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한복에 사용된 줄무늬와 격자무늬에 관한 연구
- Other Titles
- A Study of Stripes and Check Patterns Used in Hanbok
- Authors
- 변진경
- Issue Date
- 2020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홍나영
- Abstract
- 본 연구는 삼국(三國)이 존립하던 고대(古代)부터 해방 이전까지 한복에 사용된 줄무늬와 격자무늬를 고찰한 것이다. 해당 시기의 문헌, 회화, 사진 자료 등을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최근 줄무늬와 격자무늬는 클래식하면서 현대적이고 트렌디한 패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줄무늬와 격자무늬가 현대적으로 인식되는 것과 달리 고대나 근대 전기의 한복에서도 이런 무늬가 관찰된다. 이처럼 줄무늬와 격자무늬가 전통무늬라는 인식이 부족하고, 이에 관한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복에서 줄무늬와 격자무늬 사용 양상이 어떻게 나타났고, 사용 양상의 변화가 발생한 배경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줄무늬와 격자무늬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줄무늬와 격자무늬를 살펴보기에 앞서, 오래전부터 교류를 해왔던 중국과 일본, 그리고 근대기에 교류가 시작되었던 유럽의 줄무늬와 격자무늬의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유럽에서 줄무늬와 격자무늬의 직물이 고대부터 있었으며, 이런 무늬의 복식은 세간에 알려진 부정적인 의미의 사용 외에도 다양한 계층과 다양한 상황에서 착용되어 왔다. 18세기부터 점차 이런 무늬의 복식을 더 많이 착용하게 되었다.
고대 중국에서도 줄무늬와 격자무늬 직물이 있었고 이런 무늬의 복식이 착용되었으며, 당나라 때에는 색동치마와 같은 줄무늬 복식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명나라에 들어서 줄무늬나 격자무늬 복식을 착용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고, 청나라의 자료에서 줄무늬나 격자무늬 복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의 초창기에는 중국과 한국의 영향을 받아 색동치마가 유행하기도 했으며, 일본에서 생산된 줄무늬와 격자무늬도 존재했었다. 에도시대에 이키(いき)라는 멋의 유행과 외국과의 활발한 교역으로 복식에서 줄무늬와 격자무늬 사용이 더욱 활발해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복식에 사용된 격자무늬와 줄무늬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조선시대에는 격자무늬와 줄무늬 직물이 복식에 사용된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이후 개항하면서 서양 국가, 일본 등 다른 나라와의 활발한 교역으로 다양한 직물을 접하게 되었고, 외국에서 줄무늬와 격자무늬 직물을 수입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이런 직물이 생산되었다.
점차 줄무늬와 격자무늬 직물에 대한 기호가 생기면서 전보다 다양하게 복식에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여성 한복, 남성 한복, 아동 한복에서 이런 무늬의 직물이 사용된 사례가 확인된다. 여성 한복의 경우, 신여성, 직업 부인, 주부, 음악가 등 다양한 계층의 한복에서 관찰되며, 격자무늬 직물이 여학생 교복으로 착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남성들의 두루마기에서 줄무늬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당시 남성들이 두루마기를 양복지로도 만들어 입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동의 한복에서도 줄무늬와 격자무늬가 보이며, 이런 무늬 직물은 소매 장식이나 보육원의 원생복에도 활용되었다.
줄무늬와 격자무늬는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점차 유행하기 시작했다. 1930년대에 줄무늬와 격자무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으며, 사용도 많아졌다. 시기에 따라 무늬에 대한 취향이 변했지만, 줄무늬와 격자무늬 직물에 대한 수요는 지속되었다. 이는 서양과 일본의 문화를 접하면서 조선 사람들의 취향이 변화했기 때문에 나타나게 된 현상으로 보인다.
이처럼 우리나라 역사 속 줄무늬와 격자무늬를 고찰함으로써 우리 전통 직물의 무늬를 다시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우리나라 줄무늬나 격자무늬에 관한 자료를 정리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앞으로 본 연구가 근대의 의생활 및 문양의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is centered on the stripes and check patterns used in Hanbok, the traditional Korean attire worn across the Korean Peninsula from ancient times until 1945. Official documents, photographs, and paintings from this extensive period of time were referenced for context.
Stripes and check patterns are nowadays recognized as classic; yet trendy and modern fashion elements. Although these patterns are often considered modern, they are also seen in the attires of ancient and early modern times such as Hanbok. Therefore, the stripes and check patterns are not recognized as traditional patterns, resulting in the current lack of related research.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history of stripe and check pattern use in Hanbok by analyzing the incorporation and the background of the changes made in the use of these patterns. The research proceeds as follow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nvolves the study of these intricate patterns stripes in Korea, a brief review of the history of these patterns of China and Japan, with whom Korea has been in trade for a long time, and Europe, with whom the trade began in the modern times, was necessary. In Europe, striped and check patterned fabrics have been around since ancient times, and although they were known for their negative use, various classes wore such patterned clothes in various situations. Clothes with such patterns were worn more often starting the 18th century.
Ancient China also had striped and check patterned fabrics that were used in clothes. In the Tang Dynasty, striped clothes like Saekdong skirts gained popularity. Stripes and check patterns then became difficult to find in attires in the Ming Dynasty, but were once again observed in the references from the Qing Dynasty.
In the early days of Japan, the Saekdong skirts gained popularity under the influence of Korea and China, and the country was producing their own striped and check patterned fabrics. In the Edo period, the use of stripes and check patterns in attires became more active, due to the fashion trend called Iki(いき) and a thriving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In Korea, stripes and check patterns were found in the attires in the Goguryeo’s mural paintings, but it is difficult to find out if the same patterned fabrics were used in the Joseon Dynasty as well. After opening the ports, Korea encountered and imported various fabrics, striped and check patterned fabrics included, through active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such as Japan or western countries. At this point, such fabrics were also being produced in Korea.
Striped and check patterned fabrics were being used in more varied clothes, as Koreans gradually gained taste in such patterns. The cases were confirmed where these fabrics were used in the Hanbok of women, men, and children. As for women, various classes including the
New women, working women, housewives, or musicians were wearing such patterned Hanbok. Check patterned fabrics were used in the school uniform of female students as well. As for men, stripes are found in their Durumagi, seemingly because these clothes were made from not only
Korean but also western fabrics at that time. Stripes and check patterns were also seen in children’s Hanbok, in their sleeve decorations or for their nursery uniform.
Stripes and check patterns started to be used more often in clothes in the late 1920s. In the 1930s, these patterns became even more preference, and were applied to more clothes. The preference of clothing patterns changed with time, but the demand for the striped and check patterned fabrics continued to exist. This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tastes of Joseon people changed as they encountered Western and Japanese cultur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and compiled the data on stripes and check patterns in the Korean history and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observe the traditional fabric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proves to be useful in further research of modern Korean attires and clothing patterns.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