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의도적 발성과 부모의 구어 반응성의 상관연구

Title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의도적 발성과 부모의 구어 반응성의 상관연구
Other Titles
Volubility Characteristic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nd Its Relation to the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Authors
박희선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미

심현섭
Abstract
영유아의 의도적 의사소통은 언어적 의사소통으로의 전환과 언어의 출현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Paavola, Kunnari, & Moilanen, 2005). 또한 반응성이 높은 부모로부터 받은 언어 입력은 영유아가 알고 있는 대상이나 활동에 직접 언어적으로 매핑하여 이름을 제공함으로써 단어 학습의 초기 단계를 촉진한다(Haebig et al., 2013a). 더 나아가 영유아의 집중에 대한 부모의 반응은 공동주의를 시작하게 하며, 이는 언어 학습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Haebig et al., 2013a). 즉 부모와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청각장애 영유아의 경우 청각 정보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언어 이전 시기부터 발성 발달이 제한적이다(Kishon-Rabin, Taitelbaum-Swead, & Segal, 2009). 또한 건청 부모-청각장애 영유아의 경우 의사소통 모드가 불일치하여 건청 부모는 청각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의도를 알아차리기 어려우며, 이러한 이유로 상호작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Tasker, Nowakowski, & Schmidt, 2010). 게다가 부모의 언어 사용은 영유아의 언어 및 단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나, 청각장애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경우 건청 영유아의 어머니에 비해 아동의 언어 수준에 맞게 언어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더 간단한 언어와 더 많은 지시로 통제를 하는 경향이 있다(Chen, Castellanos, Yu, & Houston, 2019; Fagan, Bergeson, & Morris, 2014). 기존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발성 양(volubility)이 언어발달 위험 가능성 및 후기 언어 및 인지 발달을 알 수 있는 예측 지표로서 중요성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적은 관심을 받았다(Iyer, Denson, Lazar, & Oller, 2016). 또한 국내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수술을 받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부모의 구어적 반응성과 영유아의 의도적 발성 간의 연관성을 확인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부모 12쌍, 건청 영유아-부모 14쌍이 참여하였으며, 부모-영유아 상호작용 및 영유아의 의사소통 의도 등을 검사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FFSF 패러다임(Face to Face/Still Face paradigm)을 이용하여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건청 영유아의 분당발성빈도와 분당발성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부모-영유아 상호작용 구간에서 각 집단의 부모의 구어적 반응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영유아의 의도적 발성과 부모의 구어적 반응성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각 에피소드에서 두 집단 간 분당발성빈도 차이는 유의하였으며,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분당발성빈도가 건청 영유아의 분당발성빈도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또한 각 에피소드에 대한 분당발성빈도에 대해 살펴보았을 때, FF(Face to Face) 에피소드와 SF(Still Face) 에피소드 간 차이, FF 에피소드와 RE(Reunion) 에피소드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과 각 에피소드 간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즉, 이차상호작용 효과는 RE 에피소드에서의 집단 간 분당발성빈도의 차이가 FF 에피스드와 SF 에피소드에서의 집단 간 분당발성빈도에 비해서 유의하게 큰 것에 기인한다. 둘째, 각 에피소드에서 두 집단 간 분당발성시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각 에피소드에 대한 분당발성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FF 에피소드와 SF 에피소드간 차이, FF 에피소드와 RE 에피소드간 차이, SF 에피소드와 RE 에피소드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과 각 에피소드 간 이차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FF 에피소드에서 두 집단 간 부모의 구어 반응성 유형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즉, 영유아의 관심에 대한 부모의 구어 반응성과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부모의 구어 반응성의 경우 건청 영유아 집단의 부모가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집단의 부모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며, 영유아의 관심 및 의사소통 행동과 무관한 부모의 구어 반응성의 경우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집단의 부모가 건청 영유아 집단의 부모보다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청 영유아 집단에서 영유아의 관심에 대한 부모의 구어 반응성과 SF 에피소드에서의 분당발성빈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영유아의 관심 및 의사소통 행동과 무관한 부모의 구어 반응성과 FF 에피소드에서의 분당발성빈도, FF, RE 에피소드에서의 분당발성시간 간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집단에서는 영유아의 관심에 대한 부모의 구어 반응성과 FF, SF, RE에피소드에서의 분당발성빈도, FF, RE 에피소드에서의 분당발성시간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모-영유아 상호작용 특성과 영유아의 의도적 발성의 양이 각 집단에서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의도적 발성의 양과 이들을 양육하는 부모의 구어 반응성 특성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다. 국내에 신생아 청각 선별 검사가 도입된 이후부터 부모는 영유아가 태어났을 때부터 난청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하게 영유아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 즉, 언어재활사는 부모가 난청 영유아와 상호작용할 때 단순히 말을 많이 하게 하는 것에 대해서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영유아의 관심에 따라 적절하고 질 높은 부모의 구어적 반응을 제공하도록 권장하고 교육해야 한다. ;Intentional communication of young children has been found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the transition to verbal communication and the emergence of language (Paavola, Kunnari, & Moilanen, 2005). In addition, language input received from highly reactive parents promotes the early stages of word learning by providing words and directly linguistic mapping them to objects and activities known by young children (Haebig et al., 2013a). Furthermore, a parents' response that focuses on young children initiates joint attention,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language learning (Haebig et al., 2013a).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young children. In the case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because access to auditory information is limited, vocalization development is limited from the prelinguistic period (Kison-Rabin, Taitelbaum-Swead, & Segal, 2009). In addition, in the case of parents with normal hearing and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communication modes are unmatched, making it difficult for those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to notice their children’s communication intentions, thus possibly causing difficulties in interactions (Tasker, Nowakowski, & Schmidt, 2010). Moreover, parents' language use affects children's language and word learning, however in the case of mothers raising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they tend to use more directives and prohibitions in their interactions compared to mothers of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Chen, Castellanos, Yu, & Houston, 2019; Fagan, Bergeson, & Morris, 2014). In previous studies, although the volubility of young children was significant as a predictor of the possibilities of language development risks and later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it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Iyer, Denson, Lazar, & Oler, 2016). In addition, as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verbal responsiveness and the volubility of young children who have received cochlear implants, it is all the mor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se characteristics. Accordingly, 12 young children who cochlear implants and their parent dyads and 14 young children who normal hearing and their parent dya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utilized the FFSF paradigm (which is widely used to test the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young children, and the communication intention of young children) to examine for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lubility (vocalization frequency per minute and vocalization time per minute) for the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nd the young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Moreover, in the parent-children interaction se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verbal responsiveness of parents in each group. In addition, it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olubility of young children and the verbal responsiveness of their par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vocalization frequency per minute between the two groups in each episode was significant, and the vocalization frequency per minute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young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Moreover, in terms of the vocalization frequency per minute for each episode,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FF episodes and SF (Still Face) episod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FF episodes and RE (Reunion) episodes, were significant. The secondary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each episode was also significant. In sum, the secondary interaction effec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in the vocalization frequency per minute between groups in RE episodes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e vocalization frequency per minute in FF episodes and SF episodes. Second, in each episode, the difference in the vocalization time per minut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ocalization time per minute of each episode.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FF and SF episodes, the difference between FF and RE episod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SF and RE episodes were significant. However, the secondary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each episode was not significant. Third, in FF episod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s of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between the two groups. In short, in the case of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to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to communication behavior, the group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In the case of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unrelated to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communic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group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to young children’s interest in the group of young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the vocalization frequency per minute in SF episod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unrelated to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communication behavior, the vocalization frequency per minute in FF episodes, and the vocalization time per minute in FF and RE episodes.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to young children’s interest, the vocalization frequency per minute in FF, SF, and RE episodes, and the vocalization time per minute in FF, and RE episode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nd their parent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children interaction and the volubility of the young children varied between each group. Seeing as this study observed the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bilateral cochlear implants and their parents, this study is clin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took into account the volubility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nd the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of the parents raising them.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newborn hearing screening test in Korea, parents may find it difficult to properly interact with young children, even with the knowledge that they have experienced hearing impairments from the time of their birth. In other words, Speech-Language Pathologist should encourage and educate parents not only to talk profusely when interacting with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but also to provide appropriate and high-quality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interes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