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청소년기 전통적 괴롭힘 경험과 사이버 괴롭힘 경험의 종단적 관계 및 영향 요인

Title
청소년기 전통적 괴롭힘 경험과 사이버 괴롭힘 경험의 종단적 관계 및 영향 요인
Other Title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nd Influencing Factors of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in Adolescence
Authors
반지윤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The phenomenon of violence between students is a social issue and an important educational issue worldwide(Various Ministries, 2012; Gaffney, Farrington, & Ttofi, 2019; UNESCO, 2018).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of school violence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2021, 2021b), the experience rate of school violence victimized and perpetrated, which had been decreasing since 2012, has recently increased slightly again. It is noteworthy that traditional bullying such as physical violence, sexual violence, and extortion of money is on the decline, while invisible violence, cyberbullying, still show a high experience rate and increasing trend(Various Ministries, 2020a; The Blue Tree Foundation, 2021). However, while Korean domestic studies on school violence focused on the actual situation and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s, studies that analyzed the interaction of experience according to developmental patterns, trends, and types of bullying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foreign countries(Kim, Bang, Han, 2017; Go, Kong, & Kim, 2018). Focusing on the expansion of school violence from traditional bullying offline to cyberbullying in online spac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bullying experiences in adolescence and cyberbullying experiences and explore factors predicting such relationships. Based on such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how is the longitudinal repetition of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in adolescence with any difference in degree by gender? For this, autoregressive channel in ARCLM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explored with multiple-group analysis by gender conducted on the channel. Second, what is the longitudinal reciprocal association between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in adolescence with any difference by gender? For this, cross-lagged channel in ARCLM was explored with multiple-group analysis by gender conducted on such channel. Third, what are the inner factors (gender, self-control, self-concept, resilience) and outer factors (parental attent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peer relationship, school climate) to predict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trajectories between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in adolescence? For this, parallel process latent growth model (PPLGM)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cusing on research questions. First, auto-regressive effect on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bullying both showed positive repetition. Such a result means that as students have more of traditional and cyberbullying earlier, they have more experience in both forms of bullying later. This demonstratively verified that having traditional and cyberbullying is very likely to go on as adolescents go up into a higher grade. Such a longitudinal channel of victimization also showed the same pattern for school violence. That is, for bullying, too. auto-regressive effect appeared the same in both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bullying. Taken together, like bullying damage, bullying aggression, too, has a high probability to repeat with higher grades in both forms of bullying. Whereas, the difference in auto-regressive effect by gender appeared to be significant only in traditional bullying damage, traditional bullying aggression, and cyberbullying aggression. Such a result means that the possibility of traditional bullying damage or aggression to last with time elapsed from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i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s, while the possibility of cyberbullying aggression to last i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econd, as a result of identifying cross-lagged effect of traditional bullying damage and cyberbullying damage, both forms were found to have reciprocal effects longitudinally. Such a result suggests that the more traditional bullying damage earlier, the more cyberbullying damage later, while the more cyberbullying damage earlier, the more traditional bullying damage later. Through this, it was positively identified that traditional and cyberbullying have reciprocal associations as students go up in grades. The longitudinal interaction of such bullying damage showed the same pattern in bullying aggression. That is, cross-lagged effect between both forms of bullying aggression was found to be the same as bullying damage. Taken together, it was found that like bullying damage, bullying aggression also have reciprocal associations between two forms of aggression. Whereas, as to the difference in cross-lagged effect by gender, there was only one significant channel of cyberbullying damage earlier leading to traditional bullying damage later, where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effect than mal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riables to predict the intercept of traditional bullying damage as of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with low self-control, low resilience, disharmonious peer relationship and negative perception of school climate suffered more traditional bullying damage. 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s to predict the slope of traditional bullying damage as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howed that their higher self-control and lower resilience recorded a larger decline in trajectories of traditional bullying damage with time elapse. Next, variables to predict the intercept of cyberbullying damage showed that as of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male students with lower self-concept and more negative perception of school climate suffered more cyberbullying damage. On the other hand, variables to predict the slope of cyberbullying damage showed that the more negative in peer relationship at the time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the larger was their decline in trajectories of cyberbullying damage with elapses of time. Then, variables to predict the slope of traditional bullying aggression showed that as of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male students with a more negative perception of school climate engaged in more traditional bullying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variables to predict the slope of traditional bullying aggression revealed that at the time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male students with lower self-concept had a larger decline in trajectories of traditional bullying aggression with time elapse. Then, variables to predict the slope of cyberbullying aggression showed that as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males with more negative perceptions of school climate engaged in more cyberbullying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variables to predict the slope of cyberbullying aggression showed that at the time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a higher level of parents’ perceived attention recorded a larger decline in trajectories of cyberbullying aggression with elapse of time.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this study presented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longitudinal changes i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n adolesc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an evidence-based study that confirm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associations between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bullying experiences for six years from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edi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the two forms of bullying in adolescence for 6 years were different, providing an opportunity to illuminat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orm in discussing early intervention plans for school violence.;학생 간 폭력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이슈이며 중요한 교육 현안이다(관계부처 합동, 2012; Gaffney, Farrington, & Ttofi, 2019; UNESCO, 2018). 교육부(2021, 2021b)의 최근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살펴보면 2012년부터 감소하던 학교폭력 피해와 가해의 경험률은 최근 다시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목할 점은 신체폭력이나 성폭력, 금품갈취와 같은 전통적 괴롭힘이 감소 추세를 보이는 반면, 비가시적 폭력인 사이버 괴롭힘은 여전히 높은 경험률과 증가 추세를 보인다는 점이다(관계부처 합동, 2020a; 푸른나무재단, 2021). 그러나, 학교폭력에 대한 국내의 연구들은 학교폭력 경험에 대한 실태와 인식을 중점으로 탐색한 반면, 국외에 비해 발달 양상이나 추이 변화, 괴롭힘 유형에 따른 경험의 상호적 관계를 종단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김신아, 방은혜, 한윤선, 2017; Go, Kong, & Kim, 2018). 학교폭력이 오프라인에서 발생하는 전통적 폭력에서 온라인 공간의 사이버 폭력으로 확장되는 현상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기 전통적 괴롭힘 경험과 사이버 괴롭힘 경험 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고 그러한 관계를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연구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문제 1) 청소년기 전통적 괴롭힘 경험과 사이버 괴롭힘 경험의 종단적 지속성은 어떠하며, 그 정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자기회귀 경로를 탐색하고 이러한 경로에 대한 성별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문제 2) 청소년기 전통적 괴롭힘 경험과 사이버 괴롭힘 경험의 종단적 상호관계는 어떠하며, 그러한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가?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교차지연 경로를 탐색하고 이러한 경로에 대한 성별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문제 3) 청소년기 전통적 괴롭힘 경험과 사이버 괴롭힘 경험의 변화궤적 간 종단적 관계를 예측하는 내적 요인(성별, 자기통제력, 자아개념, 탄력성) 및 외적 요인(부모 관심,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 학교풍토)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병렬적 잠재성장모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 전통적 괴롭힘 피해경험과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에 대한 자기회귀 효과는 각각 정적인 지속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전 시점의 전통적 괴롭힘과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이후 시점의 전통적 괴롭힘과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이 많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전통적 괴롭힘과 사이버 괴롭힘 피해는 학년을 거듭할수록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피해경험의 종단적 경로는 가해경험에서도 동일한 패턴을 보였다. 즉, 가해경험 역시 자기회귀 효과가 전통적 괴롭힘 및 사이버 괴롭힘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종합해 보면, 피해경험과 마찬가지로 가해경험 역시 학년이 거듭될수록 두 괴롭힘 형태에 대한 가해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한편, 성별에 따른 자기회귀 효과의 차이는 전통적 괴롭힘 피해경험 및 전통적 괴롭힘 가해경험, 사이버 괴롭힘 가해경험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에 이르기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통적 괴롭힘 피해경험 또는 전통적 괴롭힘 가해경험이 지속될 가능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반면에 사이버 괴롭힘 가해경험이 지속될 가능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둘째, (연구문제 2) 전통적 괴롭힘 피해경험과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에 대한 교차지연 효과를 확인한 결과, 두 괴롭힘 형태는 종단적으로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전 시점의 전통적 괴롭힘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이후 시점의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이 많음을 의미하며 동시에 이전 시점의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 많을수록 이후 시점의 전통적 괴롭힘 피해경험이 많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전통적 괴롭힘과 사이버 괴롭힘은 학년이 거듭될수록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피해경험의 종단적 상호관계는 가해경험에서도 동일한 패턴을 보였다. 즉, 가해경험에 대한 두 괴롭힘 사이의 교차지연 효과 역시 피해경험과 동일하였다. 종합해 보면, 피해경험과 마찬가지로 두 괴롭힘 사이의 가해경험은 학년이 거듭되면서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성별에 따른 교차지연 효과의 차이는 ‘이전 시점의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이 이후 시점의 전통적 괴롭힘 피해경험’에 이르는 경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셋째, (연구문제 3) 전통적 괴롭힘 피해경험 초기치를 예측하는 변수를 확인한 결과 중학교 1학년 시점을 기준으로 여학생 보다는 남학생이,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탄력성이 낮을수록, 또래관계가 원만하지 않을수록, 학교풍토를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전통적 괴롭힘 피해를 많이 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전통적 괴롭힘 피해경험 변화율을 예측하는 변수를 확인한 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탄력성이 낮을수록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통적 괴롭힘 피해경험 변화궤적의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 초기치를 예측하는 변수를 확인한 결과 중학교 1학년 시점을 기준으로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자아개념이 낮을수록, 학교풍토를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사이버 괴롭힘 피해를 많이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 변화율을 예측하는 변수를 확인한 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의 또래관계가 부정적일수록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 변화궤적의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통적 괴롭힘 가해경험 초기치를 예측하는 변수를 확인한 결과 중학교 1학년 시점을 기준으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학교풍토를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전통적 괴롭힘 가해를 많이 일삼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전통적 괴롭힘 가해경험 변화율을 예측하는 변수를 확인한 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자아개념이 낮을수록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통적 괴롭힘 가해경험 변화궤적의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사이버 괴롭힘 가해경험 초기치를 예측하는 변수를 확인한 결과 중학교 1학년 시점을 기준으로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학교풍토를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사이버 괴롭힘 가해를 많이 일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이버 괴롭힘 가해경험의 변화율을 예측하는 변수를 확인한 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지각된 부모의 관심 수준이 높을수록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이버 괴롭힘 가해경험 변화궤적의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에 대한 종단적 변화의 교육학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에 이르기까지 6년간의 전통적 괴롭힘 및 사이버 괴롭힘 경험에 대한 변화 양상과 종단적 상호 영향의 관계를 확인한 증거 기반 연구라는 점이다. 또한, 청소년기 6년간 두 괴롭힘 형태의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가 상이함을 밝혀내어 학교폭력 조기 개입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 점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