4) Contents that do not align with parent's educational beliefs. The difficulties in child education perceived by this group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s go as follows: 1) Conflicts with children due to parent's experience with patriarchal family education, 2) Conflicts with authoritarian teaching methods in both home education and classroom education, 3) Conflicts between parent's educational values and the totalitarian public education system, and 4) Feelings of exclusion and powerlessness experienced in social relationships. Secondly, the platform constructed by the parent group for the development of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The platform constructed by the parent group roots from an understanding on the identity of the parent and child, based on an ontological approach. 2) The platform created by the parent group recognizes the fundamental role of the family in child education and positions the parents as the leaders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3) The platform constructed by the parent group allows parents to discern and oversee the knowledge-centered public education system and encourage them to be more involved i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their children. 4) The platfrom created by the parent group helps parents develop a propoe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environment and establish healthy social relationships. 2. How was the process of group deliberation in which the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 group participated, and what did they experience during this process? Firstly, an examination on the progress of the group deliberation process in which the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 group participated, goes as follows. 1) Orientation (preparation for group deliberation) included a mini lecture on the fundamental educational theories and deliberation with the purpose of accerelating parent's deliberation on developing a parent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constructing a platform. 2) The Introduction and adaptation phase(problem identification and cause recognition phase) involved identifying problems and their underlying causes as an exploratory stage prior to constructing the platform for the development of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3) The Stabilization phase (construction process phase) revealed a stable and proactive pattern of deliberation, as it aimed to construct the platform for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4) The agreement and conclusion phase (platform finalization phase) was the concluding stage of the overall deliberation process that emphasized collaborative deliberation to finalize the desig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Secondly, an examination on the experiential aspects of the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s' participation, through group deliber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platform goes as follows. 1) Regarding individual changes in parents, these parents developed a macroscopic perspective on education, clarifying their understanding on the ultimate goals of education and taking an active role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2) In terms of changes in child education, par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edefining their educational beliefs on child education, and modified their own educational perspectives. This allowed them to strengthen their leadership as parents and enhance educational involvement centered around family. Furthermore, they transitioned their attitude and method from a parent-centered approach to a child-centered approach in practicing educational involvement for their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3) In regards to changes i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parents gained a deeper understanding on school education through a focus on home education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oster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They also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im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Also, these parents developed an interest in parental education consider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China. Moreover, they formed self-help groups to continue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arent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s' group deliberation process led to the construction of a platform that emphasizes the reestablishment of parental identities and empowers parental leadership on children's education. The aim for this was to construct a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improves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Thus, this paradigm was effectively designed to reflect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learners. This platform first began with the perspective that parents are the key agents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Particularly, the parents constructed a platform that developed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which centere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around the family. Furthermore, it derived a platform for program development that implements the need for parents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ctively engage in social relationships. This signifies that parents, who may experience confusion in the fragmented socio-cultural landscape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Chinese society, must firmly define their identity. Also, parents gain a developer's perspective on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which considers their role as leaders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including their relationship with schools and the local community. Secondly, the participation of these parents in the group deliberation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al education programs has provided a macroscopic perspective on education for these parents. This was formed dur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platform for program development. The creation of such a perspective has enabled parents to understand their educational situation realistically and reinterpret the sense of distress caused by the unchanging realistic environment and the difficulties in child-rearing. It has empowered the parents to actively perform their role as proactive parents and actively seek and implement solutions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al involvement. Moreover, it has not only broadened their educational vision but also instilled confidence in them to assert their leadership and collaborate with schools on an equal footing. This signifies an enhancement in their educational involvement. Thirdly, the deliberation process of the Chinese elementary school parent group has been a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and has served as a support group. As a support group, this deliberative community has played a role in providing the necessary social support for these parents to sustain their proactive and active role as educators based on their firm educational beliefs. Within this deliberative group, parents shared problems, and received empathy and encouragement through interactions. The group formed collective intelligence by seeking solutions and reaching consensus based on the shared awareness of the problems dur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platform. For parents with strong educational beliefs, such as this parent group, the role of such support groups has become even more crucial.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Chinese elementary schools. Firstly, it is important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involve parents as learners directly in the development process. Parent learners should participate as developers to ensure that the programs reflect their actual needs.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parent learners to restructure exist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This is because adult learners, who are parents in this case, are capable of self-directed learning. Therefore, rather than simply providing parents with inform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enable them to actively engage in educational involvement regarding their children's education based on their own educational beliefs. Secondly, in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empirical research utilizing a development approach that allows learners to directly participate should be conducted to consider their sociocultural context. Thirdl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China's elementary education to gain a specific understanding of China's educational culture within the Confucian cultural sphere, similar to South Korea. Although the sociocultural contexts of both countries may differ, such research would enable an objective perspective on the issues faced by South Korean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