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김수정-
dc.creator김수정-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36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36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4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47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544-
dc.description.abstract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extensive or intensive book reading is more effective for vocabulary acquisition and story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Method: Participants were 18 children (TD 6, LD 12) randomly assigned to a reading condition; extensive or intensive. The book readings were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in a total of 24 sessions. Eight books were read three times repeatedly in the extensive group, and 24 books were mediated in the intensive group. Story comprehension questions were asked at the end of every session, and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book reading was analyzed with pre- and post-vocabulary tests. Results: For expressive vocabulary, the normal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while the language -delayed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extensive and intensive reading. In terms of receptive vocabula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tensive and intensive reading in the normal groups, but in the case of the language-delayed groups, intensive reading showed significant results, while extensive reading did not. The difference in story comprehension between the normal groups were not significant, the language-delayed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ular, for expressive reading, story comprehens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and language-delayed groups. The improvement in story comprehension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repetition in both the normal group and the language-delayed group. Conclusion: Intensive reading is effective in learning vocabulary and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stories in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KeyWords: extensive reading, intensive reading, language delay, vocabulary acquisition, story comprehension;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정독과 다독의 책 읽기 방법이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의 수용, 표현어휘 학습과 이야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언어발달지연 아동에게 효과적인 책 읽기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유아교육 기관 5~7세 반에 재원 중인 정상발달 6명, 언어발달 지연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정독과 다독의 책 읽기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책 읽기 중재는 주 3회, 8주간 총 24회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회기의 마무리 활동으로 이야기 이해 질문을 통해 아동의 이해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중재 전, 후 어휘 검사를 실시하여 책 읽기를 통한 어휘 학습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책 읽기를 통해서 정상발달 및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어휘 학습이 가능하였으나,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경우, 정독을 통한 지속적인 어휘 노출이 수용어휘 학습에 유의하였다. 정독하였을 때,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정상발달 아동과 통계적으로 비슷한 이해수준을 보였으며, 정독 횟수가 증가할수록 이야기 이해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정상발달 아동의 경우 정독과 다독 모두 아동의 어휘력과 이야기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나, 언어발달지연 아동에게는 정독의 방법이 어휘 학습과 이야기 이해증진에 더 효과적이며, 아동의 언어적 특성에 따라 적합한 중재를 적용하여야 하겠다. 핵심어: 정독, 다독, 언어발달지연, 어휘 학습, 이야기 이해-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7 A. 아동의 어휘 습득 7 B. 어휘 습득과 이야기 이해 8 C. 정독 및 다독 책 읽기 9 Ⅲ. 연구방법 11 A. 연구대상 11 B. 검사 도구 16 C. 연구 절차 21 D. 자료 분석 23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23 F. 신뢰도 24 G. 중재 충실도 24 Ⅳ. 연구결과 25 A. 정독 및 다독 책 읽기 방법에 따른 생활주제 어휘 학습결과 분석 25 B. 정독 및 다독 책 읽기 방법에 따른 이야기 이해 분석 29 Ⅴ. 결론 및 논의 43 A. 결론 및 논의 43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7 참고문헌 49 ABSTRACT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85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정독 및 다독 책 읽기 방법에 따른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어휘 학습 및 이야기 이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tensive and Extensive Book Reading on Vocabulary Acquisition and Story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dc.creator.othernameKim, Sujung-
dc.format.pageviii,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