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의미자질(SFA)중재가 주관적 기억장애 노년층의 유명장소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Title
의미자질(SFA)중재가 주관적 기억장애 노년층의 유명장소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emantic Feature Analysis Treatment on Landmark Naming in Korean Older Adults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Authors
이상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주관적 기억장애는 객관적인 인지기능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지만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는 상태(Tobiansky, Blizard, Livingston, & Mann, 1995)를 지칭하는 용어로 정상노화와 치매를 하나의 연속선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치매 전환 예측인자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기억저하(memory decline) 등 인지기능의 변화를 호소하는 노년층이 겪는 대표적인 언어적 어려움을 고유명사 이름대기(proper noun naming)로 설정하고 언어 중재를 적용한 후 중재명사 이름대기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와 비중재명사 및 표준화검사로의 일반화 효과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선행연구(Song & Kang, 2011)에 근거하여 주관적으로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지만 일상생활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과 객관적인 인지기능에서 정상 범주의 수행을 보이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 26명이었다. 기억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위해 주관적 기억감퇴 설문(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SMCQ; Youn et al., 2009)을 실시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에 따라 11명의 중재집단과 15명의 통제집단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두 집단의 연령 및 교육수준, 인지기능 및 이름대기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고유명사 이름대기 중재는 대상자와 1:1로 1회기 60분 동안 16회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중재는 선행연구(Kiran & Thompson, 2003; Mo, Sung, & Jeong, 2015)의 의미자질분석(semantic feature analysis, 이하 SFA) 중재를 기반으로 총 9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이름대기 수행을 촉진하기 위하여 시각적 자극, 의미범주, 의미자질 분석, 지리적 위치, 음운‧철자 단서 등의 요소를 적용하였다. 대상자에게 국내‧외 유명장소 사진자극을 제시하고 1차로 자발적인 이름대기를 유도하였으며 계획된 중재 단계에 따라 중재명사의 의미적 정보 및 음운적 정보 산출을 촉진할 수 있는 과제와 단서를 제공한 후 다시 이름대기를 유도하였다. 자료수집은 중재 전과 중재가 종료된 후 고유명사 이름대기 과제 및 표준화검사인 한국판 보스턴이름대기검사(Korean version-Boston Naming Test, Kim & Na, 1997)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전‧사후 평가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으로 집단 간 중재 전‧후에 따른 이름대기 수행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명장소 이름대기 중재명사의 수행력에 대한 중재 전‧후 및 집단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F(1, 24) = 25.098, p<.001) 즉, 통제집단에 비해 중재집단의 중재 전‧후 간 차이가 유의하게 더 컸다. 둘째, 유명장소 이름대기 비중재명사의 수행력에 대한 중재 전‧후 및 집단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F(1, 24) = 4.926, p=.036) 즉, 통제집단에 비해 중재집단의 중재 전‧후 간 수행력 차이가 유의하게 커서 비중재명사로의 일반화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중재집단과 통제집단 간 보스턴이름대기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 간의 상호작용(F(1, 24)= .035, p=.852)은 유의하지 않아 공식 이름대기 검사로의 일반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treatment on landmark naming difficulties of the elderly who complain of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such as memory decline. Based on previous studies (Song & Kang, 2011), the subjects of this study subjectively complained of decreased memory, but showed normal performa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tests.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SMCQ; Youn et al., 2009) was conducted to select subjects for subjective evaluation of memory. Twenty six Korean individuals aged 60 or older with subject memory complai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leven for the intervention group and 15 individuals who matched their age and years of education for the control group. It was verifi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 level,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two groups. The proper noun naming intervention used in this study was performed 1:1 with the subject over 16 sessions for 60 minutes per session. The intervention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9 steps based on the semantic feature analysis (SFA) intervention of previous studies Kiran and Thompson (2003). Visual stimulation, semantic categories, and semantic features were applied to promote the performance of naming. Geographic location, phonology and spelling clues, etc. were applied. The subject was presented with a photo stimulus of famous places in Korean or abroad. The researcher provided tasks and clues to facilitate activation of the semantic and phonological information of landmark names. Data collection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responses of the proper noun naming tasks and object naming tasks assessed in the standardized test, the Korean version-Boston Naming Test (Kim & Na, 1997),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rrect responses of landmark naming tasks were calculated converted into accuracy(%). The data collected by the pre- and post-evalu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nd the naming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intergroup was compared by two-way mixe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trained target naming were significant (F(1, 24) = 25.098, p<.001). Second,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untrained target naming were significant (F(1, 24) = 4.926, p=.036).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Boston Naming Test scores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F(1, 24) = .035, p =.852)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no generalization effect of the object nam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performance of the target place names among the intervention group. Furthermore, the treatment effects were generalized on the untrained names.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performance of the K-BNT.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naming treatment using place names was effective in activating semantic network and facilitating phonological information output and enhancing landmark naming abilities in people with subjective memory decline.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ming treatment for the elderly who complain cognitive decli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