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학령 전기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의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 수행력 비교

Title
학령 전기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의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 수행력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Construction AAC Graphic Symbol Sequences by Preschool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Typical Development
Authors
이윤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the AAC graphic symbol sequence task by the word order and the arrangement condition of delayed language developmental and typical developmental children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ask performance, language abilities, and cognitive abilities.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the stage of grammar acquisition was identified to improve the efficient use of AAC. A total of 27 children between 4 to 6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3-way 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group(LD vs. T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ord order(canonical vs. non-canonical) and the arrangement condition(coincidence vs. inconsistency) in the AAC graphic symbol sequence task.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find whether the task performance(accuracy, response time) are correlated wi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kills and nonverbal cognitive skill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in accuracy by group and word order in the task. The results mean that in the AAC graphic symbol sequence task, bo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al and typical developmental children were more profitable when the word order of the sentences presented in auditory were the canonical order(subject-object-predicate) than the non-canonical order(object-subject-predicate) condition. Use of word order as a strategy for spoken utterance comprehension was most powerful cue in the task performances. The interaction of task performances with language and cognitive skills was not consisten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word order strategy used depending on the 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sk performance and working memory abilities.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은 심각한 의사소통 장애를 입은 아동들의 의사소통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뿐 아니라 아동들의 언어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복합의사소통장애(Complex Communication Needs: CCN) 아동들의 지속적인 언어발달을 위한 중재에 AAC가 사용될 때 가장 효율성(정확도, 반응속도)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대상자들의 다양한 의사소통요구와 특성에 AAC 체계를 맞추는 것이다. 아동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AAC를 사용하는 보편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AAC 체계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면 좀 더 발전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언어를 습득하는 동안 그림상징을 사용하는 아동들은 정상발달 아동들과는 달리 이해(청각적)와 표현(시각적)을 위해 각각 다른 양식을 사용하게 되는데(Sutton et al., 2002), 이러한 양식상의 불일치로 인해 구어로 일반적인 구조를 산출할 수 있는 경우에도 그림상징 발화에서는 구어의 일반적 어순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Trudeau, Sutton, & Morford, 2014). 언어 발달 과정에 있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아동들은 2-3세 무렵부터 주어-목적어-서술어 어순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는데(진경선 등, 2015), 한국어는 단어의 생물성, 조사 등을 단서로 사용하며 문장을 해석(황민아·안혜진, 2002) 할 수 있기에 비교적 어순이 자유로운 편이다. 문법을 습득하는 단계의 아동들이 그림상징으로 문장을 표현하고자 할 때 나타내는 어순에 따른 수행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효율적인 AAC 사용을 위한 단서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문장을 듣고 이를 AAC 그림상징으로 표현하는 과제를 통해 학령 전기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의 어순(기본, 도치)과 배열조건(일치, 불일치)에 따른 수행력(정확도, 반응시간)을 비교하고, 또한 과제 수행력과 언어능력, 인지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4-6세 언어발달지체 아동 12명과 이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정상발달 아동 15명으로 총 27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먼저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김영태 외, 2010)와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ABC, 문수백·변창진, 2003)의 비언어성 하위 검사를 통해 언어발달지체 또는 정상발달 아동으로 각각 선별되었고, 그 후 본 검사인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를 수행하였다. 언어발달지체 아동 집단과 정상발달 아동 집단 간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의 어순과 배열조건에 따른 수행력(정확도, 반응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집단(2)×어순(2)×배열(2) 삼원분산분석(three-way ANOVA)를 각각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들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 비언어성 지능과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 조건별 수행력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언어발달지체 아동 집단은 정상발달 아동 집단에 비해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의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장의 어순이 기본 어순(주어-목적어-서술어)으로 제시되는 경우에 도치 어순(목적어-주어-서술어)일 경우보다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 정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발달지체 아동 집단과 정상발달 아동 집단 간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의 반응시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집단 내 요인 중 문장의 어순, 배열조건 따른 반응시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언어발달지체 아동 집단의 수용 어휘력은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의 기본 불일치 조건의 반응시간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표현 어휘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요인은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의 도치 일치 조건의 정확도와 기본 일치, 기본 불일치, 도치 불일치 조건의 반응시간이었다. 비언어성 지능과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의 조건별 수행력의 유의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다. 정상발달 아동 집단의 수용 어휘력은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의 기본 일치, 도치 일치 조건의 정확도와 기본 불일치, 도치 일치 조건의 반응시간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표현 어휘력은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의 도치 일치 조건의 정확도, 기본 불일치, 도치 일치 조건의 반응시간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비언어성 지능은 기본 불일치, 도치 일치, 도치 불일치 조건의 정확도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지만 과제의 조건별 반응시간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AAC 그림상징 표현 과제에서 학령 전기 언어발달지체 아동들과 정상발달 아동 모두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문장의 어순이 한국어의 기본 어순 조건에서 도치 어순 조건에 비해 이익을 얻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문장이 도치 어순 조건일 때 오반응 대부분은 기본 어순으로 응답한 경우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인 문법성을 습득하는 단계의 4-6세의 아동들은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문장을 AAC 그림상징으로 표현하는 동안 명사의 생물성과 조사가 단서로 제공된 상황에서도 기본 어순 조건을 과제 수행을 위한 중요 단서로 활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단어의 순서를 통해 그림상징을 해석할 때 구두로는 명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단순한 문장의 이해에도 어려움이 있었던 경우(Trudeau, Morford, Sutton, 2010)와는 다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문장의 어순과 반응판에 제시되는 상징의 어순이 일치하는 조건이 일치하지 않는 조건에 비해 정확도와 반응시간에서 유리한 조건이 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배열조건보다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문장의 어순이 아동들의 수행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언어 처리 기술이 완성되지 않은 아동들은 언어의 특성과 무관하게 문장 초기 정보가 문장 전체와 불일치할 경우 일치하는 때보다 많은 오류 반응(최영은, 2009)을 보였던 것과는 다른 결과로 볼 수 있다. 수용 및 표현 어휘력과 AAC 그림상징 표현과제의 조건에 따른 수행력과의 상관관계가 일관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정상발달 아동들의 수용 어휘력은 정확도와 반응시간에서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림상징 순서를 이해하는 능력이 산출하는 능력에 선행한다(Trudeau, Sutton, & Morford, 2014)는 특성이 아동이 자신의 의도를 자발적으로 표현하는 경우뿐 아니라 본 과제와 같이 들을 문장을 그림상징으로 표현하는 동안에도 확인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비언어성 지능은 정상발달 아동들의 기본 불일치, 도치 일치, 도치 불일치 조건의 정확도에서만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즉, 언어발달지체 아동들이 과제 수행력(정확도, 반응시간)은 언어능력 외에 다른 인지적 요소와 관련이 있거나 이에 의존하여 표현 과제를 진행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에 관한 후속 연구로 작업기억 과제와 본 연구 과제를 함께 실시 한 뒤 상관분석 또는 회귀분석을 한다면 이들의 과제 수행력이 어떤 능력에서 기인하는지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