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2 Download: 0

위치·상황 기반 AAC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 중재가 CCN을 지닌 성인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결정 기술에 미치는 효과

Title
위치·상황 기반 AAC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 중재가 CCN을 지닌 성인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결정 기술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Community-based Script Intervention Using a Location and Situation based AAC application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for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Authors
유성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Keyword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Complex Communication Needs(CCN),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 중재, 의사소통 능력, 자기결정 기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의사소통 상황에서 자신의 의사를 효과적, 효율적으로 말로 표현하거나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이들을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Complex Communication Needs, 이하 CCN으로 칭함)를 지닌 사람이라고 한다(Johnston, Blue, Gevarter, Ivy, & Stegenga, 2020). CCN을 지닌 사람들의 제한된 타인과의 상호작용은 의사소통 실패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으며, 개인의 삶 전반에 영향을 미쳐 사회참여에 어려움을 갖게 한다(Owen, 2012). 이때, CCN을 지닌 사람에게 의사소통 향상을 촉진하고(Romski & Sevick, 1993), 사회참여 증진을 위한 의사소통 도구로 AAC가 논의된다(Beukelman & Miranda, 2013). AAC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의 일상생활 참여 확대를 위해 교육, 연구, 임상의 전 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ASHA, 2005), 이를 통해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유지하고, 확대시키고, 끝낼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하게 한다(김영태, 2014). 또한, 자기결정(self-determination) 기술 측면에서도,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결정을 스스로 하지 못하는(권회연, 2005) CCN을 지닌 사람에게 자기결정력의 범위를 확대시켜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표현할 수 있는 의사소통 기회를 가짐으로써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박은혜, 2000; Beukelman & Mirenda, 2005). 이러한 AAC를 지역사회에서 활용한 중재는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결정 기술에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나타났다. AAC 사용자의 독립성 및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Blackstone, Beukelman, & Yorkston, 2015), 특히,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 중재는 AAC를 사용한 여러 가지 의사소통 기술과 행동을 습득하기에 유용하다(Beukelman & Mirenda, 1992; Hamilton & Snell, 1993). McNaughton et al.(2019)에 의하면 AAC 중재의 완전한 성공은 일상생활에서의 개인의 삶과 연관 지어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접근과 참여를 넓히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AAC 중재의 긍정적인 접근을 위해서는 중재가 실제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방향이 촉구된다(O'Neill et al., 2017). 이와 함께 지역사회 중재를 적용할 때,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일상화된 상황을 예측하고 연습한다면 AAC 사용자가 실제 지역사회에 대한 인지적 부담이 줄어들 뿐 아니라 자신감을 갖고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김정연 & 김시원, 2011). 본 연구의 목적은 CCN을 지닌 성인에게 AAC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 및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를 통한 AAC 중재가 활용되고 있으나, 모바일 AAC 기기 조작은 많은 버튼과 보드 생성 및 상징 추가 편집 기능, 어휘 목록 접근 방식의 복잡성으로 사용자의 독립적인 사용에 상당한 장벽을 제시한다(Light & McNaughton, 2015). 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통해 의사소통 보드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AAC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 중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위치·상황 기반 AAC 애플리케이션(이하 GeoAAC로 칭함)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 중재가 CCN을 지닌 성인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결정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모의 상황에서 훈련한 AAC 중재를 지역사회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CCN을 지닌 성인 3명을 대상으로 GeoAAC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 중재가 대상자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결정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각 장소에 따른 동일한 상황에서 대상자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결정 기술의 중재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절차는 대상자가 하루에 1회기씩 40분간 총 17회기를 진행하였으며, 중재 프로그램은 모의상황(대상자의 가정 혹은 치료실)에서 이루어지고, 매 회기 중재가 진행되기 전 지역사회 상황에서의 중재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치·상황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 중재를 하였을 때, CCN을 지닌 성인 3명의 의사소통 능력에서 큰 향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소인 ‘의사소통 기능의 다양화’에서 Parker et al.(2009)의 분석방법에 따라 3명의 대상자 모두 위치·상황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 중재의 IRD가 0.75 이상으로 매우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의사소통 표현의 적절성’요소에서는 위치·상황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 중재의 IRD가 대상자 A는 0.6667로 중간 크기의 효과를 보였으나, 일반적으로 중재의 효과가 크다고 보는 0.70에 근접하게 나타났다. 대상자 B와 C는 IRD가 0.75 이상으로 매우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의사소통 차례 주고받기’요소에서 위치·상황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 중재의 IRD는 3명의 대상자의 IRD가 0.75 이상으로 매우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위치·상황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 중재를 하였을 때, CCN을 지닌 성인 3명의 자기결정 능력에서 큰 향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명의 대상자 모두 위치·상황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 중재가 자기결정 기술에 매우 큰 효과 크기를 보이며, IRD가 0.75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에 따른 CCN을 지닌 성인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결정 기술이 지역사회 의사소통 상황으로 일반화되는지 살펴본 결과, 중재가 종료된 후에 모든 대상자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결정 기술은 기초선 단계의 수행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CCN을 지닌 성인을 대상으로 AAC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중재를 통해 CCN을 지닌 성인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기능의 다양화, 차례 주고받기, 표현의 적절성) 및 자기결정 기술이 크게 향상하였으며, 지역사회 의사소통 상황으로의 일반화에도 효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대상자가 지역사회 내에서 의사소통 기회를 얻음으로써 일상생활에서의 개인의 삶의 독립성을 높이고, 이에 대한 접근 및 참여의 기회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for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CCN) us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While AAC interventions through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been utilized recently, the operation of mobile AAC devices can be challenging for independent use due to the complexity of multiple buttons and access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community-based script intervention using an AAC application that automatically recommends communication boards based on the user's location.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community-based script intervention using a location and situation based AAC application (referred to as GeoAAC)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of adults with CCN, and to apply the trained AAC intervention in real community situations. The study involved three adults with CCN, and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were examined and analyzed through community-based script intervention using GeoAAC.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intervention effects on the subjects'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in the same situations at different locations. The procedure involved 17 sessions of 40 minutes each, conducted once a day. The intervention program took place in simulated situations (participants' homes or therapy rooms), an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were examined in community situations before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en community-based script intervention using a location and situation based application was employed,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three adults with CCN. According to Parker et al. (2009)'s analysis method in ‘diversity of communication functions’, a sub-factor of communication skills, all three subjects showed a very large effect of IRD(Improvement Rate Difference) of community-based script intervention using GeoAAC at 0.75 or higher. In terms of the factor ‘appropriateness of communication expression,’ IRD for the intervention using GeoAAC was 0.6667 for subject A, indicating a medium effect size, while subject B and C showed an IRD of 0.75 or higher, indicating a very large effect size. In the factor ‘turn-taking in communication,’ the intervention using GeoAAC showed an IRD of 0.75 or higher for all three subjects, indicating a very large effect size. Secondly, when community-based script intervention using GeoAAC was employed,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the three adults with CCN. The intervention using GeoAAC showed an IRD of 0.75 or higher for all three subjects, indicating a very large effect size. Thirdly, regarding the generaliz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to different communication situations after the intervention, all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ignificantly improved the communication skills (diversity of communication functions, turn-taking in communication, appropriateness of communication expression)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of adults with CCN through community-based script intervention using GeoAAC. It also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generalization to different communication situations. Additionally,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obtained communication opportunities within the community, which increased their independence in daily life and provided access and participation opportun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