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2 Download: 0
2D 도식화, 3D 가상착의 의복, 실제착의의 외관 유사도 비교 연구
- Title
- 2D 도식화, 3D 가상착의 의복, 실제착의의 외관 유사도 비교 연구
- Other Titles
- A Comparison Study on the Appearance Similarities between 2D Flat Sketch, 3D Virtual Clothing, and Real clothing
- Authors
- WANG, XUEYING
- Issue Date
- 2019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김동은
- Abstract
- 최근 의류산업의 글로벌 공급 체인에서 테크니컬 디자이너라는 역할이 갈수록 중시되고 있다. 또한 3차원 가상착의 기술의 발전에 따라 3차원 가상착의 시스템을 활용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3차원 가상착의 및 실제착의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2D 도식화와 3차원 가상착의 및 실제착의 이미지를 비교한 연구가 부족한 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류업체가 3차원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통해 의복의 맞음새를 리뷰와 바이어나 소비자에게 상품표현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을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의복의 2D 도식화, 3D 가상착의 의복이 실제착의 이미지를 얼마나 유사하게 표현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착의모델은 송화경(2003)의 연구에서 의류업체가 사용하고 있는 모델의 평균치수에 기초하여 20대 여성 1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아이템으로 티셔츠, 원피스, 우븐셔츠, 바지 각 한 벌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의복의 디자인에 따라 2D 도식화, 3D 가상착의 의복, 실제착의를 완성하고 맞음새 평가, 위치 평가, 감성평가를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4종류로 작성하였으며 20-30대 중국 여성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440건 설문지는 110건으로 정리하였으며 결과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2D 도식화, 3D 가상착의 의복, 실제착의 간의 유사정도를 제시하였다.
티셔츠의 맞음새 평가결과, 총길이항목을 제외하고 어께너비, 소매통, 그래픽 크기, 두께감 4개 항목은 2D 도식화가 3D 가상착의 의복보다 실제착의의 맞음새와 좀 더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3D 가상의복이 3D 가상모델(아바타)이 없기 때문에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티셔츠의 감성 평가결과, 전반적으로 3D 가상착의 의복이 실제의 감성을 더 잘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3D 가상착의 의복이 실제착의를 2D 도식화보다 약간 더 유사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티셔츠의 목둘레 위치는 3D 가상착의 의복이 2D 도식화보다 더 높게, 소매길이 위치는 2D 티셔츠가 3D 티셔츠보다 더 길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피스의 맞음새 평가결과, 2D 도식화와 3D 가상착의 의복은 약간 길다는(약간 넓다는/약간 높다는/약간 크다는/약간 많다는/약간 두껍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실제착의는 약간 짧다는(약간 좁다는, 약간 낮다는, 약간 작다는, 약간 적다는, 약간 얇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3D 가상모델(아바타) 위에 3D 가상의복을 입힌 모습으로 제시하는 것이 더 나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원피스의 감성 평가결과는 티셔츠와 유사하게 나타나 3D 가상착의 의복이 실제착의를 2D 도식화보다 약간 더 유사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원피스의 허리선 위치는 2D 원피스와 3D 원피스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마 길이는 3D 원피스가 2D 원피스에 비해 좀 더 짧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븐셔츠의 맞음새 평가결과, 2D 도식화와 3D 가상착의 의복은 약간 길다는(약간 넓다는/약간 높다는/약간 크다는/약간 많다는/약간 두껍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실제착의는 약간 짧다는(약간 좁다는, 약간 낮다는, 약간 작다는, 약간 적다는, 약간 얇다는) 평가를 받았다. 우븐셔츠의 감성 평가결과는 전반적으로 2D 도식화가 3D 가상착의 의복보다 실제착의 우븐셔츠의 감성을 좀 더 유사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3D 우븐셔츠의 소매가 실제착의에 비하여 여유분이 많은 형태로 주름이 형성되어, 2D 도식화 및 실제착의 이미지와는 다른 맞음새를 생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븐셔츠의 뒤 밑단선 위치는 2D 우븐셔츠를 3D 우븐셔츠에 비해 더 길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매길이는 2D 우븐셔츠를 3D 우븐셔츠보다 좀 더 길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지의 맞음새 평가결과, 체크무늬 크기, 두께감항목을 제외하고 다른 항목에서 2D 도식화와 3D 가상착의 의복은 바지길이가 약간 길다, 허리선이 약간 높다,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넙다리둘레, 바지통항목에서 약간 넓은 것으로 평가 되었다. 바지의 감성평가에 대해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2D 도식화가 3D 가상착의 의복보다 실제 바지의 감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지의 총길이 위치는 3D 바지와 2D 바지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지통은 3D 바지가 2D 바지보다 더 넓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지의 허리선 위치는 2D 바지를 3D 바지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갓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3D 티셔츠, 원피스, 우븐셔츠, 바지의 이미지는 아바타 위에 3D 가상의복을 입힌 모습으로 제시하는 것이 더 정확한 맞음새 평가결과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3D 우븐셔츠는 주름이 많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느낌이 실제의복과 다르게 표현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3D 바지는 주름이 잘 표현되지 않아서 넓게 보이고 2D 도식화, 3D 가상착의 의복, 실제착의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으며 이는 자극물을 제작할 때 특히 2D 도식화, 3D 가상착의 의복의 입체감이 있는 주름을 잘 표현하지 못해서 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전반적으로 소재의 물성값을 정확히 넣지 못했다는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의복의 2D 도식화, 3D 가상착의 의복, 실제착의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이들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의류업체가 의류제품기획, 디자인, 생산과정 안에서 3D 가상착의 시스템을 효과적인 상품표현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테크니컬 디자이너 및디자이너가 3D 가상착의 의복을 의류생산과정에서 사용할 때, 3D 가상모델(아바타)에 착장시킨 상태로 제시하고 2D 도식화, 3D 가상착의 의복, 실제착의를 함께 평가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cently, in the global supply chain of the apparel industry, the role of technical designer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With the development of 3D virtual fitting technology, increased numbers of clothing companies are using 3D virtual garment system. The comparison studies between 3D virtual clothing and real clothing images have been very active, but there are needs for the comparison studies between 2D flat sketch, 3D virtual clothing and real clothing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apparel companies to easily make garments fit in 3D virtual clothing to reviewers, buyers, and consumers. Therefore, similarities of 2D flat sketch and 3D virtual clothing were compared to real clothing. The fit model of this study was selected based on the average dimensions of the models used by apparel companies in Song(2003)'s study. One woman in her 20s was selected. T-shirts, a dress, woven shirts, and pants of a buyer's brand were selected as research items. Flat sketch, 3D virtual clothing, and the real clothing images were made. The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for the fit evaluation, location evaluation, and sensibility evaluation. The questionnaires were made in 4 types. A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collected 440 questionnaires were classified into 110 cases, and the result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it presented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2D flat sketch, 3D virtual clothing, and the real clothing images.
Except for the fit evaluation results and total length items of the T-shirts, 2D flat sketch was rated to be more similar to be the real clothing images than 3D virtual clothing in four items such as shoulder width, sleeves, graphic size, and thickness. This 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3D virtual clothing avatar was not included in 3D virtual clothing. As a result of the sensibility evaluation of the T-shirts, overall 3D virtual clothing showed a better representation of real sense, which can be explained by 3D virtual clothing expresses the real clothing images slightly more similar than 2D flat sketch. The neck girth position of the T-shirts showed that 3D virtual clothing was higher than 2D flat sketch, and the sleeve length position showed 2D T-shirts was rated longer than 3D T-shirts.
As a result of the fit evaluation of the dresses, 2D flat sketch and 3D virtual clothing were rated as slightly longer(slightly wider/slightly higher/slightly bigger/slightly more/slightly thicker), and the real clothing images were rated as slightly shorter(slightly narrower, slightly lower, slightly smaller, slightly less, slightly thinn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it evaluation will be more accurate when 3D avatar is presented together with 3D virtual clothing. The sensibility evaluation result of the dresses was the similar to T-shirts results. The 3D virtual clothing expressed the real clothing images slightly more similar than 2D flat sketch. The waistline position of the dresses was similar between 2D dresses and 3D dresses, and the length of the skirts showed that 3D dresses were shorter than 2D dresses.
As a result of the fit evaluation of the woven shirts, 2D flat sketch and 3D virtual clothing were rated as slightly longer(slightly wider/slightly higher/slightly bigger/slightly more/slightly thicker), and the real clothing images were rated as slightly shorter(slightly narrower, slightly lower, slightly smaller, slightly less, slightly thinner). As a result of the sensibility evaluation of the woven shirts is generally interpreted that 2D flat sketch expresses the sensibility of real woven shirts images more closely than the 3D virtual clothing. The position of the back bottom hem of the woven shirts showed that the 2D woven shirts were rated longer than the 3D woven shirts. The sleeves showed that 2D woven shirts were longer than 3D woven shirts.
As a result of the fit evaluation of the pants, the length of the pants is slightly longer, and waistline is slightly higher. Waist measurement, hip measurement, and thigh measurement are also slightly larger in 2D flat sketch and 3D virtual clothing except for plaid size, thickness items. As a result of the sensibility evaluation of the pants, overall 2D flat sketch showed a better representation of real sense of pants than 3D virtual clothing. The total length of the pants was found to be similar to 3D pants and 2D pants. The pants leg width showed that the 3D pants were wider than the 2D pants, and the waistline position of the pants was higher than the 3D pants.
Overall, the results show that presenting 3D T-shirts, dresses, woven shirts, and pants images with avatars as 3D virtual clothing images will give more accurate fit results. Many wrinkles were formed in 3D woven shirts and the overall feeling was expressed differently from actual clothes. The 3D pants did not look wrinkled, but looked wide. It seems to show differences between 2D flat sketch, 3D virtual clothing, and the real clothing images. The pleats of the 2D flat sketch and 3D virtual clothing was not expressed accurately, which impacted the results. Also, the study has limitations that material information was not input accurately.
In this study, 2D flat sketch, 3D virtual clothing, and the real clothing images of existing clothes were evaluated 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This study presented possibilities and methods for the apparel companies to utilize the 3D system as an effective product expression tool in the apparel product planning,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 The study also suggest that when technical designers and designers use 3D virtual clothing in the apparel production process, it is important to present 3D virtual clothing with an avatar and to evaluate 2D flat sketch, 3D virtual clothing, and the real clothing images together.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