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Analyzing word shapes between Korean and English-speaking late talkers and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using Wordbank

Title
Analyzing word shapes between Korean and English-speaking late talkers and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using Wordbank
Other Titles
워드뱅크를 이용한 한국어권과 영어권 일반아동과 말 늦은 아동 간 단어 구조 분석
Authors
최정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프레임/내용(Frame/Content) 이론에 따르면, 단어 구조는 아동들의 언어발달의 유의미한 증거로 간주되며, 유아기 언어발달 중 언어가 지연된 아동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된다(MacNeilage, 1998; Pharr et al., 2000; Paul & Jennings, 1992; Stoel-Gammon, 1989; Mirak & Rescorla, 1998; Rescorla & Ratner, 1996; Thal et al., 1995). 단어 구조 파악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초성, 음소 목록, 음절, 음소와 같은 다른 변수들을 함께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일반 아동과 말 늦은 아동의 단어 구조를 비교하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맥아더 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M-B CDI; Fenson et al., 1993)는 언어 치료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 아동들이 각 연령에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어휘, 의미론, 음운론적 발달에 큰 기준들을 제공한다. 전 세계적으로 M-B CDI를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M-B CDI를 이용한 연구는 대부분 영어로 진행되어왔다. 한국판 맥아더 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K M-B CDI, Pae & Kwak, 2011)는 2006년 한국에 처음 적용되었으며, 여러 조건을 가진 영유아들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K M-B CDI에 포함된 어휘의 음운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은 초기 어휘와 음운학적 발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는다. 인도-유럽 언어와 영어 중 수많은 교차 언어론(crosslinguistic) M-B CDI 연구도 진행되어 왔다(Braginska et al., 2019; Luniewska et al., 2015; Mollica & Pantadosi, 2017; Braginskinski et al., 2015). 언어 간의 고유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이가 아동의 어린 시절 언어 습득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대상자가 많은 연구 결과는 항상 더 많은 신뢰도를 가지게 되지만 각 연구소와 연구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우려는 빅데이터 자원인 워드뱅크(wordbank.stanford.edu)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워드뱅크는 아동들의 언어 발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더 일반화된 결과를 추출하고 언어 간 상호 비교를 하며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TD, 한국어-LT, 영어-TD, 영어-LT 의 4개 아동 집단의 단어 구조 산출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한국 및 영어권 유아TD 집단과 LT 집단의 단어 구조는 산출 순위, 음절, 음소, 초성 자음과 관련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워드뱅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18-30개월 한국어권 유아 939명과 영어권 유아 1174명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한국어를 구사하는 유아 집단은 일반 아동 776명, 말 늦은 아동163명으로 구성되었고 영어권 유아 집단으로는 일반 아동1051명, 말 늦은 아동123명이 포함되었다. 총 662개의 한국어 단어와 692개의 영어 단어가 104개의 단어 구조와 91개의 단어 구조로 변환되었다. 그 후, 각 단어 구조의 산출 정확도를 계산하기 위해 아동이 각 단어 구조에 해당하는 모든 CDI 어휘를 산출하였을 때 만점을 부여하고 이에 정확하게 산출된 단어 구조(accurately produced word shape)라는 정의를 내렸다. 따라서 정확하게 산출된 단어 구조에 대한 각 대상자의 산출율은 개별적으로 계산한 후 세 가지 연구 질문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TD 집단과 한국-LT 집단 사이에 단어 구조 산출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영어-TD 집단과 영어-LT 집단간의 단어 구조 산출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TD 및 LT 집단 에 대한 주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언어에 대한 주요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음으로, 집단과 언어 간의 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한국어를 구사하는 유아에 비해 영어를 사용하는 유아에서 더 큰 집단 차이가 관찰되었다. 나아가 단어 구조 산출 순서, 음절, 음소, 초성 자음 등의 관점에서 질적 분석을 실시했다. 전반적으로 한국-TD와 한국-LT 집단은 네 가지 분석에서 모두 비슷한 산출 패턴을 보였다. 하지만, 영어-TD 집단과 영어-LT 집단 간 음소 산출 면에서만 다른 산출 패턴이 관찰되었다. 총 4개 집단(한국어-TD, 한국어-LT, 영어-TD, 영어-LT)의 비슷한 산출 패턴은 특히 조음 위치와 방법에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LT 집단은 TD 집단에 비해 모든 질적 분석에서 낮은 산출율 보였지만, 해당 아동들의 산출 패턴은 TD 집단과 매우 밀접한 유사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LT 아동들이 비정상적인 발달 과정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TD 아동들에 비해 지연된 발달을 보여준 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와 동일하게, 이전 연구 결과에 따르면 TD와 LT집단에서 모두 한국 유아 집단보다 영어 유아 집단의 생산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M-B CDI에 대한 이러한 광범위한 분석은 한국어와 영어를 사용하는 유아는 물론 TD와 LT 유아들의 음운학적 발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According to Frame/Content theory, word shapes are considered as significant evidence of children’s speech development and it distinguishes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in early childhood language development (MacNeilage, 1998; Pharr et al., 2000; Paul & Jennings, 1992; Stoel-Gammon, 1989; Mirak & Rescorla, 1998; Rescorla & Ratner, 1996; Thal et al., 1995). Through the extensive research on identifying word shapes, other variables, such as phonetic patterns, syllables, and phonemes can be analyzed as well. However, the amount of the research comparing the word shapes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TD) toddlers and Late Talkers (LT) are done very limited.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M-B CDI; Fenson et al., 1993) are actively used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and it provides a great benchmark of lexical, semantical,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that children should ultimately develop. Even if the M-B CDI is used vastly around the globe, most of the research using M-B CDI are mainly about English language. The Korean version of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K M-B CDI; Pae & Kwak, 2011) was first adapted for Korea in 2006 and has been used to evaluate infants and toddlers with many conditions. Therefore, an analysis of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ocabulary contained in the K M-B CDI would bring in-depth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vocabulary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Numerous cross-linguistic M-B CDI studies among Indo-European languages and English are conducted (Braginsky et al., 2019; Haman et al., 2015; Mollica & Piantadosi, 2017; Braginsky et al., 2015). Analysis of linguistic features from different language that can further explain the uniqu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languages and how they can affect children’s early childhood language acquisition. The findings with a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can always be further validated but it is not easy to share the data between individual labs and researchers. All these concerns can be resolved when the big data resource, Wordbank (wordbank.stanford.edu) is used. Wordbank allows researchers to work with a huge amount of data in order to extract more generalized results and then compare between cross-linguistic data, in order to help understand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word shape production among four groups of toddlers: Korean-TD, Korean-LT, English-TD, and English-LT.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re compiled. The word shape production of both TD and LT groups of Korean and English toddlers was analyzed in regard to its production rank, syllables, phonemes, and initial consonants. A total of 939 Korean-speaking toddlers and 1174 English-speaking toddlers from 18-30 months-old were collected from the Wordbank database. Regarding Korean-speaking toddlers, 776 Typically Developing (TD) toddlers and 163 Late Talkers (LT) were included. In terms of English-speaking toddlers, 1051 TD toddlers and 123 LT were included. The total number of 662 Korean words and 692 words from M-B CDI were converted into 104 word shapes and 91 words shapes. Then, each word shape production accuracy was calculated and full marks in word shape production accuracy was given when the child produces the corresponding CDI vocabularies for each word shape. Therefore, each participants’ calculation for accurately produced word shapes (%) was computed individually and later analyzed in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d shape production between the Korean-TD and Korean-LT groups.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d shape production between the English-TD and English-LT groups were observed. The main effect for the TD and LT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 main effect for the langu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Next,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langu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the greater 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English-speaking toddlers compare to the Korean-speaking toddlers. Furthermor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word shape production was conducted in terms of production rank, its syllables, phonemes, and initial consonants. Overall, Korean-TD and Korean-LT groups showed similar production patterns in all four analysis. This similar pattern was also observed between English-TD and English-LT groups, except in the comparison with the phonemes. The groups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Korean-TD, Korean-LT, English-TD, and English-LT) in this qualitative data was also observed especially in the production of place and manner of articulation. In conclusion, LT groups showed lower production in all qualitative analysis compared to TD groups but yet their production patterns showed close similarity to TD groups. Thus, their results represent delayed developments, not the abnormality of LT. In accordance with previous findings, English toddler group’s production was higher than Korean toddler groups in both TD and LT groups. Finally, this extensive analysis of M-B CDI provide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of TD toddlers and LT as well as Korean and English-speaking toddl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