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0 Download: 0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어머니의 발성 차례주고받기 특성

Title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어머니의 발성 차례주고받기 특성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of Vocal Turn-taking between Infants and 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s and Their Mothers
Authors
이강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미
Abstract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 어머니는 영유아의 반응을 민감하게 살피며 발성 타이밍을 조절하고 차례를 주고받는다. 이는 인종과 문화를 막론하고 어머니와 영유아 간에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방식으로, 어머니와 영유아의 조정된 화자간 타이밍(coordinated interpersonal timing, CIT)은 영유아의 사회적, 인지적 발달과 연관되어 있다(Jaffe et al., 2001).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특성은 영유아의 초기 의사소통 능력을 살펴볼 수 있는 유용한 지표이다. 시간적 특성에는 발성지속시간(duration of vocalization)과 화자 전환 쉼 시간(switching pause)이 있다. 발성지속시간은 한 화자의 발성이 얼마나 오랫동안 연속되는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화자 전환 쉼 시간은 한 화자의 발성 이후에 다른 화자의 발성이 일어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영유아의 상호작용 능력을 암시하고, 대화의 규칙 습득과 연관된다. 또한,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 나타나는 영유아의 차례주고받기 빈도는 어휘 능력을 예측하며(Donnelly, & Kidd, 2021).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빈도는 언어 발달을 예측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Binos, Polemikou, & Loizou, 2018; Binos & Loizou, 2019). 난청 영유아는 제한적인 청각 능력으로 인하여 말을 지각하고 적절한 타이밍에 답하는 것이 어렵다. 영유아가 양육자의 말에 답할 때 지나치게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답을 하지 않는다면, 어머니와 영유아 간 발성 차례주고받기는 자연스럽게 실패한다. 따라서, 원활한 발성 차례주고받기를 위해서는 난청 영유아의 청각적 민감도(audibility)가 보완되어야 한다. 또한, 영유아가 발성 차례주고받기의 시간적 규칙을 이해하고, 발성 차례주고받기에 발성으로 충분히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다수의 난청 영유아는 건청 부모로부터 태어난다(Mitchell & Karchmer, 2004). 난청 양육자와 건청 양육자를 비교한 Harris(2001)의 연구에 의하면, 난청 양육자는 난청 영유아에게 눈에 띄는 사물과 대상을 언급하는 등 뚜렷한 맥락(salient context)이 있는 단단어 수화와 구어를 사용하였으나, 건청 양육자는 비교적 시각적인 대상을 언급하지 않고 다양한 단어로 된 수화와 구어를 사용하였다. 성공적인 상호작용 시간의 측면에서 난청 양육자와 난청 영유아가 건청 양육자와 난청 영유아보다 더 길었다(Beatrijs, Kristiane, & Mieke, 2019). 이처럼 의사소통 방식의 불일치는 건청 양육자와 난청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초래한다(Paul & Norbury, 2014). 더불어,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는 건청 영유아보다 듣기 경험이 적고, 언어능력이 낮기에 부모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 어머니와 영유아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와 영유아가 발성을 주고받는 것은 초기 의사소통 단계에 해당한다. 발성 차례주고받기는 어머니와 영유아 각각의 의사소통 능력을 양방향으로 평가하여, 의사소통이 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척도를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는 언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말도 발성의 일부로 여기며 어머니와 영유아의 말을 모두 발성이라는 통합된 용어로 사용하고 있기에(Gratier et al., 2015; Harder et al., 2015; Boiteau et al., 2021), 언어 능력이 지연되는 영유아에게도 동일한 형식으로 언어 발달 가능성을 가늠해볼 수 있다. 따라서, 어머니와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의사소통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머니와 아동의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양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를 건청 영유아와 건청 양육자의 특성과 비교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선행연구(Smith & McMurray, 2018; Kondaurova, Smith, Zheng, Reed, & Fagan, 2020)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건청아동의 발성 차례주고받기를 비교하였다. Kondaurova et al.(2020)는 인공와우이식 후 3개월이 지난 시점의 난청 영유아와 어머니가 건청 영유아와 어머니에 비해 발성 차례주고받기 빈도가 낮고, 난청 영유아가 건청 영유아보다 더 적은 발성을 산출한다는 것을 밝혔다. Smith & McMurray(2018)은 난청 영유아의 화자 전환 쉼 시간이 건청 영유아와 비슷하다고 보고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주로 화자 전환 쉼 시간과 시간의 변동성, 발성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하지만, 발성지속시간과 차례주고받기 비율, 평균지속시간을 살펴본 연구는 없었기에 건청 영유아와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화자 능력과 상호작용 지속능력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및 건청 영유아간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특성(발성 차례주고받기 시간 비율, 발성 차례주고받기 평균지속시간)및 빈도, 발성 빈도, 차례주고받기에 포함된 발성의 비율, 발성지속시간, 화자 전환 쉼 시간을 확인하여, 어머니와 인공와우이식 영유아간 초기 의사소통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만 2세 이전에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12~36개월 사이의 영유아와 어머니 10쌍, 이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건청 영유아와 어머니 12쌍이 참여하였다. 어머니와 영유아는 20분 동안 자유놀이 과제를 진행하였다. 상호작용 음성 분석에는 PRAAT phonetic analysis software version 6.1.56(이하 Praat 6.1.56)(Boersma & Weenink, 2018)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어머니와 영유아간 상호작용에서 발성 차례주고받기 시간 비율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발성 차례주고받기 평균지속시간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어머니와 영유아간 상호작용에서 발성 차례주고받기 빈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발성 빈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영유아의 발성 빈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차례주고받기에 포함된 발성의 비율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영유아의 차례주고받기에 포함된 발성의 비율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어머니와 영유아간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 어머니의 발성지속시간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영유아의 발성지속시간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어머니와 영유아간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 어머니의 화자 전환 쉼 시간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영유아의 화자 전환 쉼 시간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수용언어능력은 발성 차례주고받기 시간 비율, 발성 차례주고받기 빈도, 영유아의 발성 빈도, 어머니의 차례주고받기에 포함된 발성의 비율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표현언어능력은 발성 차례주고받기 시간 비율, 발성 차례주고받기 빈도, 영유아의 발성 빈도, 어머니의 차례주고받기에 포함된 발성의 비율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건청 영유아의 표현언어능력은 어머니의 발성 빈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영유아의 발성지속시간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집단이 건청 영유아 집단에 비하여 부모와 영유아 간에 더 적은 시간 동안 발성 차례주고받기를 하며, 발성 차례주고받기 횟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차례주고받기 빈도는 건청 영유아 보다 적었지만,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차례주고받기 지속시간은 건청 영유아와 유사하였다. . 또한,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어머니는 건청 영유아의 어머니와 발성 횟수가 유사하며,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는 건청 영유아에 비하여 발성 횟수가 적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불어,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어머니가 건청 영유아와 어머니와 유사한 길이로 발성하며, 상대방의 발성에 유사한 속도로 대답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종합하면, 이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가 건청 영유아에 비하여 어머니 발성에 적게 응답하며,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어머니가 건청 영유아 어머니에 비하여 응답 받지 못하는 발성이 많기에, 인공와우이식 집단의 발성 차례주고받기가 비효율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어머니의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시간과 빈도의 측면에서 건청 영유아와 어머니의 특성과 비교한 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으며,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어머니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영유아뿐만 아니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적절한 중재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In vocal turn-taking, mothers sensitively examine the response of infants and toddlers, adjust the timing of vocalization, and exchange the order. This is a natural way of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infants, regardless of state and race, and coordinated interpersonal timing (CIT) between mothers and infants is associated with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Jaffe et al., 2001).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vocal turn-taking are useful indicators to examine infants' initial communication skills.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include duration of vocalization and switching pause. It can be said that vocalization duration is related to the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In addition, switching pause infants' ability to interact and is associated with acquiring rules of conversation. It is difficult for hearing-impaired infants to perceive words made up of auditory information and response them at an appropriate time. If it takes too long for infants and toddlers to respond to their caregivers, or if they do not answer, the exchange of vocalization turns is naturally cut off. The discrepancy in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hearing parent and hearing-impaired infants leads to difficulty in interaction(Paul & Norbury, 2014). In general, babbling is evaluated for the initial evalu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but this can be said to be a one-way evaluation that focuses only on infants and toddlers. In order to evaluate the communication ability occurring in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a two-way evaluation of mothers and infants is necessary. Vocal turn-taking is closely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and two-way evaluation is possible. Language are considered part of vocalization, and both mothers and infants are used as integrated terms of vocalization (Gratier et al., 2015; Harder et al., 2015; Boiteau et al., 2021), which can gauge the possibility of language development in the same form. Prior studies (Smith & McMurray, 2018; Kondaurova, Smith, Zheng, Reed, & Fagan, 2020) compared the vocal turn-taking between infants with cochlear implants and infants with typical hearing. Although the switching pause, time variability, and ratio of vocalization was measured,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speaker ability and interaction sustainability of infants with cochlear implants and infants with typical hearing, because there were limited studies examining the duration of vocalization, ratio of vocal turn-taking, and duration of vocal turn-taking block.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temporal and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vocal turn-taking between mothers and infants with cochlear implants and infants with typical hearing.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in each group. For this study, 10 pairs of infants and their mothers aged 12 to 36 months who had cochlear implantation before the age of 24 months, and 12 pairs of infants with typical hearing and their mothers who matched their living age participated. Mothers and infants participated free play assignments for 20 minutes. The PRAAT phonetic analysis software version 6.1.5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at 6.1.56) (Boersma & Weenink, 2018) program was used for vocal turn-tak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vocal turn-taking between the groups (infants with cochlear implants and infants with typical hear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uration of vocal turn-taking block. Second, in vocal turn-taking between mothers and infa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frequency of vocalization or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mother's vocalization between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frequency of vocaliz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roportion of mother’s vocalization included in the turn-tak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roportion of infant’s vocalization included in turn-taking.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duration of vocalization of mothe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duration of vocalization of infants. Fourth, in vocal turn-taking between mothers and inf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switching pause of mothe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switching pause of infants. Fifth, the receptive language ability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atio of vocal turn-taking, frequency of vocal turn-taking, frequency of infant vocalization, and proportion of mother’s vocalization included in turn-taking.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atio of vocal turn-taking, frequency of vocal turn-taking, frequency of infant vocalization, and proportion of mother’s vocalization included in turn-taking.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y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typical hearing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mother's vocaliz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uration of vocaliz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infant with cochlear implantation group exchanges vocalization turns between parents and infants for less time than the infant with typical hearing group, and the frequency of vocal turn-taking is small. Also, the frequency of vocaliz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ation was less than that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typical hearing, but the duration of vocaliz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ation was similar to that of infants and toddlers typical hearing.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mothers of infants with cochlear implantation have a similar number of vocalizations to the mothers of infants with typical hearing, and that the frequency of vocalizations of infants with cochlear implantation is lower than that of an infant with typical hearing. Finally, it indicates that infants with cochlear implantation group vocalize at a length similar to those of infants and mothers with typical hearing and respond at a similar speed to the other's vocalization. Taken together, there are many vocalizations in which infants and 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ation respond less to their mother's vocalization than those with typical hearing, and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ation do not get a response from their children compared to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typical hearing. For this reason, it suggests that vocal turn-taking is inefficient in infants and 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ation and their mothers. This study is of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repared data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mothers' vocalization in terms of time and frequency and suggests that appropriate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for infants as well as mothers for efficient commun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