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0 Download: 0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질문 기반 초등 사회과 교과서 재구성 및 탐구 수업 실행

Title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질문 기반 초등 사회과 교과서 재구성 및 탐구 수업 실행
Other Titles
Reconstructing Essential Question-Ba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and Implementing Inquiry Based-learning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Authors
이덕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진영
Abstract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현대 사회에서 다뤄지는 지식의 양이 폭증하면서 교육의 중점이 ‘많이 아는 것’에서 ‘깊이 아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깊이 있는 학습은 지식을 사실 중심으로 아는 것보다 유의미한 개념적 틀로 조직화하여 더 깊은 수준의 이해, 즉 개념적 이해에 도달하는 학습이다(Bransford 외, 2000). 이러한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학습에서는 학생들이 지적으로 몰입하고 고차원적인 사고를 유발하여 탐구가 일어나도록 하는 핵심 질문이 중요하다(McTighe & Wiggins, 2013).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도 깊이 있는 학습을 중시하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핵심 아이디어’ 등을 강조해오고 있다. 교육과정 문서 수준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에서도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학습이 실행될 수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과서가 개념적 이해에 도달할 수 있는 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개발된 초등 사회과 검정 교과서가 핵심 질문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지에 대한 선행 연구가 부족하다. 또한 개념적 이해를 위한 탐구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과서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며, 그 교과서를 활용하여 어떻게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이 개념적 이해에 도달할 수 있는 초등 사회과 수업을 위해 핵심 질문 기반의 교과서와 이를 활용한 탐구 수업이 어떤 모습이 되어야 할지 실행연구의 방법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사회 검정 교과서는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질문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가? 1-1. 우리나라 및 해외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질문형으로 제시된 차시 학습문제는 핵심 질문으로 제시되고 있는가? 1-2. 우리나라 및 해외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차시 학습문제가 핵심 질문으로 제시된 소단원은 핵심 질문을 탐구하기 위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2.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질문 기반 초등 사회과 교과서와 탐구 수업은 어떻게 설계하는가? 2-1.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질문 기반 초등 사회과 교과서는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는가? 2-2. 개념적 이해를 위한 탐구 수업은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가? 3.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질문 기반 초등 사회과 교과서로 탐구 수업을 실행했을 때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와 교과에 대한 흥미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 3-1.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질문 기반 초등 사회과 교과서로 탐구 수업을 실행했을 때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 3-2.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질문 기반 초등 사회과 교과서로 탐구 수업을 실행했을 때 사회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사회과 교과서 5종과 미국 사회과 교과서 1종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개선할 점을 반영하여 5학년 1학기 1단원의 소단원 2 ‘국토의 자연환경’을 중심으로 총 11차시의 핵심 질문 기반 교과서를 재구성했고, 탐구설계모델(Inquiry Design Model)을 활용하여 탐구 수업을 계획하였다. 그리고 핵심 질문 기반 교과서를 활용한 탐구 수업을 실행한 후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와 사회 교과에 대한 흥미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실행 결과를 토대로 핵심 질문 기반 교과서(소단원)와 탐구 수업 계획을 다시 개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사회과 교과서 중에서 핵심 질문을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가 있었으나 핵심 질문의 비중이 작았고, 탐구 기능을 학습할 수 있는 체계적인 활동이 부족했다. 둘째, 핵심 질문 기반 초등 사회과 교과서를 활용하여 탐구 수업을 실행한 결과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핵심 질문 기반 초등 사회과 교과서를 활용한 탐구 수업 실행 후 학생들의 사회 교과에 대한 흥미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탐구와 관련된 문항에서는 유의미한 상승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 핵심 질문을 단원 도입, 학습문제 등 필요한 위치에 적절하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서 학생들이 탐구 기능을 사용하고 학습하는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단원 마무리 활동에서 학생들이 개념적 이해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탐구 활동이 제시되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개념적 이해에 도달하기 위해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가 핵심 질문의 역할을 이해해야 한다. 다섯째, 학생들이 지식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사가 추가적인 설명과 도움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여섯째, 핵심 질문 기반의 탐구 수업을 실행할 때 수업 기간을 여유 있게 계획하고 학생들의 활동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일곱째, 사회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교사는 수업에서 학생 참여 중심 활동을 강화하고 개방적인 수행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 여덟째, 핵심 질문 기반의 탐구 수업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해야 한다.;As the amount of knowledge dealt with in modern society has increased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cus of education is shifting from “knowing a lot” to “knowing deeply”. In-depth learning is learning that reaches a deeper level of understanding, or conceptual understanding, by organizing knowledge into meaningful conceptual frameworks rather than factual knowledge (Bransford et al., 2000). In learning for such conceptual understanding, it is important to ask key questions that engage students intellectually and trigger higher-order thinking so that inquiry can occur (McTighe & Wiggins, 2013). Korea's national curriculum has also been emphasizing ‘core concepts’, ‘generalized knowledge’ and 'key ideas' to reflect the need for In-depth learning.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learning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can be implemented in the actual school curriculum and classes, not just at the level of curriculum document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textbook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Korean education, can support lessons that reach conceptual understanding. In this regard, there is a lack of prior research on whether the recently develop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ertified textbooks are based on essential question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what a textbook that enables inquiry lessons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should look like and how to design and implement lessons using the textbook.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a textbook based on essential questions and inquiry based-learning using it should look like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that enable students to reach conceptual understanding through the method of action research.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re elementary social studies certified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essential questions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1-1. Are the lesson learning problems presented in the form of question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in Korea and abroad presented as essential question? 1-2. How are the lesson learning question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ertified textbooks in Korea and abroad organized to explore the essential question? 2. How can be essential question-ba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inquiry lessons designed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2-1. How can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be reorganized to be based on essential questions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2-2. How can inquiry classess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be designed? 3. What are the changes in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social studies after implementing inquiry classess with an essential question-ba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3-1. What are the changes in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fter implementing inquiry classess with an essential question-ba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3-2. What are the changes in students' interest in social studies after implementing inquiry classess with an essential question-ba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five elementary social studies certified textbooks and one American social studies textbook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flecting the improv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ssential question-based textbooks consisted of 11 lesson were reorganized, and inquiry classes were planned using the Inquiry Design Model(IDM). And after implementing inquiry classes using essential question-based textbooks, this study looked at changes in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social studi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mplementation, the essential question-based textbook and the inquiry class plan were improved agai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elementary school certified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 were textbooks that presented essential questions, but the proportion of essential questions was small, and systematic activities to learn inquiry functions were insufficient. Second,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was improved as a result of implementing inquiry classes us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essential questions.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students' interest in social subjects after implementing inquiry classes us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essential questions.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lace essential questions in textbooks in necessary positions such as unit introduction and lesson learning problems.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ctivities of students using and learning inquiry skill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ird, inquiry activities should be presented to confirm whether students have reached a conceptual understanding in the unit review activity. Fourth, in order for students to reach a conceptual understanding, the teacher who implement the class must understand the role of the essential question. Fifth, teachers should provide additional explanations and materials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Sixth, when implemetning inquiry classes based on essential questions, it is necessary to plan the class period sufficiently and secure sufficient student activity time. Seventh, in order to arouse students' interest in social studies, teachers should strengthen student participation-oriented activities in classes and present open performance tasks. Eighth, the curriculum should be flexibly operated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essential question-based inquiry cla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