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규연-
dc.contributor.author김윤진-
dc.creator김윤진-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12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12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5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51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439-
dc.description.abstractFlipped learning, a teaching method designed to efficiently utilize the limited school hours, has been recognized for its potential and is used in various contexts. It is indispensable for learners to actively engage in pre-class individually to conduct a higher-level of in-class learning (Bergmann & Sams, 2012). The flipped learning method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way of learning as the learners must personally perform the learning contents provided. Since pre-class is conducted individually, the feeling of learning with fellow learners may be relatively insufficient, and if various contents are provided, students may find it difficult to manage them. Above all, pre-class must be completed autonomously before the class,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monitor the study plans of the learners. The difficulties that learners experience can be supported by using a dashboard, which can monitor the learning process and provide information among peer learners. A dashboard is a tool that selects and visualizes information for achieving the purpose, and it allows the learners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information (Few, 2004). Dashboard that supports presenting intuitive information and monitors the learning process is used in various contextual practices. It is a tool for inducing the behaviors of the learners, and is more effectively known when provided in a 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 learners play a leading role (Kim, Choi, 2020).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the dashboards can be expected in flipped learning where the students need to take the initiative. Dashboards are used in the existing flipped learning studies to support the learners (Droit & Rieger, 2020). However,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ashboard can be difficult to effectively support the pre-class of flipped learning as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other learning context. In this study, the information of learner-content interaction was selected and provided in a dashboar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lipped learning in which learning contents are frequently provided. The interaction of study contents include the utilization of the provided learning materials in a narrow sense, and even the contents created by the learner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in a broad sense. Pre-class of flipped learning further enhances contents interaction, as learners must take advantage of frequently provided materials. The learner-contents interaction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learning process in flipped learning and is the result of engaging in a voluntary learning. In flipped learning, where learners need to learn individually, if such information on the learning contents is provided, it can help monitor learning process of the learners. As the purpose of the dashboard is to provide information at a glance, visualization methods based on information must be considered.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interaction of the learners concerning learning contents along with the peer learners. Therefore, a method of social network analysis (SNA) known to be effective in providing information on interaction with comparative information was used. SNA is composed of nodes and links and is a visualization method that shows the relationship. As the pre-class of flipped learning must be done individually, it is difficult for the students to check their own training process or even others'. However, by using SNA,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information that could not be confirmed, and the learners can see their learning process from a new perspective. Additionall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s a whole, and the learners can have an opportunity to modify their learning behaviors by comparing it to their peers (Kim, 1987; Lim, Park, & Kim, 2014b). Thus,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hrough SNA can not only promo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learning materials, but also encourage the learners' engagement in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can affect the perceptions of the dashboard, which may result in different uses of the dashboard (Cho, Kim, & Han, 2019). In this study, the perceptions and uses of dashboards may vary based on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f learners due to the comparative information that SNA provide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hich refers to the learners' tendency to compare themselves with similar students when evaluating themselves (Gibbons & Buunk, 1999). In the case of domestic learners, since they are exposed to a competitive learning environment, they have a strong sense of purpose to become ideal people. Therefore,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learners,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could be confirmed. In this study, how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ffects learners' use of the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needed to be confirmed. Moreover, the fact that whether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access to the learners' dashboards and the pre-class engagement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as also attempted to be confirmed. The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ed: 1. How do learners use the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in flipped learning? 1-1. How often do learners functionally use the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1-2. Does the use of the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differ depending on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2. Does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f learners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ss to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and pre-class engagement in flipped learning? 3. What are the learners’ perceptions on the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in flipped learning? 3-1. What ar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behavioral changes for the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3-2. Ar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behavioral changes for the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different according to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In order to clarify current research problem, 28 participants who agreed to the research among the students of the flipped learning course -a mandatory major course established in the second term of 2020- was provided with the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for about 8 weeks. In the Learning Contents Dashboard, nodes are the learners and the contents (pre-class, in-class, assignments, and additional materials), whereas the link connecting the nodes implies the learner's access of frequency to the learning materials and their assignment submission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ink, the learners can compare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between peer learners and the 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s of the learner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it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groups based on the median value. The use of the dashboard were verified by analyzing the log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data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regulation effects of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then R was used to perform hierarchical analysis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gulation effects. Finally, the learner's perceptions of the dashboard were investigated as questions for the descriptive answers in term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behavioral changes (change in learning pattern and in LMS utilization patter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conclusions derived are as followed. First of all, the learners’ uses of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were specifically examined via log data. The students used the activating function of node/link most frequently. Among the filtering functions, weekly ranged setting function and the filtering function of additional data were used relatively active. This shows that the learners tried to fully understand the interaction of the content as a whole. Moreover, through the learners’ behaviors in order to confirm peer learners' use of additional learning contents, the comparative information promoted th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Secondly, when comparing the use of the dashboard based on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f the learners, it can be seen that learners with hig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anted to confirm the comparison of information as they used the filtering function more effectively. Thus, since the required inform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the filtering function must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the dashboard, further suggest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ustomized dashboard in the future. Moreove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 characteristic of the learner, did not show a regulation effect on the frequency of learners’ access to the dashboard and the degree of pre-class engagement in flipped learning. However, in the case of learners with hig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 more frequently they accessed to the dashboard, the higher their pre-class engagement tended to be.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presenting comparative information to learners with hig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o promote engagement in learning. Furthermore, the learners’ perceptions towards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behavioral changes. The reason why the dashboard was found to be useful was divided into the two responses; their own information was useful or the information from their fellow learners was useful. The response regarding the willingness to behavioral changes were divided into the use of a learning pattern and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in the case of the response related to the learning pattern, the usage of learning contents and when the content was used have been mentioned. The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was confirmed appropriate for recognizing the interac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in that each learner can check their learning contents and compare information with their peer learners. Also, since LMS approach allows to predict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s (Silva, Zambom, Rodrigues, Ramos, & de Souza, 2018), it is expected that behavioral changes through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can predict positive academic outcomes. Finally, differences due to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could be identified when looking at the recognition of the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based on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that was found to be useful based on the learner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ose with hig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recognized that the information of fellow learners was useful, and those with low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viewed the information of interaction concerning their own learning was useful.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reason for not using the dashboard based on learner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hereas, among the learners with hig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re was a reply that meaningless approaches increased because of the idea that other learners could see their own learning patterns. This suggests that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can add to the anxiety of the learners (Kim & Hong, 2019), and thus it is necessary to draw a method of discussion for this. To summariz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the study provided a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as a measure to promote pre-class of flipped learning. Moreover, it navigated that the learners’ usages and perceptions of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was explor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Learners of flipped learning have found the SNA Learning Contents Dashboard to be useful and have been able to promote changes in their behaviors. However, perceptions and usag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f the learners. Through this, it is not only necessary to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before they are provided with a dashboard, but also to add a filtering function when choosing comparative information in order to reduce negative emotions of learners. The restric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due to COVID-19 situation, research participants may have had different learning experiences as they had to choose the lessons that are held in real time online or offline. Seco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refore, there may be differences regarding actual learner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 pre-class engagement in flipped learning, awareness of dashboards, as well as the self-reported contents. The suggestions for a subsequent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 the dashboard provided in this study was updated once a day, but in the subsequent study, the dashboard can be updated automatically so that the learners can immediately check the change in the learning process, being more helpful to the learn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classes in the same environment so that all the learners who receive the dashboard can have a common learning experience. Third, in the follow-up study, in-depth exploration can be expected through observation of the learners and the collection of qualitative data.;한정된 수업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고안된 교수 방법인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은 그 효과성을 인정받아 다양한 맥락에서 활용되고 있다. 플립러닝은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사전학습을 진행한 뒤에 고차적인 학습을 본수업에서 시행한다는 점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사전학습 참여가 필수적이다(Bergmann & Sams, 2012). 플립러닝 사전학습은 학습자가 제공받은 학습자료를 개인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방식의 학습과 차이가 있다. 사전학습은 개별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동료학습자와 함께 학습하고 있다는 느낌이 상대적으로 부족해질 수 있으며, 다양한 학습자료가 제공될 경우 학습자가 이를 관리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사전학습이 본 수업 전에 자율적으로 완수되어야 하므로 학습자의 학습계획 수립 및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이러한 학습자의 어려움은 학습과정 모니터링과 동료학습자의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통해 지원할 수 있다. 대시보드는 목적달성을 위해서 정보를 선정하여 시각화한 도구로, 학습자가 직관적으로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Few, 2004). 직관적인 정보 제시와 모니터링을 지원하는 대시보드는 다양한 맥락의 학습에서 활용된다. 대시보드는 학습자의 행동변화를 유도하는 도구로 학습자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학습환경에서 제공해주었을 때 더욱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함윤희, 김진희, 허선영, 한형종, 최서연, 2020). 따라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을 수행해야 하는 플립러닝에서 그 효과성을 기대할 수 있다. 기존 플립러닝 연구에서도 학습을 지원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대시보드를 활용하고 있다(Droit & Rieger, 2020). 그러나 대시보드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기존의 학습맥락과 차이가 없어 플립러닝 사전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료가 빈번하게 제공되는 플립러닝의 특성에 따라 학습자-학습자료 상호작용 정보를 선정하여 대시보드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료 상호작용은 좁게는 제공된 학습자료의 활용, 넓게는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수행하면서 창출한 자료까지도 포함된다. 플립러닝 사전학습은 학습자가 빈번하게 제공되는 학습자료를 활용하여 학습해야 하기에 학습자료 상호작용이 더욱 강조된다. 학습자-학습자료 상호작용은 플립러닝에서 학습자의 학습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며 자발적인 학습참여의 결과이다.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학습을 진행해야 하는 플립러닝에서 이러한 학습자료 상호작용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면 학습자의 학습과정 모니터링을 지원할 수 있다. 대시보드는 정보를 한눈에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정보에 따른 시각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학습자료 상호작용을 동료학습자의 학습자료 상호작용과 함께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비교정보와 상호작용정보 제공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사회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이하 SNA) 방법을 사용하였다. SNA는 노드(node)와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link)로 구성되어 관계성을 보여주는 시각화 방식이다.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플립러닝 사전학습은 학습자가 쉽게 자신과 타인의 학습과정을 확인할 수 없다. 하지만 SNA를 활용한다면 기존에 확인할 수 없었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과정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정보를 총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학습자가 동료학습자와의 비교를 통해 학습행동 수정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김용학, 1987; 임규연, 박하나, 김희준, 2014b). 따라서 SNA를 통한 정보제공이 학습자의 학습자료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학습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 하지만, 학습자의 특성이 대시보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대시보드 사용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조영환, 김관훈, 한정윤, 2019). 본 연구에서는 SNA를 통해 비교정보를 제공하기에 타인과 비교하여 자신을 평가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라 대시보드 인식과 사용이 달라질 수 있다. 사회비교경향성은 학습자의 특성 중 하나로 학습자가 자신을 평가하고자 할 때 자신과 유사한 학생과 비교하고자 하는 경향성을 뜻한다(Gibbons & Buunk, 1999). 국내 학습자의 경우 경쟁적인 학습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상적인 사람이 되고자 하는 목적의식이 강하기 때문에 다양한 학습자 특성 중 사회비교경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 사용에 사회비교경향성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대시보드 접속 빈도와 사전학습 참여도 간의 관계가 사회비교경향성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플립러닝에서 학습자는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를 어떻게 사용하는가? 1-1.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의 기능별 사용 빈도는 어떠한가? 1-2.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 사용은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플립러닝에서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의 접속과 사전학습참여도의 관계를 학습자의 사회비교경향성이 조절하는가? 3. 플립러닝에서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3-1.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 및 인지된 행동변화는 어떠한가? 3-2.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 및 인지된 행동변화는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2020학년도 2학기에 개설된 전공 필수 수업 플립러닝 강좌의 수강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2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약 8주 동안 SNA로 구현된 학습자료 대시보드를 제공하였다. 학습자료 대시보드에서 노드는 학습자와 학습자료(사전학습, 본수업, 과제, 추가자료)이며,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는 학습자의 학습자료 접근빈도 및 과제 제출 여부를 의미한다. 학습자는 링크의 두께에 따라 동료학습자와 학습자료 상호작용 빈도를 비교할 수 있다. 학습자의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회비교경향성의 중간값을 기준으로 상 집단과 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학습자의 대시보드 사용은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확인했다. 사회비교경향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한 후 R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여 조절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대시보드에 대한 인식을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행동변화(학습패턴의 변화, LMS 활용패턴의 변화) 측면에서 개방형 문항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와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대시보드 활용 로그 데이터를 통해서 학습자의 대시보드 사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학습자는 노드/링크 활성화 기능을 가장 빈번히 활용하였다. 필터링 기능 중에서는 주차설정 기능과 추가자료 필터 기능을 상대적으로 활발히 사용했다. 이를 통해 주차 슬라이더를 통해 학습자가 내용 상호작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동료학습자의 추가 학습자료 활용을 확인하고자 한 학습자의 행동에서 비교정보가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촉진하였음을 예측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라 대시보드 사용을 비교해보았을 때,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필터링 기능을 활발히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은 학습자의 경우 비교정보를 확인하고자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정보가 다르기에 대시보드 설계 시에 필터링 기능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더 나아가 추후 맞춤형 대시보드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학습자의 특성인 사회비교경향성은 학습자의 대시보드 접속 빈도와 플립러닝의 사전학습참여도에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은 참여자의 경우 대시보드 접근빈도가 잦을수록 사전학습참여도가 높아지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습참여의 촉진을 위해서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은 학습자에게 비교정보를 제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넷째, 학습자의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인식을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행동변화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대시보드가 유용했다고 판단한 이유는 본인의 정보가 유용했다는 응답과 동료학습자의 정보가 유용하였다는 응답으로 구분되었다. 행동 변화의 의향이 있었다는 응답은 학습패턴과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이하 LMS) 활용으로 나누어졌으며, 학습패턴과 관련된 응답의 경우 학습자료 사용 여부와 학습자료 활용 시기가 언급되었다.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는 학습자가 본인의 학습활동을 확인하고 동료학습자의 학습활동과 비교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료 상호작용과 비교정보를 인식하기에 적절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LMS 접근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를 예측한다는 점에서(Silva, Zambom, Rodrigues, Ramos, & de Souza, 2018),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를 통한 행동변화가 긍정적인 학업성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라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을 때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의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라 유용하다고 인식한 정보에 차이가 있었다.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은 학습자는 동료학습자의 정보가 유용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사회비교경향성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 본인의 학습자료 상호작용 정보가 유용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학습자가 언급한 대시보드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라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은 학습자 중 자신의 학습패턴을 다른 학습자가 볼 수 있다는 생각에 무의미한 접근이 증가하였다는 응답이 있었다. 이를 통해 사회비교경향성이 학습자의 불안감을 증가시킬 수 있기에(김경은, 홍정순, 2019) 이에 대한 논의 방법을 도출해야 함을 시사한다. 종합하였을 때 본 연구는 플립러닝 사전학습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를 제공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또한, 학습자의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 사용과 인식을 특성에 따라 탐색하였다. 플립러닝 학습자는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를 유용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이에 따른 행동변화를 촉진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학습자의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라 인식 및 사용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시보드를 제공하기에 앞서 학습자의 특성을 확인해야 하며, 학습자의 부정적인 정서를 줄이기 위해 비교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필터링 기능을 추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상황으로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본수업을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으로 선택할 수 있는 수업방식이 시행되어 연구참여자가 선택한 수업에 따라 다른 학습경험을 했을 수 있다. 둘째, 자기 보고식 설문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따라서, 실제 학습자의 사회비교경향성과 플립러닝 사전학습참여도, 대시보드에 대한 인식과 자기 보고식으로 작성한 내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공되는 대시보드는 하루에 한 번 업데이트가 되었으나, 이후 연구에서는 대시보드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가 즉각적인 학습과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면 학습자에게 더욱더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대시보드를 받는 모든 학습자가 공통된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동일한 환경의 학습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후속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관찰 및 질적 자료 수집 등을 통해서 심층적 탐색을 기대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1.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 5 2. 대시보드 사용 5 3. 대시보드에 대한 학습자 인식 6 4. 플립러닝 6 5. 학습자-학습자료 상호작용 6 6. 사전학습 참여도(Engagement) 7 7. 사회비교경향성 7 Ⅱ. 이론적 배경 8 A. 학습 대시보드 8 1. 학습 대시보드의 개념 8 2. 사용자에 따른 학습 대시보드 분류 9 가. 교수자용 대시보드 9 나. 학습자 대시보드 10 3. 학습 대시보드의 시각화 기법 13 가. 그래프를 활용한 대시보드 13 나. SNA(Social Network Analysis)를 활용한 대시보드 15 다. 그 외의 시각화 기법을 활용한 대시보드 17 4. 학습 대시보드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20 B. 플립러닝 21 1. 플립러닝의 개념 및 효과 21 2. 플립러닝과 대시보드 22 C.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23 1. 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의 개념 23 2. 상호작용정보를 제공하는 학습 대시보드 26 3. 학습자-학습자료 상호작용 28 4. 학습자-학습자료 상호작용과 플립러닝 31 D. 학습 참여 32 1. 학습 참여의 개념 32 2. 플립러닝과 학습 참여 34 E. 사회비교경향성 35 1. 사회비교경향성의 개념 35 2. 교육맥락에서 사회비교경향성의 선행연구 36 3. 사회비교경향성과 학습 대시보드 38 Ⅲ. 연구방법 41 A. 연구맥락 41 B. 연구대상 42 C. 연구도구 43 1.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 43 2. 학습자의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 사용 47 3. 대시보드에 대한 학습자 인식 47 4. 사회비교경향성 48 5. 플립러닝 사전학습 참여도 48 D. 연구절차 49 E. 자료분석방법 50 Ⅳ. 연구결과 53 A.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53 1. 기술통계 53 2. 상관관계분석 54 B. 학습자의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 사용 55 1.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의 기능별 사용 55 2.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 기능별 사용 56 C.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 접속과 사전학습 참여도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의 조절효과 57 D.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인식 분석 59 1.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 및 행동변화 59 2.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 및 행동변화 60 가.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된 유용성 61 나.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된 행동변화 63 다.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를 사용하지 않은 학습자의 인식 66 Ⅵ. 결론 및 논의 68 A. 연구결과 논의 및 시사점 68 1. 학습자의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 사용 68 2.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학습자의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 사용 70 3.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 접속과 사전학습 참여도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의 조절효과 70 4.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인식 71 5.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인식 73 B. 연구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75 참 고 문 헌 77 부 록 1. 사전설문지 98 부 록 2. 사후설문지 100 ABSTRACT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113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플립러닝 맥락에서 SNA 학습자료 대시보드에 대한 인식 및 사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차이-
dc.title.translatedLearners' Perceptions and Use of the Content-based SNA Dashboards in Flipped Learning : A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pproach-
dc.creator.othernameKim, Yoon Jin-
dc.format.pagex,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