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4 Download: 0

부모 협력 기반 성교육이 장애 초등학생의 성지식과 부모-자녀의 성 관련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 협력 기반 성교육이 장애 초등학생의 성지식과 부모-자녀의 성 관련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arent Cooperation-Based Sexuality Education on Sexu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arent Perception of Parent-Child Sexual Communication
Authors
소예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유리
Abstract
성은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인간이라면 누구나 태어나면서부터 생애주기에 따른 성을 끊임없이 경험하며 이는 모든 인간이 누릴 수 있는 기본 권리이다. 하지만 성을 생물학적 개념으로 한정하여 소극적 혹은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으로 인해 장애인의 성 권리를 무시하는 성에 대한 편견이 만연한 실정이다. 이러한 편견을 깨고 장애인이 성적 권리를 누리기 위해서는 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신체적, 정서적 변화를 경험하는 과도기인 사춘기 시기의 성교육이 중요하다. 사춘기 시기의 장애학생이 일상생활에서 성을 누리기 위해서는 장애학생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부모가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토대로 일상생활에서 자녀 성교육을 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는 자녀 성교육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장애학생과 그 부모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부모 참여 유도를 통해 부모와 협력하여 장애학생 성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장애학생 성교육을 위해 부모를 지원한 선행연구는 소수에 불과하고, 그중에서도 장애학생 성교육과 부모 협력을 연계하여 동시에 진행한 실험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춘기 시기의 장애 초등학생과 그 부모를 위한 부모 협력 기반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이것이 장애 초등학생의 성지식과 부모의 자녀와의 성 관련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도 및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4-6학년 장애학생 18명과 그 부모 18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9쌍씩 배치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장애학생 성교육과 부모와의 협력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사춘기, 건강관리, 대인관계, 개인안전과 관련한 내용이 포함된 총 10회기 성교육을 멀티미디어 활용 만화를 교수자료로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부모와의 협력은 동영상 강의, 가정학습숙제, 온라인 협의회 총 3개의 방안을 4회기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부모 협력 기반 성교육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성지식 및 자녀와의 성 관련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장애학생 및 부모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협력 기반 성교육 프로그램이 장애 초등학생의 성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학생의 점수가 프로그램 참여 이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그 변화가 통제집단과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부모 협력 기반 성교육 프로그램이 장애 초등학생의 성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 협력 기반 성교육 프로그램이 자녀와의 성 관련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점수가 프로그램 참여 이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그 차이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부모 협력 기반 성교육 프로그램이 자녀와의 성 관련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춘기 시기 초등학교 고학년 장애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성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부모와의 협력 유형을 구조화하여 장애학생과 부모를 대상으로 연계 적용한 부모 협력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프로그램 진행을 위해 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성교육 및 협력에 멀티미디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Sexuality is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so any human being constantly experiences sex according to the life cycle from birth, which is a basic right that all humans can enjoy. However, due to the tendency to limit sexuality to sex(biological concept) and look at it passively or negatively, prejudice against sexuality that ignores the sexual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prevalent. To break this prejudice an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enjoy sexual rights, sexuality education is necessary, especially during adolescence, which is a transitional period wh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Although parents wh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need to provide sexualit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in their daily lives based on the right values for sexuality in ord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olescence to enjoy sexuality in their daily lives, they have difficulty in educating their children about sexuali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xuali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operation with their parents through inducing parental participation to support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However, only a few previous studies have supported parents for sexuali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mong them, it is difficult to find experimental studies conducted simultaneously by linking sexuali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arental coope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parents cooperation-based sexuality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olescence and their parents to confirm how the program affects the sexu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perception of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For this study, 18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rades 4-6 enrolled in special class of elementary schools in Chungcheong-do and Gyeonggi-do and 18 parents of them were recruited, and 9 pairs each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sexuali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was conducted at the same time. A total of 10 sexuality education sessions, including contents related to adolescence, health ca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sonal safety, were conduct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using multimedia cartoons as teaching materials. Cooperation with parents was conducted in four sessions, consisting of a total of three plans: video lectures, home learning homework, and online councils.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parental cooperation-based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on sexual knowledge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arental perception of sexual communication with children, the difference in pre-post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analyzed by Mann-Whitney U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ental cooperation-based sex education programs on sexu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core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the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parent cooperation-based sex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xu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ental cooperation-based sex education programs on parental perception of sexual communication with children,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the differenc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parent cooperation-based sex education progra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arent's perception of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childre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organized sexuality education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stage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olescence, structured the type of cooperation with parents, implemented a parent cooperation program,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sing multimedia for sexuality education and coope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