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4 Download: 0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상대자의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연구

Title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상대자의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연구
Other Titles
Interpretation Accuracy and Acceptance of Communication Partners according to Aided AAC Types and Message Error Types
Authors
최지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becomes a window of communication that allows people with difficulty in spoken language to communicate and adapt to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aided AAC, more than 2 million people with speech impairments around the world are using AAC (Beukelman & Mirenda, 2013). Curr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 number of high-tech AACs, that use symbols in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long with low-tech AAC, a tool that does not require electronic elements.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AAC devices, the choice of AAC users is gradually increasing, which ultimately helps minimize the social handicap of AAC users. However, if messages produced by AAC users are delivered in inappropriate content or form, the communicate partners may be confused in interpreting the messages produced through AAC, further instilling negative perceptions of AAC users (Hoag, Bedrosian, McCoy, & Johnson, 2008). Therefore, research on the errors is needed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continued use of AAC. In this study, omission, substitution, and inversion errors identified by actual children using AAC were sele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accuracy and acceptance by error type. In addition, AAC users may face communication situations with communication partners who have no experience interacting with AAC users from their closest family membe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rive practical results considering interaction situations with various communication partners by check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accuracy and accepta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which error types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he accuracy and acceptance of message interpretation and attitude toward AAC user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for smooth communication of AAC us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30 family members of AAC users aged 19 to 65 and 30 inexperienced people with no experience in interacting with AAC users of the same age and gender. Google online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the study subjects to watch error message videos produced through two aided AAC types (high-tech AAC, low-tech AAC) and respond to the survey. The error message script consisted of a total of 18 errors, 6 for each error type, and the omission, substitution, and inversion errors were produced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The error message video was completed based on the produced script, and the characters consisted of one general child in the role of a spoken communication partner and one adult in 20s in the role of an AAC user. After watching the video, the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message interpretation accuracy, message acceptance, and attitude toward AAC users. Based on the scores, a three-way mixed ANOVA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accuracy and acceptance between communication partner groups according to the aided AAC type and error type. In addition, a two-way mixed ANOVA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ttitude score for AAC users according to the aided AAC typ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munication partner groups in interpretation accurac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aided AAC type and error type. The accuracy score for messages using high-tech AA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ow-tech AAC, and in the case of error types, the interpretation accuracy was higher in the order of inversion, substitution, and omission errors. In terms of message accept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partner groups, and the main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the error types among the variables within the group. As a result of the post-test, the message acceptance score was high in the order of inversion, omission, and substitution erro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aided AAC types in attitudes toward AAC users according to aided AAC types. Overall, in order to convey the message accurately, intervention is required to minimize the omission error with the lowest interpretation accuracy or the substitution error with the lowest acceptance. In addition, the aided AAC type variable did not affect acceptanc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accuracy, it is expected that smooth communication can be helped if intervention on how to deliver messages at an appropriate speed is provid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mmunication partner groups in attitudes toward AAC users and acceptances for messages suggest that anyone can function as a communication partner for AAC user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accuracy and acceptance score, family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inexperienced group. Therefore, communication partner of AAC users, especially family, needs to be practiced to be a supportive partner.;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은 구어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고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소통의 창이 된다. 다양한 AAC 도구들이 개발되면서 현재 전 세계 약 200만 명 이상의 언어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AAC를 사용하고 있다(Beukelman & Mirenda, 2013). 현재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전자적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도구인 로우테크(low-tech) AAC와 더불어 음성이 출력되고, 전자적 장치에서 상징을 활용하는 하이테크(high-tech) AAC가 다수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AAC 도구들이 개발되면서 AAC 사용자들의 선택권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AAC 사용자들의 사회적 핸디캡(handicap)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AAC 사용자들이 산출하는 메시지가 부적절한 내용이나 형태로 전달될 경우, 의사소통 상대자는 AAC를 통해 산출된 메시지를 해석함에 있어 혼란을 겪게 되고, 나아가 AAC 사용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Hoag, Bedrosian, McCoy, & Johnson, 2008). 따라서 AAC 사용자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AAC 사용의 지속을 위하여 이들이 보이는 오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AAC 사용 아동들이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 생략, 대치, 도치 오류를 선정하여 오류 유형별로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AAC 사용자는 일상적으로 대화를 주고받는 가족부터, AAC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경험이 없는 사람까지 다양한 대화 상대자와의 의사소통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두 집단 간의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다양한 의사소통 상대자와의 상호작용 상황을 고려하여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에 적용 가능한 결과 도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어떤 오류 유형이 어떤 AAC 매체를 통해 산출될 때, 의사소통 상대자의 메시지 해석 정확도와 수용도,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AAC 사용자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중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19-65세의 AAC 사용자의 가족 집단 30명, 동일 연령 및 성별의 AAC 사용자와 상호작용 경험이 없는 무경험자 집단 30명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자에게는 Google 온라인 설문지를 전달하여 두 가지 AAC 매체(하이테크 AAC, 로우테크 AAC)를 통해 산출되는 오류 메시지 영상을 시청하고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오류 메시지 스크립트는 각 오류 유형별로 6개씩 매체 유형별로 총 18개가 구성되었으며, 생략, 대치, 도치 오류가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제작되었다. 제작된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하여 오류 메시지 산출 영상을 완성하였으며, 등장인물은 구어를 사용하는 의사소통 상대자 역할의 일반아동 1명과 AAC 사용자 역할의 20대 성인 1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해당 영상 시청 후, 메시지 해석 정확도, 메시지 수용도,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점수를 토대로 매체 유형 및 오류 유형에 따라 의사소통 상대자 집단 간 해석 정확도와 수용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삼원혼합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체 유형에 따라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원혼합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해석 정확도에 있어 의사소통 상대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매체 유형 및 오류 유형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이테크 AAC를 사용한 메시지에 대한 해석 정확도 점수가 로우테크 AAC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오류 유형의 경우 도치, 대치, 생략 오류의 순으로 해석 정확도가 높았다. 메시지 수용도 측면에서도 의사소통 상대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집단 내 변인 중 오류 유형에 대해서만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사후검정 결과, 메시지 수용도 점수는 도치, 생략, 대치 오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매체 유형에 따른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에 있어 집단 간, 매체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의사소통 과정에서 AAC 사용자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해석 정확도가 가장 낮았던 생략 오류 혹은 수용도가 가장 낮았던 대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재가 요구되는 바이다. 더불어 AAC 매체 유형 변인이 수용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해석 정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적절한 속도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중재가 제공된다면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 메시지에 대한 수용도에 있어 의사소통 상대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은 누구든 AAC 사용자의 의사소통 상대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하여 메시지 오류에 대한 의사소통 상대자의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점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나, 친숙도가 높은 가족 집단의 평균이 무경험자 집단에 비해 낮았다는 점에서 당사자뿐만이 아니라 AAC 사용자의 의사소통 상대자, 특히 가족 집단에 대한 교육이나 훈련이 함께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