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김성진-
dc.creator김성진-
dc.date.accessioned2022-08-04T16:32:15Z-
dc.date.available2022-08-04T16:32:15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OAK-000000191563-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9156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1970-
dc.description.abstractIn the first half of 2022, with the spread of the Omikron virus, a mutant virus of COVID-19, the scale of the epidemic of infectious diseases reached its peak(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 COVID-19 has changed various human lifestyles around the world, and this is no exception to the site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Kim et al., 2020), and the importance of telemedicine is being highlighted. Telepractice requires a teleassessment, that is, a non-face-to-face test, and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study and verify the validity of remote tests. Currently, studies on non-face-to-face tests in Korea are still insufficient, and overseas studies have mainly been conducted on adults who have to be tested remotely due to their mobility difficulties(Kim, 2020). However, the global epidemic of COVID-19 has advanced the non-face-to-face era, and non-face-to-face language tests are needed for childrean as well as adults, and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do so.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point to be verified in the non-face-to-face language test will be the validity of the test on whether the results are the same as those conducted face-to-face even when conducted non-face-to-face. Among the various language development tests for children, early screening tests is very important for prevention and detectiing the risk of speech delays and disorders in children. Speech impairment found in childhood can lead to impairments related to learning ability in later school years(wiig & Semel, 1976) an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risk of speech impairment early in school age(Bliss et al., 1984). With early screening, the sooner linguistic difficulties are detected, the sooner appropriate treatment is available,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effect of preventing future academic difficulties(wiig & Semel, 1976). Such an useful screening test needs to be verifed for its effectiveness in a non-face-to-face test environment as well. Language development tests can be categorized into indirect tests and direct test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procedures(Kim, 2002). In pre-school children, indirect questionnaire tests, mother reporting are alternatively used, and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Kim Young-tae et al., 2002) is a representative example for indirect questionnaire test. The biggest advantage of indirect questionnaire testing of mother reporting is that it can be easily conducted on parents when experts cannot directly evaluate children or need additional information on child development for diagnosis(Han et al., 2018). However, the mothers’subjective judgment and the possibility of false reporting still exist which can lead to incorrect results(Park et al., 2006).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test,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at could be the best way to conduct the screening test, and furthermore, when the screening test becomes non-face-to-face, the results should not be different from the face-to-face test.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performance by types of the screening test(indirect questionnaire type vs direct observational type)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test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non-face-to-face screening test and the performance of the face-to-face standardized test(Preschool Rece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Kim, 2003). Finally, by examining th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the two implementation types with mothers’ own answers on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test types. In this study, 40 children who aged 3 to 6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gether. Only the children with no difficulty in language corresponding to -1 SD or higher in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Kim et al., 2009)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non-face-to-face language screening test method (indirect questionnaire type vs direct observation type). In addition, the performance score of each implementation method showed a significant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e performance score of the two implementation methods showed a significant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rformance score of the standardized test conducted face-to-face as well.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score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but direct observation tests were more dominant in pre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validity of the non-face-to-face language screening test was proved in that the performance of children did not chang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and both the indirect questionnaire and direct observation method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standardized test. In addition, direct observation tests were preferred because mothers felt it was more accurate and objective than indirect questionnaire tests To sum up, a non-face-to-face language screening test can be conducted even in the situations with possibility of unexpected infectious diseases or situations that requires remote teleassessment which can help to prevent language impairment in children by detecting the risks especially in the pandemic era. ;2022년 상반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바이러스의 확산과 함께 감염병의 유행 규모가 정점을 도달하였다(질병 관리청, 2022). COVID-19는 전세계적으로 인간의 여러 생활 방식들을 바꾸어 놓 았고, 이는 언어재활서비스 현장도 예외는 아니며(김나연 외, 2020) 이에 따라 원격치료(telepractice)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원격치료(telepractice)를 위해서는 윈격검사(teleassessment) 즉, 비대면 검사 또한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따라 원격 검사에 대한 실시방법을 연구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비대면 검사의 연구는 아직까지는 미비한 상황이며 국외 연구에서도 주로 거동이 불편하여 원격으로 검사를 받아야만 하는 성인들이 연구의 주요 대상으로 이루어져왔다(김지연, 2020). 그러나, COVID-19의 전세계적 유행은 비대면 시대를 앞당겼고, 성인 뿐만 아니라 아동을 위한 비대면 언어 검사의 필요성과 함께 이를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무엇보다 비대면 언어 검사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검증되어야 하는 점은 비대면으로 진행하였을 시에도 대면으로 진행한 것과 같은 결과가 나오는지에 대한 검사의 타당성일 것이다. 아동 대상의 여러 언어 발달 검사들 중에서도, 조기 선별검사는 아동의 언어 지연 및 장애에 대한 발견 뿐만 아니라 예방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어렸을 때 발견되는 언어장애 및 지체는 이후 학령기의 학습능력과 관련된 장애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며(wiig & Semel, 1976) 이에 따라, 학령 전기에 언어장애의 위험성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Bliss et al., 1984). 조기 선별검사를 통해 더 빨리 언어적 어려움을 발견할수록 더 빨리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고, 이는 결국 미래의 학업적 어려움을 예방하는 효과로까지 이어진다(wiig & Semel, 1976). 이처럼 유용한 선별검사 역시 비대면 검사 환경에서의 효과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언어 발달 검사는 실시 절차에 따라 간접 검사와 직접 검사로 나눌 수 있다(김영태, 2002). 취학 전기의 어린 아동일수록 어머니 보고의 간접적 설문형 검사를 대안적으로 사용한다. 임상 현장에서 취학 전기 아동을 위한 선별 검사로서 대표적인 검사인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김영태 외, 2002) 또한, 어머니 보고로 이루어진다. 어머니 보고식의 간접 설문형 검사의 가장 큰 장점은 전문가가 아동을 직접 평가할 수 없거나, 진단을 위해 추가적으로 아동 발달에 대한 정보를 얻어야 할 때 부모를 대상으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한지윤, 임동선, 2018). 그러나, 피검자의 주관적 판단이 가진 신뢰성 여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점과 허위 보고의 가능성이 있다는 점(박병기, 강현숙, 2006)이 전제되며, 어머니는 아동과 가장 친밀한 존재로서 자녀에 대해 비교적 많은 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아동에 대한 주평가자로 알려져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가자의 주관적인 지각에 의존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다른 평가 방법으로 하였을 때와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김선희, 2006)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점을 토대로,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선별검사의 실시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비대면 시대에 맞춰 선별검사가 비대면화 되었을 때 대면으로 진행한 검사와 결과가 다르지 않다는 것이 검증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선별검사를 어머니 보고식 검사인 ‘간접 설문형’으로 실시하였을 때와 아동에게 문항과 관련된 수행 과제가 부여되고, 이를 어머니가 관찰한 뒤 답변하는 ‘직접 관찰형’으로 실시하였을 때에 아동의 수행력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비대면 선별검사의 수행력과 대면으로 진행한 표준화 검사(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김영태 외, 2003)의 수행력의 상관을 비교함으로써 검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두 실시방법에 대한 만족도와 선호도를 알아봄으로써 검사별 강점과 약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만 3~6세의 아동 40명과 아동의 어머니가 함께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 아동들을 대상으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김영태 외, 2009)를 실시하고, 수용 및 표현 영역에서 -1 SD 이상에 해당되는 언어에 어려움이 없는 일반 아동만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모든 대상이 두 실시방법을 일정 간격을 두고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만족도와 선호도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취학 전 만 3~6세 일반 아동의 비대면 언어 선별검사의 실시방법(간접 설문형 vs 직접 관찰형)에 따라 수행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실시방법별 수행력은 서로 유의한 강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두 실시방법의 수행력은 대면으로 진행한 표준화 검사의 수행력과 모두 유의한 강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실시방법에 따른 만족도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선호도에 있어서는 직접 관찰형 검사가 더 우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언어 선별검사는 실시방법에 따라 아동의 수행력이 달라지지 않고, 어머니 보고식의 간접 설문형 실시방법과 직접 관찰형 실시방법 모두 표준화 검사와 높은 상관을 띈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간접 설문형 검사 보다도 아동의 수행을 본 뒤에 이를 참고하여 답변하는 것이 더 정확하고 객관적이라는 점에서 직접 관찰형 검사를 선호하였고 더불어 문항마다 수행을 지켜봐야 하는 것이 요구되기는 하나, 전문가가 함께하며, 또 시공간 제약이 덜한 비대면 검사라는 것도 강점으로 작용하였다. 이로써 앞으로 예상할 수 없는 잠재적인 전염병 사태 혹은 원격 검사가 필요한 특수한 상황에서의 비대면 원격 언어 선별검사의 시행과 이를 통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취학 전 아동의 언어발달 특징 8 B. 취학 전 아동 대상의 언어 선별검사 9 C. 비대면 선별검사의 타당성 10 Ⅲ. 연구 방법 12 A. 연구 대상 12 B. 검사 도구 13 C. 연구 절차 19 D. 통계적 처리 21 Ⅳ. 연구 결과 20 A. 비대면 언어 선별검사의 실시방법에 따른 아동의 수행력 비교 22 B. 간접 설문형 비대면 언어 선별검사, 직접 관찰형 비대면 언어 선별검사, 표준화 검사 수행력 간 상관관계 24 C. 비대면 언어 선별검사의 실시방법에 따른 어머니 만족도 비교 27 D. 비대면 언어 선별검사의 실시방법에 따른 어머니 선호도 32 Ⅴ. 결론 및 논의 34 A. 결론 및 논의 34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2 참고문헌 44 부록1. 49 부록2. 58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849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비대면 원격 언어 선별검사 실시방법에 따른 수행력 차이 및 어머니 만족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ask Performance and Mothers’ Satisfaction of Non-face-to-face Language Screening Test Methods-
dc.creator.othernameKim, Sung Jin-
dc.format.pagevii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2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