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6 Download: 0

자기일과 계획하기 교수가 시설에 거주하는 지체중복장애학생의 자유시간 일과 활동 계획하기와 지원된 자기주도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일과 계획하기 교수가 시설에 거주하는 지체중복장애학생의 자유시간 일과 활동 계획하기와 지원된 자기주도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elf-Scheduling Instruction for free time activities on Self-scheduling and Supported Self-Directed Behavior of Children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Institutions
Authors
김주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장애의 유무를 떠나 모든 사람은 하루 동안 일상의 다양한 장면 속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결정하고, 그것에 대하여 의사소통하거나 실행할 권리를 가진다. 매일을 스스로 결정하고 만들어가는 이 권리로 인해 우리는 일상의 풍요로움을 느끼고, 최종적으로는 향상된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다. 이렇듯 최근 특수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장애인 개인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자기결정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수 방법이 제안되고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자기결정 관련 교육들이 주로 경도의 지적장애 학생들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오고 있다. 특히, 전 생애에 걸쳐 타인의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지원과 도움을 필요로하는 지체중복장애학생을 비롯한 중도장애학생들은 자기결정 증진 교육에서 소외되어왔으며, 이들의 신체, 인지, 감각, 의사소통, 건강 상의 제한으로 자기결정이 어렵다고 여겨져 일상의 자연스러운 선택의 기회를 경험하지 못하고, 전적으로 부모나 교사에 의해 결정된 일상을 보내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졌다. 그러나 자기결정은 모든 사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어려서부터 지도되어야 하는 것이자, 독립 수행이나 전적인 통제를 늘리는 것이 아닌 개인의 의지에 기초하여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일상생활에서 높은 강도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자율성과 자기결정권의 침해에 취약한 지체중복장애인에게 자기결정은 본질적인 권리에 대한 접근으로 어려서부터 더욱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매일의 일상에서 자연스러운 선택의 기회를 부여하고,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를 늘림으로써 자기결정력을 증진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자기일과 계획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자기일과 계획하기란, 개인이 무엇을, 언제 할 것인지에 대해 스스로 선택하고 미리 일과를 계획하여 주도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많은 지체중복장애 및 중도장애 학생들이 대부분 수동적이고 단조로운 일과 활동을 하며 무기력하게 일상을 보낸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학령기부터 이들에게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보낼지 스스로 결정하게 하는 교육을 장애 특성에 지원을 통해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나 공동생활과 규칙 준수가 요구되고, 일상활동이 규격화될 여지가 있는 생활 시설에 거주하는 장애학생들에게 자기일과 계획하기와 같이 주어진 시간을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해 스스로 일과 활동을 계획하는 훈련은 더욱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설에 거주하는 지체중복장애학생이 원하는 활동을 선택하여 일과를 계획하고, 교사의 지원을 받아 계획한 활동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수정한 형태의 자기일과 계획하기 중재를 실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일반 초등학교 시설 순회학급에 재학 중인 3명의 중도 지체중복장애 초등학생 2학년(생활연령 만 12세) 1명, 4학년 2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에서 자기일과 계획하기가 연구 참여자의 자기일과 계획하기와 지원된 자기주도행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일과 계획하기 중재를 통해 시설에 거주하는 3명의 지체중복장애 초등학생의 자유시간 일과 활동 계획하기 수행이 회기마다 변동성을 보였으나 3명의 연구 참여자 모두에게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는 중재 종료 4-5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자기일과 계획하기 중재를 통해 연구에 참여한 3명의 지체중복장애 초등학생의 지원된 자기주도행동이 회기마다 변동성을 보였으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는 중재 종료 4-5주 후에도 중재 기간의 지원된 자기주도행동의 평균 수행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다만, 학생 B의 경우 유지 기간의 지원된 자기주도행동 수행이 하락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자기일과 계획하기 교수가 시설에 거주하는 지체중복장애학생의 자유시간 일과 활동 계획하기 및 지원된 자기주도행동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유지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도의 장애를 가진 지체중복장애 학생들도 수정된 활동 계획표를 이용하여 자유시간 일과 활동을 계획함으로써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과 환경을 통제할 수 있으며, 학생의 자율적인 선택을 존중하는 지원의 맥락을 제공한다면 활동 수행 시 타인의 전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도 주도성을 가지고 계획한 활동 수행에 참여할 수 있음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scheduling instruction on self-scheduling and supported self-directed behavior of elementary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live in institutions.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ere 2nd(chronological age: 12) and 4th grade students living in institute who attend itinerant education of 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used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o determine if the intervention would effect on their self-scheduling and supported self-directed behavior at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tages. The instruction was given to the participants during free time to teach how to schedule their free time activities on their own and to perform scheduled activities with their own volition through appropriate supports of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spite of wide variations in performance, the self-scheduling instruction for free time activities improved the performance of self-scheduling free time activities across all participants. The improved performance was maintained 4-5 weeks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by showing higher average performance score at the maintenance stage than at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stage. Second, despite a large deviation between sessions, all participants showed increased supported self-directed behavior through instruction. Also, this improved performance of all participants maintained 4-5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terminated by showing higher average performance score at the maintenance stage than at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stage. However, participant B showed declining tendency during maintenance stage.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elf scheduling instruction for free time activities is useful for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live in institutions for scheduling free time activities and doing the scheduled activities of their own will, and the effects can be maintain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ndicates even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require intensive supports of others cancontrol their times and environments by scheduling their own times with modified activity schedules and that in the context of support respecting their own volition, they also can participate scheduled activities in a more autonomous w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