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4 Download: 0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부모 상호작용동안 부모의 언어적 입력 특성

Title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부모 상호작용동안 부모의 언어적 입력 특성
Other Titles
Parental Linguistic Input to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uthors
이유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미

심현섭
Abstract
Parental linguistic inpu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early language environment of young children (Ambrose et al., 2015) and is the main factor explaining the difference in the vocabulary size of young children (Huttenlocher, Hayk, Seltzer, & Lyons, 1991). The two main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input—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inguistic elements—were found to be related to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Hart & Risley, 1999; Weizman & Snow, 2001; Kaiser, Hankock, & Hester, 1998). Young children become more familiar with certain words as they are exposed to large amounts of linguistic input (Weisleder & Fernald, 2013), and show stronger vocabulary growth and faster vocabulary processing with more opportunities to practice important skills for word learning (Weisleder & Fernald, 2013). In addition, the use of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reflects the quality of parental conversation and affects the language ability of young children by inducing more complex responses and participation in conversations. (Rowe, Leech, & Cabrera, 2017).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how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fferences affect the languag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s parents provide linguistic input during interactions. Although young children receive cochlear implants at an early age, sound stimulation through a device is still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normal hearing, so it is not completely compensated. (Spencer & Oleson, 2008), It negatively affects the development of language development, which is necessary for verbal communication due to the period of the initial deprivation of auditory experience (Niparko et al., 2010; Tomblin, Oleson, Ambrose, Walker, & Moeller, 2014). In addition, since 90%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are born to parents with normal hearing, they have different communication modes due to the mismatch of hearing abilities between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ich can be a major barrier to effe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lbertini, 2010; Media-Orlans, & Spencer, 1996). Accordingly, parents must modify their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undergo adaptation to various tasks related to raisi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including learning appropriate communication skills (Calderon & Greenberg, 1993). However,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lack knowledge of the developmental stages of young children and have no information on which stage the providing of stimulation appropriately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hite, 1982). Accordingl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2 pairs of young children, aged 12 months to 36 months, who received bilateral cochlear implants early and from 18 pairs of infants with normal hearing (NH). This study compared the amount of parents' linguistic input (e.g., the number of total utterances,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the mean length of utterances, etc.) during parental interaction for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who lack auditory experiences with that of a group of young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portion of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according to each level.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useful clinical information on auditory language intervention by identifying the linguistic input elements of parents that affect the languag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otal utterances,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and the mean length of uttera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the parent group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showed a larger number of utterances than the parent group of young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but the mean length of utterances was short and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used was small.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used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the parent group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used less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than the parent group of young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In addition, among the factors within the group, the ratio of use according to the level of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proportion of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at the lower level is higher than that of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at the higher level. However, the effect of secondary interaction between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and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or the group of parents of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between the ratio of use of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at the lower level of parents and the chronological age of young children and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core of the young children, but in terms of the ratio of use of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at the higher level for parents, there appear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ronological age of young children and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core of the young children. On the other hand, for the parent group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ly between the ratio of use of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at the lower level of parents and the expression vocabulary score of the young children.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had fewer types of words to utter and use in a shorter length than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thus interacted with direct and question-oriented utterances. This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 of linguistic input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may affect the languag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that parents’ choosing utterances according to the language level of the young children may be the cause of delays in their language development. These results are empirical data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s well as for basic data for parental education and useful clinical information on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부모의 언어적 입력(Parental linguistic input)은 영유아의 초기 언어 환경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Ambrose et al., 2015), 영유아의 어휘 크기 차이를 설명하는 주된 요인이다(Huttenlocher, Haight, Bryk, Seltzer, & Lyons, 1991). 언어적 입력의 두가지 주요 특성인 양과 질적인 언어 요소는 영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언어 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art & Risley, 1999; Weizman & Snow, 2001; Kaiser, Hancock, & Hester, 1998). 영유아는 많은 양의 언어 입력에 노출될수록 특정 단어에 익숙해지고 단어 학습에 중요한 기술을 연습할 기회가 더 많아 짐에 따라(Weisleder & Fernald, 2013), 더 강한 어휘 성장과 빠른 어휘 처리를 보였다(Hoff & Naigles 2002). 또한, 언어촉진기술의 사용은 부모의 대화의 질을 반영하여 보다 복잡한 영유아의 반응을 유도하고 대화에 참여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언어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Rowe, Leech, & Cabrera, 2017). 따라서, 상호작용동안 부모가 영유아에게 언어적 입력을 제공함에 따라 양 및 질적인 차이가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는 인공와우를 조기에 이식했음에도 불구하고 보장구를 통한 소리 자극은 여전히 정상청력과는 질적인 차이가 있어 완전히 보상받지 못하며(Spencer & Oleson, 2008), 초기에 청각 경험이 박탈되는 시기로 인해 구어 의사소통에 필요한 말 언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Niparko et al., 2010; Tomblin, Oleson, Ambrose, Walker, & Moeller, 2014). 또한, 청각장애 영유아의 90%는 건청부모에서 태어남에 따라 영유아와 부모의 청력 불일치로 인한 의사소통 모드가 다르기 때문에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에 큰 장벽이 될 수 있다(Albertini, 2010; Meadow-Orlans, & Spencer, 1996). 이에 따라 부모는 의사소통 전략을 수정해야 하고,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에 대해 배우는 것을 포함한 청각 장애아 양육과 관련된 다양한 과제에 대한 적응 과정을 거쳐야한다(Calderon & Greenberg, 1993). 그러나, 장애영유아의 부모들은 영유아의 발달단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어떤 단계에 어떤 자극을 적절하게 제공하는 것이 영유아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어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다(White, 1982).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조기에 양측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12개월-36개월의 영유아 12쌍과 건청 영유아 18쌍을 대상으로 부모 상호작용 동안에 나타난 부모의 언어적 입력의 양(총 발화 수, 다른 낱말 수, 평균발화길이)과 각 수준에 따른 언어촉진기술의 사용 비율 분석을 통해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청각 경험의 부족함에 있어 부모가 어떤 언어적 입력 특성을 보이는지 건청 영유아 부모와 비교하고,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부모의 언어적 입력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하여 청각 언어중재의 유용한 임상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에 총 발화 수와 다른 낱말 수, 평균 발화 길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 집단은 건청 영유아 부모집단에 비해 더 많은 수의 발화를 산출하였으나 발화 길이는 짧았으며, 사용한 낱말의 유형 수가 적었다. 둘째, 두 집단 간에 언어촉진기술 사용 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집단은 건청 영유아 부모 집단에 비해 더 적게 언어촉진기술을 사용하였다. 또한, 집단 내 요인 중 언어촉진기술 수준에 따른 사용 비율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하위 수준의 언어촉진기술 사용 비율이 상위 수준의 언어촉진기술 사용 비율에 비해 더 높은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언어촉진기술과 집단에 따른 이차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건청 영유아 부모집단에서는 부모의 하위 수준의 언어촉진기술 사용 비율과 영유아의 생활연령, 영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어휘 점수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부모의 상위 수준의 언어촉진기술 사용 비율에서는 영유아의 생활연령, 영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어휘 점수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집단은 부모의 하위 수준의 언어촉진기술 사용비율과 영유아의 수용 어휘 점수 간에서만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는 건청 영유아 부모보다 짧은 길이로 더 많이 발화하고 사용하는 낱말의 유형 수가 적었으며, 지시적이고 질문위주의 발화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언어적 입력 특성이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언어발달 지연으로 인해 부모가 영유아의 언어 수준에 맞추어 발화한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상호작용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인 동시에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언어중재의 유용한 임상적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부모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