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모국어 특성을 고려한 음운인식기반 중재가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 및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Title
모국어 특성을 고려한 음운인식기반 중재가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 및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for the Reading and Writing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Vietna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 Language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대한민국의 다문화 가구 수는 334,856가구이며 가구원은 1,008,520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통계청, 2018). 2019년 대한민국 전체 혼인은 23만 9천여 건으로 전년보다 7.2% 감소한 반면, 다문화 혼인은 24,721건으로 전년보다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한국은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다문화가정 학령기 아동이 학교생활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에 대한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무엇보다 부모가 한국어에 서툰 경우가 많아 학령기 아동의 언어 습득이 원활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아동의 학습부진으로 이어져 학교생활에 적응하기 힘들어한다는 이야기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한국의 사회동향, 김경근, 통계청. 2019). 이는 오랫동안 논의되고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이 보이는 학습부진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아동의 언어능력과 학습능력을 도울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부모의 모국어 영향으로 인한 방언으로 잘못된 음운체계가 성립되어 결국 읽기 및 쓰기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바 있다(참고문헌 찾고 있음).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 가정의 아동에게 부모의 모국어 특징을 정의하고, 이를 고려한 음운인식 기반을 둔 중재를 통하여, 부모의 모국어 특성에서 나타난 간섭효과의 자소를 음운인식 재정립을 통한 원인해결 및 아동의 읽기와 쓰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광주에 거주하는 베트남 다문화가정 읽기부진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이중 8명은 중재집단으로, 나머지 8명은 통제 중재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전·사후 평가를 통해 중재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중재에 참여한 아동들은 1:1 모국어 특성을 고려한 음운인식 기반 훈련 프로그램에 주2~3회씩 총24회 참여하였다. 중재는 2급 언어치료사가 기관과 가정 방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통제집단 아동은 사전검사 2달 후 사후·평가를 진행하였다. 두 그룹은 사전·사후 평가를 통해 모국어 특성을 고려한 단어 읽기 및 쓰기와 전반적인 한국어 읽기 및 쓰기 능력을 평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두 집단은 읽기 및 쓰기 사전검사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사후 검사에서는 중재집단이 모국어를 고려한 읽기와 한국어 읽기 전반에서 통제집단보다 높은 평가를 보였다. 반면, 쓰기 영역의 사후 검사에서는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일반 읽기부진 아동에 대한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읽기 능력이 낮은 경우 음운인식 향상이 읽기 능력은 향상시켰으나, 쓰기 능력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강진경, 2019). 사전·사후 검사 결과 첫째, 모국어 특성을 고려한 단어 읽기과제에서는 두 집단 간 유효한 중재효과 차이를 나타냈다. 즉,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재 집단은 사전·사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모국어 특성을 고려한 단어 쓰기과제에서는 두 집단 간 유효한 중재효과 차이가 없었다. 즉, 중재 집단 내 사전·사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두 집단 간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전반적인 읽기 및 쓰기 표준화 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하부영역에서는 그 결과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음운조작과 읽기영역에서는 중재 집단은 사전·사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통제 집단은 음운조작과 읽기영역에서 사전·사후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쓰기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 유효한 중재효과 차이가 없었다. 즉, 중재 집단 내에서는 사전·사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 및 쓰기 능력은 어머니의 낮은 읽기 및 쓰기 능력과 상관관계를 찾기는 어렵다는 것 또한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다문화가정 읽기부진아동의 읽기능력은 음운인식기반 중재가 효과적이며, 모국어 특성을 고려한 단어 중심 음운인식 중재는 읽기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쓰기 능력 향상에 있어서는 아동이 ‘소리나는 대로 표기’단계에서 ‘어법에 맞게’ 표기할 수 있도록 음운인식과 함께 음운변동 규칙이 충분히 숙지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즉, 다문화 특성을 고려한 분석과 음운인식 훈련은 필요하며, 학령기 다문화가정 읽기부진 아동은 가정 내 도움을 기대하기보다 전문적인 기관으로부터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다양한 다문화가정의 출신국에 맞는 모국어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할 수 있다.;Korea for multicultural families number reaches 334,856 and household sources 1,008,520 as people continued to increase in the trend (Statistics , 2018). Although Year 2019 of Korea the whole marriage was around 239,000 cases which is 7.2% decline than the previous, multicultural marriages were 24,721 case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4% increase that has been. Korea is rapidly transforming to multicultural society. But still multicultural families school age children are in school adapted to the many challenges facing and, this for a lot of discussions in progress. More than anything, it is frequently been mentioned that school-age child's language is learned not well do when parents are not good at Korean, and it causes the child to poor learning ability leads the school to adapt to that tough ( in South Korea Social Trends , Kim, Gyeonggeun , Statistics Korea . 2019). It is reported that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could be impacted on read and even write through establishing wrong the phonological system due to impacts of parents native language and its dialect effects.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identify whether actually read and write can be improved by redefining of phonological awareness as a parent language from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interference effect consonant, by defining of parents native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phonological awareness based mediatio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planned to check the effects of intervention through pre and post evaluation between mediation group and non-mediation group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Gwangju residing Vietnam multicultural families 16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separately distinguish 2 groups with 8 children with mediation and other 8 children without mediation. The mediation group children had 1:1 native language considering phonological awareness based training 24 times, which is 2~3 times per week, by second-class speech pathologist at Agencies or home visits. The non-mediation group children has been tested post evaluation after 2 months from pre evaluation test to compare with post evaluation result of the mediation group. It is compared between these 2 groups’ pre and post evaluation for the abilities of native language characteristics considering reading and writing the words and general Korean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re’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reading and writing and all sections, but higher evaluation result of the mediation group than control group at for both native language considering reading and general Korean reading section of post evaluation tests. On the other hand, writing section of post evaluation test results couldn’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is similar to the research result of Kang, Jinkyeong (2019) Research of general reading difficulty in children, which said that in case of lower reading ability, phonological awareness improves reading ability but not impacts on writing abilities. Taken together, reading difficulty of multicultural families of children needs to be understood as learning difficulty case than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requires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analysis and training. In addition it has been identified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the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y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low rea ding and writing abilities of their mother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can be thought that professional institution’s active intervention is required to th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y thorough effective training methods, and contiguous research of diverse native language characteristics considering for multicultural famil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