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8 Download: 0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Title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Other Titles
Musical : Melodramatic Imagination and the Sign of Loneliness
Authors
진가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성희
Abstract
Ever since Peter Brooks introduced the term "melodramatic imagination" in 1973, melodrama has been noticed to function as a mode reflecting modern sensibility and crossing the border of the genre.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craves meaning, maintaining the belief that conflicts (or truths) are concealed beneath the layer of reality. The underlying forces are released as external signs, with clear visibility. This study analyzes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in Korean musical Frankenstein, along with Mary Shelley's Frankenstein and major adaptations of the novel.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that penetrates Frankenstein and its adaptations has been transformed with different emphases due to various socio-cultural contexts. As a result, a large yet diverse so-called ‘Frankenstein cultural industry’ was formed, the musical Frankenstein being also a part of it. This musical modifies melodramatic imagination in its own way and reveals the emotional structure of modern people by transforming some elements of the original novel and other adaptations, reflecting contemporary audiences' sensibility. The introduction opens with a discussion on the huge commercial success of the musical Frankenstein and covers studies dealing with the musical. After a close look at Peter Brooks' ‘melodramatic imagination’ and ‘melodramatic mode,’ the study states that the melodramatic features and melodramatic urge to break through oppression can be completed in modern musicals. Then, it explores the postmodern adaptation of melodramatic mode to pave the ground for the theoretical frame to analyze Frankenstein and its adaptations, including the musical. The second chapter examines melodramatic imagination and features in Frankenstein and its four adaptations: Presumption; or the fate of Frankenstein(1832), Universal Pictures' Frankenstein(1931), Mary Shelley's Frankenstein(1994) directed by Kenneth Branagh, and the recent play Frankenstein(2011) written by Nick Dear. Being the first adaptation of the novel, Presumption has its significance as the first stage melodrama version of the novel. Universal Pictures' Frankenstein creates the most popular, powerful image of a silent green monster, and Kenneth Branagh puts his own interpretations in his film by shedding a psychoanalytic light on Victor Frankenstein's narrative. Meanwhile, Nick Dear depicts the creature as a higher being than his creator Victor, emphasizing the creature's humane aspect. The third part contains thorough analysis of the musical Frankenstein. By observing melodramatic elements that urge the musical to be generally excessive,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musical’s melodramatic imagination is strongly affected by socio-cultural aspects: after the symbols of good and evil become blurred, the modern symbol of loneliness is foregrounded. The conclusion clarifies distinctive changes found in the musical Frankenstein and defines its revision as a possibles turn to a gothic melodrama. Musical, as a genre, has the possibility of maximizing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while being a pop-culture form which accompanies strong commerciality. Flourishing gothic musicals show the potential for musicals to function as a frame to reveal a true modern, cultural anxiety.;본고는 메리 셸리(Mary Wollstonecraft Shelley)의 소설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과 그 개작들의 흐름을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을 비롯한 멜로드라마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2014년 초연된 한국의 창작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의 특수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1973년 피터 브룩스(Peter Brooks)의 저서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발자크, 헨리 제임스, 멜로드라마와 과잉의 양식(Melodramatic Imagination: Balzac, Henry James, Melodrama and the Mode of Excess)』에서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이 처음 주창된 이후 멜로드라마는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현대적 감수성을 반영하는 양식(mode)으로서 번성해왔다. 멜로드라마는 세계의 현상을 숨겨진 이면의 갈등이 표면화된 일종의 징후로 받아들이면서 감추어진 의미, 즉 ‘비의’를 추구하려는 열망이 표출된 양식으로 『프랑켄슈타인』 역시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개작의 경우도 동일하다. 『프랑켄슈타인』과 그 개작들을 관통하는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은 상이한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인해 서로 다른 강조점을 가지며 변형되어왔고, 그 결과 거대하면서도 다양한 프랑켄슈타인 문화산업이 형성되었다.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역시 그간의 다른 개작들과 마찬가지로 당대의 감수성을 기반으로 원작과 다양한 개작들의 양상을 변형하면서 현대인의 감정구조를 드러낸다. 서론에서는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이 거둔 상업적 성공을 조명하면서 그간 진행된 연구들을 살펴보고, 멜로드라마적 상상력과 멜로드라마 양식을 면밀히 탐구한다. 해당 과정에서 멜로드라마 양식의 특징과 억압을 돌파하려는 멜로드라마적 충동이 현대의 뮤지컬에서 완성될 수 있음을 보이고, 멜로드라마 양식의 포스트모던적 변형에 대해 살펴보아 『프랑켄슈타인』과 그 개작들을 분석할 이론적 틀을 마련한다. 이어지는 Ⅱ장에서는 현대적인 멜로드라마 양식을 선취한 소설 『프랑켄슈타인』과, 원작 소설과 동시대에 이루어진 소설의 첫 개작이자 무대 멜로드라마 버전인 <오만, 혹은 프랑켄슈타인의 운명 (Presumption; or, the Fate of Frankenstein, 1832)>, 대중들이 프랑켄슈타인과 말 없는 초록 괴물의 이미지를 병치하는 데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유니버셜 픽쳐스의 영화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1931)>과 프랑켄슈타인의 서사 속 비의를 해석해낸 케네스 브래너의 영화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Mary Shelley's Frankenstein, 1994)>, 그리고 닉 디어가 각색한 최근의 연극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2011)>을 차례대로 살펴보면서 원작의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이 사회문화적 맥락의 변화와 함께 어떻게 변형되었는지를 조명한다. Ⅲ장에서는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이 원작과 개작을 어떻게 수용 및 변형했는지, 그 과정에서 어떤 멜로드라마적 요소가 두드러지며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은 어떤 방향으로 작용했는지를 분석하면서 선과 악의 기호가 흐려지며 현대적인 외로움의 기호가 두드러지는 과정을 살펴본다. 결론에 해당하는 Ⅳ장에서는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이 고딕적 멜로드라마로서 현재에 갖는 의의를 짚어본다. 강한 상업성을 띠는 대중문화의 형식이자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뮤지컬 장르, 그 속에서도 고딕적인 성격을 띠는 뮤지컬들의 흥행은 뮤지컬이 현대의 문화적 불안을 드러낼 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