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6 Download: 0

명료화 요구 유형에 따른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양상과 마음이론 및 실행기능 간의 상관관계

Title
명료화 요구 유형에 따른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양상과 마음이론 및 실행기능 간의 상관관계
Other Titles
Communication Repair Strategies in response to Types of Clarification Request and its Correlation with Theory of Mind, and Executive Functions in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uthors
김송이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의사소통하고 상호작용하기 위해서는 언어라는 수단을 각 상황과 맥락에 맞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능력을 화용언어능력이라 하는데(Geurts & Embrechts, 2008), 이는 타인과 관계 형성 시에 기본이 되는 능력 중 하나이다(Russell, 2007). 이러한 능력을 기반으로 타인과 의사소통 시에는 사회 문화적 차이, 음운, 어휘, 구문 오류 등으로 인해 의사소통 실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의사소통 실패 상황에서 청자는 일반적 요구, 확인을 위한 요구, 특정 부분 반복 요구와 같은 ‘명료화 요구’를 통하여 대화를 회복하려 할 수 있으며(Gallagher, 1981), 화자는 스스로의 발화를 반복, 수정, 첨가, 그리고 추가적인 단서를 추가하는 것과 같은 ‘의사소통 회복 전략’을 사용하여 대화를 유지할 수 있다(Barstein, Martin, Lee & Losh, 2018). 화자가 청자의 명료화 요구를 듣고, 청자가 어떠한 부분에서 본인과 공통된 합의점에 다다르지 못하였는지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전략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더불어 맥락(청자의 사회적 지위, 마음 상태, 흥미 등)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기에, 사회-인지적 기술이 필요하다(Eigsti et al., 2011; Volden, 2004). 담화 내 화자와 청자의 역할은 역동성을 띄며 계속적으로 뒤바뀌게 되기 때문에 위와 같은 판단을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해야 성공적인 소통의 회복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작업기억, 억제, 전환 등으로 대표되는 실행기능이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관여하게 된다(Blair, Zelazo, & Greenberg, 2005). 그 뿐 아니라 개인의 행동을 내적인 믿음, 감정, 생각 등에 기초하여 추론하고, 타인의 관점에서 마음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인 마음이론 발달 또한 필수적이다(Saban-Bezalel et al., 2019). 한편, 공동주의, 모방, 상징 사용 능력은 향후 사회적인 모니터링 기술 및 타인의 의도를 파악하는 능력에 중요한 기반이 되는데(Carpenter & Tomasello, 2000),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영유아기부터 이와 같은 영역에서 발달상 결함을 보이기에 정상 수준의 언어 및 인지 수준을 보임에도 화용 언어능력에서 결함을 보인다(Baron-Cohen, 1988; Rubin & Lennon, 2004). 이들은 언어 및 인지영역에서와 다르게 사회성 영역에서 전형적인 발달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 특징을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료화 요구 유형에 따른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알반 아동의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양상 및 실행기능(작업기억, 구어 및 비구어 억제 능력, 전환 능력)을 비교하고, 각 집단 내외로 의사소통 회복 빈도, 마음이론, 실행기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4-7세의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7명과 일반아동 14명이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언어(어휘, 구문의미이해력) 및 비언어성 지능검사를 선별검사로 실시하였으며, 선별 기준에 충족된 아동들에 한하여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을 요하는 그림설명 과제, 마음이론 과제 그리고 실행기능 과제를 실시하였다. 이후 명료화 요구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유의한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삼원혼합분산분석(three-way mixed AN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행기능의 하위 과제인 작업기억 과제, 구어 및 비구어 억제 과제, 전환 과제와 마음이론 과제(일차순위 및 이차순위 틀린믿음 과제)에서 집단 간 수행력의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각각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이후, 각 집단에서 언어 능력, 마음이론 과제,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빈도 및 실행기능 능력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및 Spearman 등위상관계수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 회복 과제 및 마음이론, 실행기능 과제에서 집단 간 주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일반 아동이 의사소통 회복 전략 과제에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 비해 더 많은 의사소통 회복 빈도를 보이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더 많은 부적절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집단 내 요인인 명료화 요구 유형 및 의사소통 회복 전략에 있어 주효과 및 이차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네 가지 실행기능 과제 및 마음이론 과제에서 대체로 집단 간 수행력의 차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작업기억 과제에서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유의하게 높은 수행을 보였다. 각 집단에서 언어 능력, 마음이론,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빈도 및 실행기능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반아동의 의사소통 회복 전략 빈도d와 이차순위 틀린믿음 과제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집단에서는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총 빈도는 구어 억제 능력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어 두 집단을 합하여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이차순위 틀린믿음 과제 점수와 구어 의사소통 회복 빈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경우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의사소통 회복 능력이 어느 수준 이상 보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마음이론 수행 및 실행기능 과제에서도 큰 어려움을 보이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능력들 간의 관계가 각 집단별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라 하더라도 언어 및 인지기능을 통제하였을 시, 화용언어에서의 수행 차가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이들의 화용론적 능력이 일정 수준 보존되어 있다는 것으로, 이들이 보다 원활하게 사회에 통합되어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 집단의 경우 유의한 수준 정도로 부적절 반응이 일반 아동에 비해 많이 관찰되었고, 그 전략 사용에 있어 질적으로 손상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의사소통 실패 상황에서본 집단의 이들의 회복 전략에 대한 질적이고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들 집단의 특성을 세심하게 고려한 화용론적 개입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order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others from various backgrounds, language, as means of communication must be used effectively for each situation and context. This ability is called pragmatical language ability(Geurts & Embrecht, 2008), which is one of the basic abilities in building relationship with others(Russell, 2007). Communication breakdown occurs inevitably due to the speaker’s phonology, vocabulary, and syntax errors and socio-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Listener who participates in discourse can attempt to restore conversation through clarification requests, such as neutral/nonspecific request, request for confirmation and request for repetition of a specific constituent(Gallagher, 1981). In response to these requests, the speaker can attempt to maintain conversation using communication repair strategies, such as repetition, revision, addition, and by giving cues(Barstein et al., 2018). In order for the speaker to successfully respond to the listener's clarification request, the speaker should not only identify where the listener has lost his or her track, which ability in need is called referential communication skill, but also needs to consider context(e.g. listener's social status, state of mind, interest, etc.) (Volden, 2004). Communication can be restored only when all of the process above is made accurately in a short amount of time considering how dynamic can a conversation can be. Execution functions, which includes working memory, inhibition, and shifting are to be used in solving problems(Blair, Zelazo, & Greenberg, 2005) like thi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which is the ability to infer an individual's behavior based on his of her inner beliefs, emotions and thoughts, is essential(Saban-Bezalel et al., 2019) in the process that requires perspective-taking like repairing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joint attention, imitation, and ability to use symbols in early childhood are the basis of acknowledging other people’s intentions and monitoring social techniques later on(Carpenter & Tomasello, 2000). However,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w developmental deficits in these areas early on, resulting in pragmatic language problems even when their speech-language and cognitive skills are relatively intact(Baron-Chen, 1988; Rubin & Lennon, 2004). As they show atypical development in social skills, it is necessary to grasp their characteristics in pragmatic language. In this study, therefore, focuses on how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repair conversation by using communication repair strategies in response to a series of clarification requests made by researcher. In addition, their performance on executive functions(working memory, verbal and non-verbal inhibition, and shifting) were compared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is study also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verbal and non-verbal repair frequency, theory of mind, and execution functions and language ability. A total of 21 children(7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14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from 4-7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language ability and non-verbal intelligence were assessed as for the screening test and later executive function task, first and second order false-belief tasks and picture description(which were used to make communication breakdown intentionally) were conducted to those who passed screening criteria. A three-way 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using repair strategies in response to three different clarification requests between two groups. Also,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s and ToM task resul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see if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verbal and non-verbal repair frequency, theory of mind, and execution function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no significant group effects in using communication repair strategies, but TD children showed less inappropriate responses than ASD group. Main effects were found in different clarification requests and types of repair strategies. Secondar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type of clarification request and repair strategy. There also wer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ory of mind, and execution function tasks, besides ASD group showing significantly high performance on working memory than TD.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ppeared different in each group. The total frequency of communication repair strategy in TD group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cond-order false-belief task, whereas ASD group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verbal inhibition. Subsequent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cond-order false-belief task and the frequency of repair strategy in all participants toge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with ASD, if their language ability and non-verbal intelligence are controlled, can repair communication by utilizing executive functions and put themselves in other person’s shoe, to the point where TD children can.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is group to be integrated into this society successfully. However, inappropriate responses were observed more compare to TD group at almost in significant level which means their strategies are somewhat qualitatively damaged. Therefore, a qualitative and detailed analysis of repair strategies in this group is needed in the future and their detailed traits in repairing communic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pragmatic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