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8 Download: 0

저학년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및 쓰기에 나타나는 한국어 연음규칙 적용 특성과 부모의 한국어 능력과의 상관연구

Title
저학년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및 쓰기에 나타나는 한국어 연음규칙 적용 특성과 부모의 한국어 능력과의 상관연구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aison Rule in Reading and Writing on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the Correlation of Korean abilities of Mother
Authors
김선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to read and write Korean. A research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otal 34 people, including 13 children from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K-V Multi) and 8 mother of them(K-V Multi-M), and 13 children from Korean monolingual families(K Mono). Those children were first and second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children group consisted only of children with Receptive Vocabulary Test (REVT-R) (Kim et al., 2009) score of –1.25SD or higher, and a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U-TAP) (Kim, Shin, 2004) score of 100%. Then, Children conducted the tasks of phonological processing and reading and writing applying Korean Liaison rule. K-V Muliti-M group conducted the REVT, reading and writing tasks applying Korean Liaison rule, and questionnaire on interaction time with children. Firs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reading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reading tasks (meaning vs. meaningless/single vs. double consonants/first half vs. second half) applying Korean Liaison rules between K-V Multi and K Mono groups. The results of four-way mixed ANOVA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curacy of reading tasks between the groups. Also, the main effects of the meaning or not of word and the type of Liaison rule were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ype of Liaison rule and the position of target word in the sentence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K-V Multi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reading accuracy than the K Mono group, and showed lower performances in non-words and double consonant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alf and second half in both consonants. Second,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writing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writing tasks (single vs. double consonants/first half vs. second half) applying Korean Liaison rules between K-V Multi and K Mono groups. As a result of three-way mixed ANOVA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ccuracy of the writing tasks between groups. Also, the main effects depending on the types of Liaison rule and the position of target words in the sentence were significan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osition of target word in the sentence and the group,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ype of Liaison rule and the position of target word in the sentence were significant, as well. In other words, K-V Multi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writing accuracy than K Mono group, and showed lower performances in double consonants writing and second half writing.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pplying Korean Liaison rule and vocabulary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y in K-V Multi and K Mono. There wer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nd writing and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and non-word repetition task(NWR) an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in K-V Mono group. In K-V Multi group, reading and writing and non-word repetition task(NW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Fourth,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pplying Korean Liaison rule in K-V Multi group and Korean vocabulary ability and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pplying Korean Liaison rule in K-V Multi-M group.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time of children with parents was surveye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ading and writing applying Korean Liaison rule of K-V Multi-M group and the expressive vocabulary of children. This study showed the difficulties of reading and writing applying Korean Liaison rule in K-V Multi group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reading and writing applying Korean Liaison rule on children of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and Korean monolingual families. Also,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it showed that non-word repetition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nd there exist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of children and Liaison reading and writing ability of their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terest in the education of parents that affect the language of children and the teaching of natural reading and writing applying the phonological chang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considered.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natural reading and grammar writing instruction that apply phonological changes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interest in parent education that affects children's language.;국제결혼으로 인해 매년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구 수가 증가함과 더불어 다문화가정 학령기 아동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통계청, 2018).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경우, 자녀의 양육에 있어 모국어보다 외국인 어머니의 비능숙한 한국어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양질의 언어자극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못한다(오소정, 김영태, 김영란, 2009). 선행연구들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제한된 한국어 어휘 및 구문이해력과 표현력이 아동의 언어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다(황상심, 정옥란, 2008; 박소현, 2012). 그러므로 언어재활사에게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문제로 인한 학업문제, 특히 읽기 및 쓰기의 어려움을 가질 수 있는 아동을 학령 초기에 선별하여 중재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된다. 읽기 능력은 단순 읽기 관점(Simple view of reading)에 따라 음운해독력(decoding)과 덩이말이해(reading comprehension)로 분류한다(Gough & Tunmer, 1986; Hoover & Gough, 1990; Swank, 1994). 음운해독력은 철자 지식(orthographic knowledge)을 통해 인쇄된 문자를 인식(recognize)하는 것으로 초기 학령기 읽기 이해를 위해 음운해독력이 선행되어야 한다(Swank, 1995). 특히 한국어는 다양한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언어이기 때문에 음운해독 단계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읽기이해는 음운 작업 기억과 유의한 상관이 있다고 보고되었다(김애화 외., 2010; 도경수, 이은주, 2006; Oakhill, Cain & Bryant, 2003; Seigneuric et al., 2000; Yull, Oakhill & Parkin, 1989). 선행연구들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인식, 낱말재인능력, 덩이글이해 능력이 일반 아동에 비해 저조하다고 보고한다(배소영, 김미배, 2010; 안성우, 신영주, 2008; 양성오, 황보명, 2009). 쓰기 능력은 단순 쓰기 모델(simple view of writing)의 설명에 따라 글씨 쓰기(handwriting)와 사필(transcription) 및 작문(text-generation)의 요소를 포함한다(Berninger et al., 1994). 쓰기의 경우 자소-음소의 대응이 일치하는 단어에서 불일치하는 단어의 순으로 학습되며 음운지식을 활용하여 음운규칙이 포함된 단어를 쓰는 능력이 아동 초기에 발달한다(Berninger et al., 2006). 초기 쓰기 단계는 어휘력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Shuy, 1981) 전반적인 쓰기 수행력은 다문화가정 아동이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낮다고 보고된다(배희숙, 2015). 본 연구는 초등학교 1, 2학년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아동(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이하 K-V Multi) 13명, 한국 단일언어 가정 아동(Korean monolingual families Children; 이하 K Mono) 13명,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Mother; 이하 K-V Multi-M) 8명으로 총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아동들은 수용 어휘력 검사(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 REVT-R)(김영태 외, 2009) 결과 –1.25SD이상, 우리말 조음․ 음운 평가(U-TAP)(김영태, 신문자, 2004) 결과 조음정확도가 100%인 아동으로만 구성하였다. 그 후 음운 처리 과제, 한국어 연음규칙을 적용한 읽기 및 쓰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들은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 한국어 연음규칙을 적용한 읽기 및 쓰기 과제, 아동과의 상호작용 시간에 대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K Mono, K-V Multi 집단 간 한국어 연음규칙을 적용한 읽기 과제의 유형(의미, 무의미 / 홑받침, 겹받침 / 전반부, 후반부)에 따라 읽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원배치분산분석(four-way mixed ANOVA)을 실시한 결과, 집단 간 연음규칙 읽기 과제 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집단 내 의미유무, 연음화 유형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하였고 연음화 유형과 문장 내 위치에 따른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즉, K-V Multi 집단이 K Mono 집단에 비해 읽기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았고 무의미 단어와 겹받침 연음화에서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홑받침 연음화와 겹받침 연음화에서 모두 문장 내 위치가 전반부일 때와 후반부일 때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K Mono, K-V Multi 집단 간 한국어 연음규칙을 적용한 쓰기 과제의 유형(홑받침, 겹받침 / 전반부, 후반부)에 따라 쓰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삼원배치분산분석(three-way mixed ANOVA)을 실시한 결과, 집단 간 연음규칙 쓰기 과제 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연음화 유형, 문장 내 목표단어 위치에 따른 주효과가 각각 유의하였고 문장 내 위치와 집단 간, 연음화 유형과 문장 내 위치 간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즉, K-V Multi 집단이 K Mono 집단에 비해 쓰기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았고 겹받침 연음화, 후반부 쓰기에서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한국 단일언어가정 아동 집단에서는 문장 내 위치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다문화가정 아동 집단에서는 차이가 유의하였다. 더불어 홑받침 연음화에서는 전반부와 후반부의 차이가 유의하였지만 겹받침 연음화에서는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 Mono, K-V Multi 각 집단의 한국어 연음규칙을 적용한 읽기 및 쓰기 능력과 어휘력, 음운 처리 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K Mono 집단은 읽기와 수용 어휘력 및 비단어 따라 말하기가, 쓰기와 수용 어휘력 및 음운 조작 능력, 비단어 역순 따라 말하기가, K-V Multi 집단은 읽기와 비단어 정순 및 역순 따라 말하기가, 쓰기와 비단어 역순 따라 말하기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넷째, K-V Multi 집단의 연음규칙 읽기 및 쓰기 능력과 K-V Multi-M 집단의 한국어 어휘력 및 연음규칙 읽기 및 쓰기 능력, 아동-부모의 상호작용 시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의미 겹받침 읽기, 겹받침 쓰기와 아동의 표현어휘능력의 상관이 유의하였고 아동의 겹받침 쓰기 능력과 어머니의 연음규칙 쓰기 과제 중 홑받침 쓰기 능력만 부적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 단일언어 가정 아동과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연음규칙을 적용한 읽기 및 쓰기의 수행을 비교 분석하여 초기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음규칙 읽기 및 쓰기의 어려움을 밝혔다. 또한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서 비단어 따라 말하기가 두 아동 집단의 읽기 및 쓰기 능력과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밝혔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연음규칙 읽기 및 쓰기 능력은 아동의 표현어휘력과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밝혔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변동을 적용하는 자연스러운 읽기와 어법에 맞는 쓰기 어려움에 대한 선별 및 중재가 필요하며 아동의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