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현섭-
dc.contributor.author김혜조-
dc.creator김혜조-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43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43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29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296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576-
dc.description.abstract말더듬은 기질적, 발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게된다. 말더듬아동의 비유창성 발생 및 지속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아동의 발달적 측면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이들의 주양육자인 부모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아동기에는 변이성이 크기 때문에 한 번의 관찰만으로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 정도를 단정 짓기 어려우며, 일반아동도 발달과정에서 정상적인 비유창성과 비정상적인 비유창성을 모두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말더듬아동을 정확하게 변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아동의 비유창성 변화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6개월 간격으로 총 3번에 걸쳐 2-5세 취학전 말더듬아동 7명과 일반아동 7명, 그리고 이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자연스러운 상호 작용 과정에서 발화를 수집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부모와 아동의 발화길이(mean length of utterance-morpheme, MLU-m), 어휘 다양성(number of different words, NDW)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 부모와 아동의 언어적 요인이 아동의 비정상적 비유창성(abnormal disfluency, AD)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시점 변화에 따른 말더듬아동집단과 일반아동집단 간 AD, MLU-m,NDW가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으며, 각 집단 내 시점 변화에 따른 차이도 살펴보았다. 부모 집단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집단 간 MLU-m, NDW 차이, 각 집단 내 시점 변화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시점별 말더듬아동-부모집단과 일반아동-부모 집단의 각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아동의 비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언어적 요인과 아동의 언어적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 간접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임상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 번째,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AD빈도 변화 양상이 유의하게 달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말더듬 아동의 AD는 일반아동과 양적으로 다르며, AD빈도 변화 양상을 통해 말더듬 아동을 변별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초기 AD빈도가 높았던 아동은 시간이 지나도 동일 집단 내 다른 아동에 비해 높은 AD빈도를 보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해서 AD빈도가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앞으로도 아동의 비유창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화길이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점에 따른 두 집단 간 MLU-m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말더듬아동의과 일반아동의 언어능력이 구문적 측면에서 서로 다르지 않으며 비슷한 수준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동 집단의 MLU-m 변화 양상과 부모 집단의 MLU-m변화 양상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아동의 발화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부모의 발화길이도 아동의 수준에 맞추어 증가했던 것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세 번째, 어휘 다양성 측면에서 말더듬아동은 일반아동 비슷한 수준의 문장을 구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말더듬아동의 표현언어발달 수준이 일반아동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집단 모두 시점에 따른 아동의 MLU-m 변화 양상이 아동의 NDW 변화 양상과 유사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의 발화길이가 길어질수록 다양한 어휘를 사용했을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네 번째, 말더듬아동 부모가 일반아동 부모보다 6개월 시점까지는 짧은 발화를 구사하였던 것으로 나타났으나 12개월 시점에는 말더듬아동 부모의 발화길이가 급격하게 길어지면서 일반아동 부모와 비슷한 발화길이를 사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더듬아동 부모의 MLU-m 변화 양상이 말더듬아동의 MLU-m 변화 양상과 동일하였던 것으로 보아, 부모와 아동의 발화길이가 서로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예측된다. 다섯 번째, 초기 평가 시점에 일반아동 부모가 말더듬아동 부모보다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여 문장을 구사하였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부모의 NDW와 MLU-m변화 양상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가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여 상호작용 했을 때, 아동도 모방을 통해 다양한 어휘를 사용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시점별 각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말더듬아동-부모 집단은 초기 평가 시점에서 아동의 MLU-m과 AD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언어체계가 완벽하게 갖추어지지 않은 어린 아동은 긴 발화를 산출하기 위해서 노력이 필요하며 아동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아동의 능력을 초과할 때 더 많은 비유창성이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아동-부모 집단은 초기 평가 시점에서 아동의 NDW가 아동의 AD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12개월 시점에서 부모의 MLU-m이 아동의 AD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아동 스스로 새로운 단어를 생각하고 다양한 단어를 표현해야 될 때 더 많은 비유창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부모의 발화길이 즉, 언어적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아동에게 주어지는 의사소통 부담이 커지면서 비유창성이 유발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전반적인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부모의 발화길이 증가와 다양한 어휘 사용 증가는 아동의 발화길이, 어휘 다양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언어발달 과정에 있는 어린 아동은 길고 의미적으로 복잡한 문장 산출을 계획하는데 더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며 그 과정에서 비유창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비유창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부모를 통한 아동의 의사소통 환경 개선이 필요하며, 아동에게 언어적으로 의사소통 부담(demand)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아동의 발화 수준을 고려하여 부모의 발화길이 및 어휘 다양성 조절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아동의 개별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아동 개개인이 서로 다른 요인에 의해 비유창성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주로 살펴보았던 언어적 요인 외에 준언어적 요인(말속도, 반응속도 등) 또는 다른 기질적, 환경적 요인이 비유창성을 유발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말더듬아동 중재 시 아동개개인의 비유창성 유발 원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Stuttering can be caused by psychological, development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hildren's developmental aspects must b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cause of stuttering. The influence of children’s parents, who are their primary caregivers, cannot be excluded. Even children who do not stutter (CWNS) can experience both normal and abnormal disfluency (AD). Thus, to accurately discriminate between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CWNS, continuous observation in various situations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 length of utterance-morpheme (MLU-m) and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used by CWS and CWNS and their mothers in conversations over time to find out how parental and child factors correlate with children's AD. Conversational speech samples of seven pre-school CWS and CWNS and their mothers were analysed for linguistic complexity. The samples were collected on three occasions at 6-month interval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D frequency of CWS and CW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ver time. Therefore, CW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changes in AD frequency. Children with a high AD frequency in the early stage had a higher AD frequency than the other children in the same group later. Second, CWS and CWNS naturally increased their utterance length with age, and the MLU-m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language abilities of CWS and CWNS do not differ in terms of syntactic properties. The change patterns of MLU-m in the children and parental groups were similar. Third, CWS produced sentences with similar levels of semantic complexity as CWNS. Also, the level of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of CW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WNS. In addition, in both groups of children, the MLU-m change pattern based on th point of time was similar with the children’s NDW. Fourth, the utterances of parents of CWS were shorter at 6-month point than those of parents of CWNS. However, at the 12-month point, both group’ utterances were similar in length.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the utterances’lengths of parents and children were affected by each other, because the MLU-m change patterns of both groups of parents were the same. Fifth, at the time of initial evaluation, the parents of CWNS produced more semantically complex sentences than the parents of CWS. Also, parents' NDW and MLU-m changes were similar. When parents interacted using a diverse vocabulary, it looked like their children imitated them and used a diverse vocabulary. When parents’vocabulary is more limited than befor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ir children’s vocabulary will not differ much from the previous level. The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for the parents of CW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MLU-m and AD at the initial evaluation. In other words, young children whose language development is incomplete require more effort to produce long sentences. For the parents of CWNS, children's NDW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AD at the initial evaluation. The parents’ MLU-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children's AD at the 12-month evaluation. Therefore, children’s communication environment needs to be improved by their parents to reduce children’s disfluency. In order to avoid imposing verbal communication demands on children,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lengths of parents’ utterances and their semantic complexity. In addition, when exploring children’s individual patterns, children may stutter due to their fast speech rates and short reaction times. Thus, childre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리 7 Ⅱ. 이론적 배경 9 A. 발달성 말더듬에 관한 종단연구 9 B. 아동의 말더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언어적 요인 11 C. 언어능력과 말더듬에 관한 선행연구 12 Ⅲ. 연구 방법 15 A. 연구 대상 15 B. 연구 절차 18 C. 실험과제 및 장소 19 D. 자료 분석 19 E. 통계적 처리 21 F. 신뢰도 22 Ⅳ. 연구 결과 23 A. 시점에 따른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변화 및 개인차 비교 23 B. 시점에 따른 말더듬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변화 및 개인차 비교 37 C. 시점에 따른 변수 간 상관관계 46 D. 각 아동-부모 집단의 MLU-m, NDW와 아동의 AD빈도 간 관계에 따른 개별 특성 50 Ⅴ. 결론 및 논의 58 A.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특성 비교 59 B. 말더듬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특성 비교 62 C. 부모요인과 아동요인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64 D. 각 아동-부모 집단의 MLU-m, NDW와 아동의 AD빈도 간 관계에 따른 개별 특성 66 E. 종합 논의 69 F.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1 참고문헌 73 부록 82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22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학령전 말더듬아동과 부모의 언어적 상호작용 종단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발화길이 및 어휘 다양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Longitudinal Study of the Verbal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o Stutter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AD, MLU-m, and NDW-
dc.creator.othernameKim, Hyejo-
dc.format.pageix,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