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실어증 환자의 화음연결 및 문법성 판단 과제 간 수행력 비교
- Title
- 실어증 환자의 화음연결 및 문법성 판단 과제 간 수행력 비교
- Other Titles
- Differential performance on musical chord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tasks in post-stroke aphasia
- Authors
- 정예영
- Issue Date
- 2022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성지은
- Abstract
- 실어증은 정상적인 언어습득을 경험한 후 뇌손상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언어장애로, 언어의 이해 또는 표현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결함을 보이는 상태를 의미한다(McNeil & Pratt, 2001). 실어증 환자는 언어적 처리에서 결함을 보이는 반면 음악적 처리에서는 정상 성인과 비슷한 수행력을 보인다(Yasmeen et al., 2020). Patel(2003)은 언어 및 음악 구문 통합이 공통 처리 영역에 의존하며, 언어 및 음악 구문을 통합한 것이 서로 간섭 보인다는 SSIRH(Shared Syntactic Integration Resource Hypothesis) 가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어증 환자의 언어 및 음악 구문 통합 능력이 공통적으로 처리되는지 문법성 판단 과제와 화음연결 판단 과제를 통해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음악과 언어는 리듬과 멜로디의 시퀀스 전개로 이루어져 있다(Evelina et al., 2009; Handel, 1989; Patel, 2008). “코드”가 결합되어 “화성 진행”이 생성되고(Evelina et al., 2009), “단어”가 결합되어 “문장”이 생성되듯이(Bernstein, 1976;
Evelina et al., 2009; Lerdahl & Jackendoff, 1983) 음악과 언어는 기본적 요소가 결합되어 고차원의 단계가 생성되며 이는 규칙에 기반한 체계임을 알 수 있다(Evelina et al., 2009). 즉 음악과 말은 계층적인 규칙을 가지고 있는 복잡한 소리
의 흐름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교해진다(Abrams et al.,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오류 유무에 따라 실어증 환자와 정상 성인 집단 간 문법성 판단 과제 정반응률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화음연결 판단 과제 정
반응률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조사 오류 판단 과제와 화음연결 판단 과제 중 실어증 중증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실어증 환자 14명과 정상 성인 15명이었으며, 조사 오류 유무에 따라 문법성 판단 과제의 정반응률을 분석하였고 화음연결의 자연스러움 여부에 따라 화음연결 판단 과제의 정반응률을 분석하였다. 문법성 판단 과제는 조사 오류가 없는 문장 20개와 조사 오류가 있는 문장 20개를 자극으로 하여 총 4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오류가 없는 문장은 ‘주어+목적어+동사’로 이루어진 문장 10개, ‘목적어+주어+동사’로 이루어진 문장 10개로 구성하여 균형을 맞추었다. 조사 오류 유무에 따라 조사 오류가 있는 문장과 조사 오류가 없는 문장의 정반응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화음연결 판단 과제는 화음연결이 자연스러운 진행 20개, 화음연결이 부자연스러운 진행 20개로 구성하였다. 화음연결의 자연스러움 유무에 따라 화음연결이 자연스러운 진행과 부자연스러운 진행의 정반응률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오류 유무에 따른 문법성 판단 과제 정반응률에서 실어증 환자가 정상 성인보다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률을 보여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또한 집단 내 요인 중 조사 오류 유무에 따른 문법성 판단 과제 정반응률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따라 집단과 문법성 판단 과제 정반응률 간 이차 상호작용도 유의하였다.
둘째, 화음연결의 자연스러움 여부에 따른 화음연결 판단 과제 정반응률에서 실어증 환자가 정상 성인보다 유의하게 낮은 화음연결 판단 과제 정반응률을 보여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또한 화음연결이 자연스러운 진행에서의 화음연결 판단 과제 정반응률이 화음연결이 부자연스러운 진행에서의 화음연결 판단 과제 정반응률보다 유의하게 높은 정반응률을 보여 집단 내 차이가 유의하였다. 화음연결의 자연스러움 여부와 집단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두 과제 중 실어증 중증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요인은 문법성 판단 과제로 나타났다. 실어증 중증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과제는 문법성 판단 과제 총 정반응률(r=.616, p<.05)로 약 37.9%의 예측력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performance on musical chord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tasks in post-stroke aphasia. Accuracy of chord judgement task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task was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grammaticality judgement task and the severity of aphasia was examined.
In this study, chord judgement task was conducted to participants by providing harmonic progressions with expected chords and unexpected chords.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was conducted to participants by providing sentences with double case violation and accurate sentences. Fourteen individuals with aphasia and fifteen adults without aphasia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follow: (1) PWA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in grammaticality judgement task compared to adults without aphasia. (2) PWA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in chord judgement task compared to adults without aphasia. (3) The accuracy of grammaticality judgement task wa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of the severity of aphasia by 37.9%.
In conclusion, PWA showed difficulty in chord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by answering if there is an error or not. This is because damage to brain structures affects loss of music and language ability. Moreover, grammaticality in Korean has important roles in this task. Since grammaticality is important linguistic features in comprehending sentences in Korea, producing various treatment protocols of grammar comprehension is important.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