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3 Download: 0

손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가시각중복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손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가시각중복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SON-DAM on communication reaction behavior of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uthors
이은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최근 특수교육 현장은 시각중복장애 학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장애 정도와 특성은 매우 다양하나, 공통적으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인다. 이들은 적절한 의사소통 수단을 확립하지 못하고 제한적인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한다. 의사소통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능력 가운데 하나이며, 모든 교육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의사소통은 시각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있어 중요하다. 최근 구어 사용이 어려운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수단이 다양하게 고민되고 있다. 그러나 그림 상징은 시각 정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제한적이고, 촉각 상징은 추상적인 내용의 표현이 어렵고, 만질 수 없는 것이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은 것 등은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반면 몸짓상징은 쉽게 이해하고 즉각 사용이 가능하므로 시각중복장애 학생에게 유용할 수 있다. 손담은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해 개발된 몸짓상징이다. 손담은 시각을 통한 모방이 어려운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위해 신체 접촉을 강화한 수정된 표현이 함께 개발되어 있어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대안적 의사소통 방법으로써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손담을 활용한 중재가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반응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대안적 의사소통 방법으로써 손담의 활용 가능성을 살피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서울시 소재 시각장애 특수학교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시각중복장애 학생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목표 어휘 선정, 연구 보조 교사(담임교사 2인) 훈련,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서로 실험이 이루어졌다. 중재는 수업 환경에서의 어휘 습득 훈련과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기능적 어휘 사용 훈련으로 이루어졌다. 어휘 습득 훈련은 연구 참여 학생의 각 학급에서 매일 국어 수업 시간에 실시되었으며, 기초선 자료 수집 후 주 4~5회 중재를 실시하였다. 이때 연구 참여 학생이 학습한 어휘를 기능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중재 시작 5회기가 지난 시점부터 연구 보조 교사가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어휘를 사용할 수 있는 연습 기회를 제공하였다. 유지는 중재 종료 2주 후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학생마다 연속 3회기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3명의 시각중복장애 학생 모두 손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 이후 의사소통 반응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기초선에 비해 의사소통 반응 행동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고, 다양한 의사소통 반응 행동 양식을 사용하였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3명의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증가한 의사소통 반응 행동 발생 빈도는 손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기초선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손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가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반응 행동 발생 빈도와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의사소통 중재와 관련된 선행연구 대부분이 발달장애 또는 지체중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것과는 달리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과 청소년 시기까지 적절한 의사소통 수단이 확립되지 않은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능력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손담이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반응 행동 향상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Recently, the number of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ability of the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re very diverse, and they show difficulty in communication in common. They communicate in a limited way because they do not establish appropriate means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s one of the essential skills for conducting daily life, and it can be said to be the starting point of all education. Communication is, therefore, important in the education of the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methods are being considered in various ways for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using spoken language. Pictorial symbols are limited because they are based on visual information. Tactile symbols are difficult to express abstract content. Things that cannot be touched or things that are too large or too small have limitations due to poor accessibility. On the other hand, the Simplified Manual Sign is easy to understand and can be used immediately, so it can be useful for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SON-DAM is a simplified manual sign developed for student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SON-DAM has developed a modified expression with enhanced physical contact for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imitating through sight, which can be effective as an alternative communication method for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ntervention using SON-DAM affects the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 of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SON-DAM as an alternative communication method for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3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t the special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Seoul where the researcher is working.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subjects was used,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target vocabulary selection, research assistant teacher training(2 homeroom teachers of the target students),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classes every day in each class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After collecting baseline data,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4 to 5 times a week. At this time, the research assistant teacher provided a practice opportunity to use the target vocabulary in a natural environment from the time after 5th session of intervention so that the participating students could functionally use the vocabulary learned. Maintenance collected data for three consecutive sessions per stud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baseline two weeks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had positive changes in their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s after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SON-DAM. Compared to the baseline,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communicative response behaviors increased, and various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 patterns were used. Seco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increased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s of the thre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was generalized to other situations(break time). Third, the increased frequency of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s of the three students was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baseline even after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SON-DAM was finish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SON-D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frequency and maintenance of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s of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mmunication interventions so far have been conducted 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targeted at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in that it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communication skills for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for whom appropriate communication means were not established until adolescence.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ed that SON-D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mmunication response behavior of students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