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2 Download: 0

SCERTS 모델 기반의 가정 일과 중심 부모 실행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 기술 및 놀이 기술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SCERTS 모델 기반의 가정 일과 중심 부모 실행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 기술 및 놀이 기술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iveness of a Parent-Implemented SCERTS Model-based Intervention for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Authors
서민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자폐 범주성 장애는 영아기부터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의 결함이 나타나는 신경발달적 장애이다(Guthrie, Swineford, Nottke, & Wetherby, 2013). 조기발견을 통한 조기개입의 긍정적인 효과가 강조되면서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이하 ASD 영아)의 최고의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추천된 실제를 적용한 연구가 확산되고 있다(Rogers et al., 2019). 최근 발표되는 연구에서는 가족과 전문가 집단의 협력적 관계를 토대로 ASD 영아의 핵심결함 영역에 집중한 발달적으로 적합한 중재 프로그램 수립을 추천하며(Dawson et al., 2010), 영아의 자연스러운 일과 내에서 부모가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ASD 영아의 발달을 촉진한다(Schertz, Odom, Baggett, & Sideris, 2018). 우리나라의 자폐 범주성 장애의 출현율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교육부, 2018), 이에 따라 ASD 영아와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조기개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이소현, 2009). 하지만, 많은 경우 진단 시기가 지연되고 조기개입을 제공하는 데에는 전문 인력의 부족, 중재프로그램의 부재,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예산 부족, 지역 편차 등의 어려움으로 조기개입의 시기가 늦춰지고 있다(이경숙, 윤현숙, 정희승, 유희정, 2015). 우리나라의 ASD 조기개입 현황은 ASD 영아와 가족에게 이른 시기에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며, 제공된다고 해도 기관을 중심으로 실행되어, 가족의 고유한 특성과 자녀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조윤경, 김수진, 송영희, 2017). 뿐만 아니라 조기개입을 기다리는 동안 ASD 영아를 양육하는 부모는 불안, 우울,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등 낮은 양육효능감으로 연결되어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이경숙 외, 2015).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36개월 이전에 ASD 영아와 가족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정 중심의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가족의 참여를 증진시키고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부모가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CERTS 모델 기반의 가정 일과 중심 부모 실행 중재를 구성하여 ASD 영아의 공동관심 기술 및 놀이 기술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인천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33개월 이하의 ASD 영아와 부모 총 18쌍으로 구성되었고, 실험집단 9쌍과 통제집단 9쌍이 참여하였다. 연구의 실행방법은 실험집단 9명의 ASD 영아와 부모에게 주 1회 90분의 프로그램을 총 8회 제공하였다. 8회기의 가정방문 회기에서는 ASD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한 영아의 발달과 특성, 효과적인 교수전략에 대해 다뤘으며, 3회기부터 일상에서의 행동관찰을 바탕으로 SCERTS 진단과정을 시행하고, 자녀의 발달과 행동특성에 맞춘 중재계획을 수립하여 일상에서 학습기회를 삽입한 중재 실행을 지원하였다. 가정방문 회기를 마친 후에는 다음 회기가 시작되기 전까지 부모의 독립적인 중재 실행이 있었으며, 부모는 매일 저녁 연구자에게 중재충실도를 포함한 자녀의 행동관찰과 실행 소감을 작성한 일지를 전송하였다. SCERTS 모델 기반의 가정 일과 중심 부모 실행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ASD 영아의 공동관심 기술, 놀이 기술, 부모 참여자의 양육효능감을 측정하였다. 공동관심 기술은 사회의사소통 기술 측정도구인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s(ESCS), 놀이 기술은 반구조화된 놀이 중심의 Structured Play Assessment(SPA),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평정척도인 Toddler Care Questionnaire(TCQ)를 사용하였다. 공동관심과 놀이 기술은 자료 분석을 위해 녹화된 자료를 재생하여 보면서 각각의 도구에서 제시한 행동의 조작적 정의에 따라 코딩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CERTS 모델 기반의 가정 일과 중심 부모 실행 중재가 ASD 영아의 공동관심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중재에 참여한 실험집단 ASD 영아의 공동관심 반응하기 발생률과 공동관심 시작하기 빈도수는 증가하였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본 중재가 ASD 영아의 공동관심 반응하기와 공동관심 시작하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낮은 수준의 공동관심 반응하기와 높은 수준의 공동관심 반응하기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낮은 수준의 공동관심 시작하기와 높은 수준의 공동관심 시작하기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SCERTS 모델 기반의 가정 일과 중심 부모 실행 중재가 ASD 영아의 놀이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중재에 참여한 실험집단 ASD 영아의 단순놀이 발생률은 감소하였고 복합놀이, 기능놀이, 상징놀이 발생률은 증가하였다. 통제집단 ASD 영아의 단순놀이 발생률도 감소하였으며, 복합놀이, 기능놀이는 증가하였고 상징놀이에는 변화가 없었다. 4개의 놀이 기술 중에서 기능놀이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본 중재가 ASD 영아의 놀이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SCERTS 모델 기반의 가정 일과 중심 부모 실행 중재가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중재에 참여한 실험집단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향상을 보인 반면 통제집단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감소를 보여 집단 간 부모 양육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본 중재가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SCERTS 모델 기반의 가정 일과 중심 부모 실행 중재는 ASD 영아의 공동관심 기술과 기능놀이 기술 및 부모의 양육효능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기개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기에 부모 교육을 제공하고 연구자와 협력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SCERTS 진단과 중재 계획을 실행하였으며, 부모가 직접 중재를 실행함으로써 자녀의 핵심 결함 영역의 발달을 촉진하고 부모의 양육효능감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에 거주하는 많은 ASD 영아와 부모가 참여하거나 ASD 영아의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중재 효과를 비교할 필요가 있으며, 웹기반의 부모 교육과 온라인 지원 방식을 결합한 지원 방식을 고안하여 중재 효과를 검증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ce of providing early interventions for ASD is underscored by the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children and predi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int attention skills and language and social communication performance. As Part C policy is centered on building family capacity to meet children’s developmental needs in natural environments there is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in the area of building parents’ capacity through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s. Among many efficacious intervention methods for young children with ASD, naturalistic developmental behavioral interventions(NDBIs) early in life can help young children with ASD acquir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and often decrease symptom severity and maladaptive behaviors. SCERTS has been developed to disseminate NDBI intervention systems through parent implementation at home in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s. In SCERTS model, parents work with professionals to assess children and then choose a set of individual techniques they think will be the most beneficial for their children. Parents help conduct the initial assessment, set intervention goals and play a central part in implementing the teaching support and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ness of parent-implemented SCERTS Model-based intervention for toddlers 23-33 months old with ASD and their parents, ensuring the procedure used to support and engage the parents in home settings where intervention is provided. A home-based experimental group involving 9 toddlers and their parents was formed investigating the efficacy of a parent-delivered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ar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wo parent education sess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oddlers with ASD and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infants and toddlers. Then, parents participated in SCERTS assessment procedure evidence-based practices that support the development of toddlers with ASD. Joint attention, play, parenting efficacy were completed at baseline and 12 weeks later with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s, Structured Play Assessment, and Toddler Care Questionnair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hange in toddlers’ joint attention skills, functional play skills, and parenting 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both initiating joint attention and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skills. Both groups demonstrated reduced frequency of simple play and improved functional play. The results suggest that a parent-implemented SCERTS model-based intervention can improve joint attention skills, functional play skills, and parents’ parenting efficacy. This study provide an initial basis for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 using SCERTS Model in the family routines as the context for early intervention services for children with AS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previous at-home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 by demonstrating feasibility with younger children, using a limited number of session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application a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