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9 Download: 0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상징놀이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상징놀이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Video Peer Modeling Intervention on Symbolic Play and Soci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uthors
이선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유아는 놀이를 통해 자신의 주변을 탐색하면서 성장 및 발달을 한다. 유아는 2세가 되면서부터 상징놀이가 나타나고, 또래와 상징놀이를 하면서 또래와의 관계를 형성한다. 유아는 또래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의 구성원이 되어가는 경험을 한다. 그러나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의사소통에 결함을 보이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는 놀이에서 일탈적인 행동과 놀잇감의 기능적이지 못한 사용과 같이 놀이상황에서의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 이러한 어려움은 상징놀이 뿐만 아니라, 또래와의 관계 형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에,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놀이기술을 교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비디오 모델링 중 하나인 비디오 또래 모델링(Video Peer Modeling)은 학습자와 비슷한 연령 또는 성별의 또래가 모델이 되어, 목표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비디오로 촬영 및 편집하여 학습자에게 제작한 영상을 보여주는 중재 방법이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가 비디오 모델링 중재를 통해 상징놀이 또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한 결과를 보여줬다. 하지만 아직까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비디오 모델링 중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를 활용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를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제공하여 상징놀이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험 유아는 서울시 장애통합 어린이집에 재학하고 있는 3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로 선정하였으며, 자유선택놀이활동시간에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통해 중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초선, 중재 단계로 연구가 진행이 되었으며, 연구자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의 놀이 모습을 관찰하여 상징놀이에 사용할 스크립트 작성에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하였다. 비디오 또래 모델링 영상은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같은 학급인 같은 성별의 또래 중 교사의 추천을 받은 2명의 일반 유아들에게 소꿉놀이, 병원놀이, 기차놀이를 수행하는 모습을 촬영하였다.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는 주 2회, 자유선택놀이활동시간에 역할놀이 영역과 언어영역에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참여유아와 같이 비디오 영상을 시청한 후에, 역할놀이 영역과 언어 영역에서 2분 동안 영상 속에서 나온 상징놀이를 모방하면서 상징놀이 교수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참여유아에게 상징놀이 행동과 발화에 대한 모방이 나타날 경우, 긍정적인 강화로 언어적 칭찬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를 실시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3명 모두 상징놀이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둘째,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를 실시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중 2명에게서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이 두 결과로 미루어보았을 때,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상징놀이와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많이 진행되지 않았던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를 통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상징놀이를 교수하여, 상징놀이가 향상되었고, 더 나아가 또래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낸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비디오 영상 촬영을 통해 중재를 실시한다는 비디오 또래 모델링의 편리성으로 통합 어린이집의 교사들에게도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에 대한 교수 수월성을 높인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peer modeling intervention in inclusive kindergarten on symbolic play and social interaction of young chil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In this study, a multiple probe design was used aross three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under two experimental conditions: baselin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on this study were three kindergart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ir classmates. Researcher observed the play of participants and collected information necessary to write scripts for symbolic play. Participants who are classmates with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layed house play, hospital play, and train play and the researcher filmed their play and show it to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Video peer modeling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in imclusive play sett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ymbolic play increased in all thre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participated in video peer modeling intervention. Second, social interaction increased in 2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participated in video peer modeling interventi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video peer modeling are effective in enhancing symbolic play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inclusive setting. Implications of video peer modeling intervention to improve symbolic play and soci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inclusive kindergarten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