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9 Download: 0
단순언어장애 아동 및 일반아동의 사회성 기술 및 집행기능과 이야기 이해 능력 간의 관계
- Title
- 단순언어장애 아동 및 일반아동의 사회성 기술 및 집행기능과 이야기 이해 능력 간의 관계
- Other Titles
- The Relationship of Social Skills, Executive Functions, and Story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 Authors
- 문주희
- Issue Date
- 2020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임동선
- Abstract
- 사회성 기술은 타인과 상호작용하며 반응하는데 쓰이는 전략으로,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수용되며 건강하게 살아가기 위해 사회성 기술의 적절한 발달은 필수적이다(McFall, 1982). 또한, 인간이 사회에서 적응하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적 문맥에 맞게 집행기능을 사용하여 목표 및 행동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Huyder & Nilsen, 2012). 이처럼 사회성 기술과 집행기능은 모두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타인과 함께 조화롭게 사는데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보이는데, 이들은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Alduncin, Huffman, Feldman, & Loe, 2014; Rhoades, Greenberg, & Domitrovich, 2009). 한편, 언어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은 언어적 결함과 사회성 부족을 모두 경험하는데, 특히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또래 일반아동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이 덜 발달되어 사회성 기술의 부족을 보인다(Lindsay, Dockrell, & Strand, 2007; Stanton-Chapman et al., 2007; Timler, 2008). 뿐만 아니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집행기능에서도 어려움을 나타낸다(Kapa, Plante, & Doubleday, 2017). 이처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언어 외의 영역에서도 결함이 있다는 결과가 선행연구들을 통해 계속해서 밝혀지고 있는 추세이며(Kapa & Plante, 2015), 특히 이들은 사회 속 하나의 구성원으로 타인과 원활하게 상호작용하고 변화하는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능력들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사회성 기술에 관해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으며, 사회성 기술, 집행기능 및 언어능력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들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또래 일반아동의 사회성 기술, 집행기능(갱신 능력, 억제 능력, 전환 능력), 이야기 이해 과제 수행을 비교하고, 각 집단 내에서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각 집단의 사회성 기술 및 집행기능이 이야기 이해 과제 수행능력을 예측해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4-7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14명과 일반아동 19명이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언어 및 동작성 지능 검사를 선별검사로 실시하였으며, 그 후 사회성 기술 검사와 집행기능 및 이야기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사회성 기술 영역에 따른 집단 간 점수의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행기능의 하위 과제인 갱신 과제, 억제 과제, 전환 과제와 이야기 이해 과제에서 집단 간 수행력의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각각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이후, 각 집단에서 사회성 기술 및 집행기능과 이야기 이해 능력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집단에서 사회성 기술 및 집행기능이 이야기 이해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성 기술 검사에서 집단 간 주효과가 유의하고 사회성 기술 영역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자신감 영역의 점수가 문제해결 및 정서표현 영역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과 사회성 기술 영역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세 가지 집행기능 과제의 경우, 억제 과제와 전환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나, 갱신 과제에서는 집단 간 수행력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야기 이해 과제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수행력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각 집단에서 사회성 기술, 집행기능, 이야기 이해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반아동의 이야기 이해 과제 수행력은 갱신 과제 수행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전환 과제 수행력은 사회성 기술 중 정서표현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성 기술 내에서는 문제해결과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 간, 정서표현과 자신감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집행 기능 내에서는 갱신 과제 수행력과 억제 과제 수행력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이야기 이해 과제 수행력이 사회성 기술 중 문제해결, 정서표현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전환 과제 수행력은 문제해결, 질서의식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 기술 내에서는 문제해결과 질서의식 간, 집행기능 내에서는 갱신 과제 수행력과 억제 과제 수행력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각 집단의 이야기 이해 능력을 예측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본 결과, 일반아동의 경우, 갱신 과제 수행력이 이야기 이해 과제 수행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이해 과제 수행력을 예측하는 요인은 사회성 기술 중 문제해결과 정서표현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사회성 기술, 집행기능 중 억제 및 전환 능력, 이야기 이해 능력에서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능력들 간의 관계가 각 집단에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일반아동의 경우 집행기능 중 하나인 갱신 능력이 이야기 이해 능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사회성 기술 중 문제해결과 정서표현이 이야기 이해 능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주목해볼만 하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평가 및 중재 시 또는 부모나 주양육자 등 비전문가에게 제언할 시 사회성이라는 영역에 관해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을 제시한다. ;Social skills are strategies used to interact with others and they are essential for humans to develop in order to be accepted as members of society and to live healthy (McFall, 1982).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humans to be able to adjust goals and behaviors by using executive functions in various contexts in order to adapt in society (Huyder & Nilsen, 2012). As such, both social skills and executive functions appear to be very important skills to live in harmony with others as members of society, and they have been found to be interrelated (Alduncin, Huffman, Feldman, & Loe, 2014; Rhoades, Greenberg, & Domitrovich, 2009). Children with language difficulties experience both linguistic problems and a lack of sociality. Especially, it is understood that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lack social skills due to less developed prosocial behaviors than typcially developing (TD) children (Lindsay, Dockrell, & Strand, 2007; Stanton-Chapman et al., 2007; Timler, 2008).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children with SLI also have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s (Kapa, Plante, & Doubleday, 2017). As suc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children with SLI have defects not only in language but also in other areas (Kapa & Plante, 2015). In particular, they seem to have defects in their ability to be equipped as a member of society to interact smoothly with others and respond appropriately to changing situations. However,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SLI have not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nd it seems that social skills, executive functions, and language skills are related to each other, but research tha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overall is very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social skills (problem solving, emotional expression, sense of order, and confidence), executive functions (updating, inhibition, and shifting), and story comprehension ability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LI, and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in each group. Also,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if the social skills and executive functions predict the performance of the story comprehension task in each group.
A total of 33 children (14 children with SLI and 19 TD children) aged 4 to 7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ldren’s social skills were assessed by their parents and children performed the tasks of executive functions and story comprehension. A two-way 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areas of social skill. In addition,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executive functions and story comprehension ability between group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measured to see if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skills, executive functions, and story comprehension ability in each group. Also,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or not social skills and executive functions in each group can significantly predict the story comprehension ability.
The results show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in groups and the areas of social skill. Th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group and social skill areas, was not significant. In executive functions, children with SLI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D children in inhibition task and shifting task, but the group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updating task. In the story comprehension task, children with SLI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TD children.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n TD childre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ory comprehension ability and updating ability.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hifting abi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SLI, the story comprehension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 solving and emotional expression. In addition, shifting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 solving and sense of order.
As a result of examining which factors predict each group's story comprehension ability,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TD children, updating ability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story comprehens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in children with SLI, the factors predicting their story comprehension ability were found to be problem solving and emotional expression among social skill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with SLI have difficulties in social skills, ability of inhibition and shifting among executive functions, and story comprehension ability. In addition, it was remarkable that the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these abilities was different in each group.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D children, the updating ability, which is one of the executive functions, was found to predict their story comprehension ability; whereas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SLI, problem solving and emotional expression among social skills were found to predict their story comprehension ability. These results present the necessity to look into the social skills when evaluating and intervening children with SLI or when suggesting to non-experts such as parents or caregivers.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