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Examining Individual Users in Mukbang Media Consumption

Title
Examining Individual Users in Mukbang Media Consumption
Other Titles
개인 시청자의 유튜브 먹방 (먹는 방송) 소비에 관한 연구 : 이용자 속성, 시청만족도, 사회적 실재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Authors
조희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은
Abstract
Among a myriad type of food-themed media content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Mukbang (eating broadcast) on YouTube based on the usercentric perspective. Specifically focused on two theories;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and theory of affectdependent stimulus arrangement (e.g., mood management theory), the current study aimed to uncover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mechanisms of the Mukbang media consumption, an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both the Mukbang content and the individual viewers.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A. bodyesteem, B. psychological well-being, C. loneliness), viewing motivations, and viewing satisfaction along with the individual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role of social presence were examined. Through Embrain, an online survey company in Korea, a total of 348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293 participants between the age of 20 to 39. In regar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viewing motivations, and viewing satisfaction,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and viewing motivations, while viewing motivations and viewing satisfa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psychological factors had in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viewing satisfaction. Additionally,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vel of education, viewing frequency,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interest in food were found to affect viewing satisfaction. Moreover, the mediation effect of viewing motivations within the relationship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and viewing satisfaction was partially supported. Lastly, in case of the role of social presence, social presence positively affected satisfaction of viewing Mukbang and partially moderate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viewing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사람들의 음식 콘텐츠 소비와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오랜 시간 지속되어왔다. 온라인 1인 방송, 아프리카TV를 통해 처음 등장한 한국의 문화적 현상인 먹방, ‘먹는 방송’은 인기를 얻게 됨에 따라 하나의 고유한 방송 콘텐츠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먹방 콘텐츠의 부정적인 영향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 플랫폼 이용자 및 현재 먹방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먹방 콘텐츠 소비의 심리적 기제를 밝히고, 심리적 요인 (신체 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외로움), 시청 동기 (대리만족, 정보추구, 오락추구, 시간 보내기, 관계추구) 그리고 시청 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기존 이용자 만족도 측면의 연구에서 긍정적인 경험과 만족도를 증진시켜주는 역할로 주목받은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을 밝혀보고자 했다. 유튜브 먹방 이용자에 주목하며, 이용과 충족 이론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그리고 기분관리이론 (mood management theory)을 바탕으로 29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개인의 심리적 요인, 시청동기, 그리고 시청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시청 동기 간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시청 동기와 시청 만족도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심리적 요인과 시청 만족도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먹방 콘텐츠 이용자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시청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력, 먹방 시청 빈도, 지속 시청 의도, 그리고 음식에 관한 관심이 시청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분관리이론을 바탕으로,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시청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시청동기가 매개하는지, 그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신체 존중감과 시청만족도 관계에서 관계추구 동기, 심리적 안녕감과 시청만족도 관계에서 오락 추구 동기, 심리적 안녕감과 시청만족도 관계에서 시간보내기 동기, 외로움과 시청만족도 관계에서 관계추구 동기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먹방 콘텐츠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가 되는 가운데, 사회적 실재감 요인이 시청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분석해본 결과, 사회적 실재감은 먹방 시청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시청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의 효과를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실용적 함의,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