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5 Download: 0

성별화된 공연시장의 남성 관객의 관람 경험

Title
성별화된 공연시장의 남성 관객의 관람 경험
Other Titles
The experience of male audiences in the genderized performance market: Focusing on musical audiences
Authors
박하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천혜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watching musicals of male musical audiences in their 20s and 30s and the meaning of watching musicals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their voices and languages, we would like to hear what male audiences think, feel, and experience in concert halls and performance culture, where more than 70% of the audience is women, and what their experiences mean to them. To this end,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male consumers who watched musicals at least once a year.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text was applied by referring to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proposed by van Manen, Giorgi, Miles, and Huberman,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ho had little experience in culture and arts in the process of growth first encountered musicals due to their girlfriends who liked musicals or for dates or events with them. And this first experience was a thrilling new world. Second, as their interest and excitement for musicals grew, they continued to attend musicals, but they also faced a number of practical challenges, including cost, lack of information, and lack of social support. The ever-increasing price of tickets is the biggest constraint on their ability to attend musicals; the limited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about the genre compared to other genres; the time and effort it takes to find out about everything from ticketing schedules to discount promotions; and the lack of support from their same-sex friends for their taste in musicals, which is considered a "feminine" genre. Third, participants are aware of the large number of female audiences in the musical market from the concert hall, which makes them nervous and makes them aware of the idea that they are being watched. Not only that, but they also experienced a sense of alienation as they felt that the promotional activities of the production companies and the narratives of the works were geared toward female audiences. They felt uncomfortable with some of the musical theater culture driven by female audiences, but they were conscious of and endured the implicit rules of attendance because they did not want to stand out. These on-site experiences were mirrored online, where adult males were hesitant to actively participate in a predominantly female-dominated community because they felt it wasn't typical for them to be a part of a fan club. They also saw musicals and watching a musical as distant from what they considered masculinity. The casting of male stars, delicate emotions, and epic nature of musicals were all perceived as elements that women like, and they thought that musicals were targeted at women. This perception was reinforced by their same-sex friends who thought that going to a musical was an activity that men could not do together. Fourth, although there were so many restrictions and hardened perceptions, watching musicals was a source of happiness for participants and a source of vitality to return to their boring daily lives. Participants tried various challenges while enjoying the musical and were expanding their tastes by finding alternatives to the burd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experiences of male audiences who have not received attention in the musical market and the genderized musical market, which are expected to grow further in the future. Mor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male audience is needed as a subject who enjoys musical performances, not just the subject of marketing.;본 연구의 목적은 20, 30대 남성 뮤지컬 관객의 뮤지컬 관람 경험과 뮤지컬 관람이 이들의 일상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관객의 70% 이상이 여성인 공연장에서 그리고 여성 관객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공연장과 공연문화 속에서 남성 관객은 어떠한 생각을 하고 어떠한 감정을 느끼고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리고 이들의 경험이 이들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등을 이들의 목소리와 언어를 통해 들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 1회 이상 뮤지컬을 관람하는 남성 소비자 14명과의 개인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텍스트에 대한 분석은 van Manen, Giorgi, Miles와 Huberman이 제안한 질적자료 분석 방법을 참고하여 적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 과정에서 별다른 문화예술 관련된 경험이 거의 없던 참여자들은 뮤지컬을 좋아하는 여자친구로 인해 혹은 여자친구와의 데이트나 이벤트를 위해 처음 뮤지컬을 접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첫 경험은 짜릿한 신세계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뮤지컬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증가하면서 꾸준히 뮤지컬을 관람하는데, 동시에 비용, 정보 부족 및 사회적지지 부족 등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하기도 한다. 계속 상승하는 관람 가격은 이들의 뮤지컬 관람을 가로막는 가장 큰 제약으로 작용한다. 또한 타 장르와 비교하여 작품에 대한 정보 등이 제한적으로 공개되는 뮤지컬 장르의 특성, 티켓 오픈 일정부터 할인 프로모션까지 모두 일일이 스스로 찾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에서 오는 피로감 등을 부담으로 여기고 있었다. 또한 ‘여성적’ 장르로 여겨지는 뮤지컬 관람 취향에 대해 주변의 동성 친구들로부터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뮤지컬 시장에 여성 관객이 많다는 것을 공연장에서부터 인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들을 긴장하게 만들고 자신이 시선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생각에 눈치를 보게 된다고 했다. 뿐만 아니라 제작사의 홍보활동이나 작품 서사 등에서도 여성 관객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느끼면서 일종의 소외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그리고 여성 관객이 주도하는 뮤지컬 관람문화 중 일부를 불편하다고 생각했지만 튀는 존재가 되고 싶지 않아 암묵적인 관람 규칙을 의식하고 감내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현장 경험은 온라인으로도 이어져 대부분 여성 중심으로 형성된 커뮤니티에 성인 남성이 팬클럽 활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생각 때문에 활발히 참여하는 것에 주저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뮤지컬과 뮤지컬 관람을 스스로 생각하는 남성성과 거리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남성 스타 위주의 캐스팅, 섬세한 감정 표현과 서사적 특성 등을 모두 여성이 좋아하는 요소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여성을 타깃으로 제작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인식은 뮤지컬 관람을 남성끼리는 할 수 없는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주변 동성 친구들에 의해 강화되었다. 넷째, 이처럼 많은 제약과 굳어진 인식이 존재했지만, 참여자들에게 뮤지컬 관람은 행복을 주며 지루한 일상에 다시 복귀할 수 있는 활력소였다. 참여자들은 뮤지컬을 즐기면서 여러 도전을 시도하였고 부담에 대한 대안을 찾아가면서 자신의 취향을 확장해나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뮤지컬 시장에서, 그리고 성별화된 뮤지컬 시장에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남성 관객의 경험을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단순히 마케팅의 대상이 아닌 뮤지컬 공연을 향유하는 주체로서 남성 관객에 대한 보다 많은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