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3 Download: 0

챗봇이용이 중국 대학생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낙인의 조절효과

Title
챗봇이용이 중국 대학생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낙인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Chatbot Use on the Inten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o Use Mental Health Service and the Social Stigma as a mediator :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uthors
ZHENG, MEINA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영증-19 발병 이후 전 세계적으로 우울증과 불안증 등 정신질환 발생이 전보다 많이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고 중국에서는 학업 스트레스, 취업 스트레스, 인간관계 스트레스로 인한 대학생(대학원생 포함)들의 우울증 발병률이 가파른 증장세를 띄고 있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울증 치료는 전문 의사의 진단 치료가 필수인 질병이고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대학생들은 상담이나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더라도 이런 편견과 낙인 때문에 시기를 놓치거나 상담치료 비용이나 물리적 거리 등 제한 때문에 병을 방치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선행연구를 종합해 보면 많은 사람들이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오프라인 서비스의 한계, 둘째는 본인이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사실이 타인에게 알려지면서 따라오는 사회적 낙인과 편견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중국의 지리적 문제와 의료자원 분배의 불공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중국에서는 인터넷 기술에 기반한 원격 진료 서비스가 발전되어 왔고 그 중 챗봇도 정신건강 의료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위 이론을 적용하여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가 정신건강 관련 챗봇 이용 의도 및 우울증 자가테스트 의도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고, 인식된 사회적 낙인의 조절효과와 정신건강 관련 챗봇 이용 의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변수 간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중국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한 설문지 282부를 수집하여 SPSS 25.0으로 빈도 분석, 신뢰성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과 process model 7번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에 대한 태도는 정신건강 관련 챗봇 이용 의도와 우울증 자가테스트 의도에, 지각된 행동 통제는 정신건강 관련 챗봇 이용 의도 및 우울증 자가테스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정신건강 관련 챗봇 이용 의도는 인식된 사회적 낙인에 의해 조절되어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에 대한 주관적 규범과 우울증 자가테스트 의도 사이, 지각된 행동 통제와 우울증 자가테스트 의도 사이에서의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계획행동이론에 기반하여 정신과 방문에 대한 장애요인이 많은 사회에서 비대면 서비스, 특히 AI 챗봇의 실효성 및 중요성을 논의하였고 AI 챗봇 뿐만 아니라, 향후 타 비대면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Since the outbreak of the COVID-19, the incidence of depression and anxiety has more than doubled worldwide, and in China, the incidence of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including graduate students) due to academic stress, employment stress, and relationship stress is rapidly increasing. The depression is a disease that requires diagnostic treatment by a professional doctor, and it is important to treat it early, but college students often miss the timing due to such prejudice and stigma, or leave the disease unattended due to restrictions such as counseling costs and physical distanc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two main reasons why many people cannot use mental health-related services: the first is the limitation of offline services, and the second is the fear of social stigma and prejudice that follow as it is known to others that they use mental health services.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China's geographical problems and unfair medical resource distribution, Internet-based telemedicine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in China, and chatbots are also widely used in mental health care. This study applie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al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chatbot use intention and depression self-test intent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tigma and chatbot use intenti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282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7. The study found that attitudes toward mental health service 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self-test intention, subjective norm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atbot use intention and depression self-test intention, and chatbot use intention was mediated between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depression self-test intention. Based on the exist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study discussed the effectiveness and importance of non-face-to-face services, especially AI chatbots, and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use of other non-contact mental health servi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